•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attention

검색결과 503건 처리시간 0.028초

필터 뱅크 기반 BCI 시스템을 위한 CSP와 LDA를 이용한 필터 선택 방법 (Filter Selection Method Using CSP and LDA for Filter-bank based BCI Systems)

  • 박근호;이유리;김형남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5호
    • /
    • pp.197-206
    • /
    • 2014
  • 운동심상(Motor imagery) 기반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는 주로 뇌전도(Electroencephalography, EEG)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자발적인 운동 의지를 읽는 기술로 최근 주목받고 있다. 이 중에서도 피실험자의 운동 의지를 정확히 해석하기 위해 감각운동 영역(sensorimotor area)의 일부분에서 나타나는 ${\mu}$-대역(8-13Hz)의 전위 감소 현상인 event related desynchronization(ERD)을 분석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EEG는 공간 해상도가 낮고 사용자에 따라 ERD가 발생하는 주파수 대역이 다소 차이가 있어 추정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대한 개선 방법의 하나로서 공간 필터를 구현하는 common spatial pattern (CSP)과 필터 뱅크(filter bank)를 결합한 형태인 discriminative filter bank common spatial pattern(DFBCSP)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DFBCSP는 EEG 신호의 평균 전력(power)의 Fisher ratio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따른 효과적인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discriminative filter bank(DFB)를 구성하여 분류 정확도를 향상시켰지만 ERD의 공간 패턴이 나타나는 적절한 필터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EEG 신호의 평균전력 대신 CSP의 특성 벡터를 이용하여 DFB를 구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방법과 제안한 방법의 필터 선택 결과와 분류 정확도 분석을 통해 CSP 특성 벡터가 DFB 구성에 더욱 효과적임을 보인다.

공간감 선호에 따른 조명과 마감재 인터랙션의 지각정도 비교 분석 (Comparison with Perception of Interaction between Finishing Materials and Lighting according to Preference of one's Spatial Sensitivity)

  • 서지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42-5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 of perception and to measure the degree of interaction between the lighting and the finishing materials according to preference types and the impacted factors to the spatial sensitivity of users. To do that, the this change was grasped through the experiment with Likert Scale and ANOVA of SPSS program to the simulated imag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ly, the personal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space comes from 'attention' in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The degree of the perception of users change strongly by lighting in the space expressed the 'modern natural'. Secondly, the atmosphere and the degree of perception are different in the preference of users to the spatial sensitivity and in impacted factors which are thought by users in the space sensitives. The users who prefer the 'decoration' feel the mood more strongly in the space. But the users who prefer the 'active' and 'intimacy' are opposite to that. The difference to the degree of perception is greater in the 'classic natural' than the others under the lighting turns on. Thirdly, an in-depth research which is considered of the interaction among the various factors is needed for finding the design methods for inducing the sensitivity of users in the space. And the ranking of the impacted factors should be understanded and applied to the research regarding the changes of perception in the space. Finally,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 to be adapted to all of the situation for the space design methods. But this will be a basic data to study the design methods for users's sensitivity in the space.

수학영재들의 아르키메데스 다면체 탐구 과정 - 정당화 과정과 표현 과정을 중심으로 -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Justification Patterns and Mathematical Representation on a Task of Spatial Geometry)

  • 이경화;최남광;송상헌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9권4호
    • /
    • pp.487-506
    • /
    • 2007
  • 본 연구는 14명의 중학교 2학년 수학영재들이 아르키메데스 다면체를 소재로 한 공간기하과제를 해결하면서 보여주는 정당화 유형과 수학적 표현에 대한 연구이다. 문헌 연구를 통해 정당화 유형과 수학적 표현 분석을 위한 분석틀을 마련하고 이들의 다양한 반응들을 분석하였다. 정당화 유형에서는 부분적인 분석을 통해 형식화를 추구하는 학생과 비형식적이며 경험적인 정당화이지만 모든 구성요소를 고려하여 전체적 정당화를 시도하는 두 반응간의 비교를 통해 비형식적 정당화의 유용성에 분명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었다. 수학적 표현에서 시각적 표현은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찾고, 구조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역할을 하고 있었으며, 기호적 표현을 점진적으로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수학적 개념을 표현 속에 함축시키고 정제시켜 정교한 기호(Harel & Paput. 1994)를 창출하려는 욕구를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밀리미터파 Massive MIMO 시스템을 위한 공간 다중화 및 하이브리드 빔 형성 (Combined Hybrid Beamforming and Spatial Multiplexing for Millimeter-Wave Massive MIMO Systems)

  • 주상임;이병진;김남일;김경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23-129
    • /
    • 2018
  • 최근 요구되는 트래픽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광대역의 주파수를 확보할 수 있는 밀리미터파 기반의 이동통신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밀리미터파 대역의 채널은 NLoS (Non-Line-of-Sight) 환경에 취약하며 경로 감쇠가 매우 큰 문제점을 갖는다. 이를 위해 기지국에 수십 개 이상의 안테나를 장착하여 빔 형성을 통해 경로 감쇠를 보완하는 Massive MIMO (Multiple Input and Multiple Output) 시스템이 연구되고 있다. 기존 빔 형성 기법에는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이 있지만 시스템의 복잡도와 비용적인 측면에서 Massive MIMO 시스템에 적용하기에 현실적인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밀리미터파 대역의 Massive MIMO 시스템에서 상기 두 방식을 융합한 하이브리드 빔 형성 기법을 연구한다. 또한 다수의 안테나를 장착한 다중 사용자를 서비스할 수 있도록 공간 다중화 기법을 고려한다. 주파수 효율 분석을 통해 빔 형성 및 공간 다중화에 의한 이득을 평가한다.

미국 대통령 예비선거에 적용한 시공간 의존성을 고려한 자기로지스틱 회귀모형 연구 (Autologistic models with an application to US presidential primaries considering spatial and temporal dependence)

  • 염호정;이원경;손소영
    • 응용통계연구
    • /
    • 제30권2호
    • /
    • pp.215-231
    • /
    • 2017
  • 미국 대통령 예선은 선거인단이 시차를 두고 여러 회에 걸쳐 진행되는 특징이 있음에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자기로지스틱 모형을 통해 미국 대통령 예비선거 결과와 사회경제적 변수간의 시공간 의존성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2016년 데이터에 적용한 분석결과 각 카운티의 노년층, 흑인, 여성 그리고 히스패닉 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일수록 힐러리 클린턴을 지지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변 카운티에서 많은 지지를 받은 후보가 이웃 지역에서도 많이 지지를 받을 확률이 높고 이전 선거에서 많은 지지를 받는 것과 다음 선거 지역의 결과 간의 상관관계도 확인되었다. 시공간 의존성을 알아보기 위한 모형 중에서 슈퍼화요일의 선거 결과가 이후 선거와 관련이 있다고 가정한 모형의 설명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서울시 2인 가구의 주거실태와 공간적 입지 특성 연구 - GIS를 활용한 다변량 분석 - (Residential Conditions and Spatial Patterns of Two-person Households in Seoul - Multivariate Analysis Using GIS -)

  • 이재수;이삼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49-56
    • /
    • 2013
  •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quantitative and residential features and spatial patterns of two-person households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housing supply and development in Seoul.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two-person households has increased rapidly mainly due to the growth of the elderly and single-parent households. They are mainly composed of the elderly over 60s and the youth of 30s of householder age. They are less likely to have well-paying jobs, and thus more likely to suffer from poverty. They are also inclined to live in rental and small-sized residential units and spatial segregation between the youth and the elderly became serious. In addition, their residential area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rea adjacent to employment centers, hinterland of urban centers, affordable multi-family housing area and redeveloped apartment area.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urrent housing policy directions to take changing population and household structure into consideration. Also, diversified housing strategies and programs should be prepared to consider various household types and their needs and demands. Place-based strategies for housing supply and development are needed in consideration of spatial patterns and locational attributes of two-person households.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resolving the social issue of residential segregation between different generations.

대중교통서비스 취약계층의 공간적 분포 특성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ransit-Poors in Urban Areas)

  • 김재익;강승규;권진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2
    • /
    • 2008
  • 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수단은 승용차가 없는 시민들에게는 유일한 이동수단으로써 생활필수 서비스에 속한다. 또한 스마트성장을 비롯한 바람직한 도시성장유형들은 예외없이 대중교통수단 위주의 개발 (transit-oriented development)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므로 대중교통서비스는 모든 시민들에게 가용한 기본서비스가 되어야 함과 동시에 도시정책의 주요수단이 된다. 본 연구는 대중교통서비스 취약지역을 파악하고 그 분포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도시 대중교통정책 수립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를 사례지역으로 하여 통계청의 기초단위구 자료와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분석단위를 세분화하고 이를 기준으로 버스 및 지하철 정류장과의 거리를 계산하였다. 그리고 정류장으로부터 300m이상 격리된 지역을 대중교통서비스 취약지역으로 간주하였다. 이 기준에 따라 대중교통서비스 취약지역의 특성을 면적, 인구, 주택유형 등의 측면에서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대중교통서비스는 지역별로 큰 차이가 나는 가운데 특히 교외지역과 농촌지역에서 취약계층이 많음이 입증되었다. 특히 본 연구는 이동성이 낮은 노인인구중 대중교통서비스를 이용하기 쉽지 않는 계층을 파악하고 공간적 분포를 제시하였다.

  • PDF

개선된 Floor Field 기반 보행 시뮬레이션 모델 (An Enhanced Floor Field based Pedestrian Simulation Model)

  • 전철민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76-84
    • /
    • 2010
  • 실내 공간과 같이 마이크로한 스케일에서의 분석을 위해 다양한 보행시뮬레이션 모델들이 연구 되어 왔으며, 이 중에는 social force 모델과 floor field 모델이 주목을 받는다. 이 중 연산이 복잡한 social force 모델보다는 CA 기반의 floor field 모델이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더 적합한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Kirchner 등이 제안한 floor field 모델에서는 dynamic field의 연산 시 자신의 dynamic 값에도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개선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dynamic field의 데이터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자신의 dynamic 값은 배제한 다른 에이젼트의 영향만을 받도록 하였으며, dynamic 값의 초기값을 할당하는 문제도 현실적으로 변경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는 데에는 공간 DBMS에 저장된 실제 3차원 건물모델을 사용하여 추후 실내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대피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이 되도록 하였다.

공간분석·데이터마이닝 융합방법론을 통한 산업안전 취약지 등급화 방안 (Industrial Safety Risk Analysis Using Spatial Analytics and Data Mining)

  • 고경석;양재경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47-153
    • /
    • 2017
  • The mortality rate in industrial accidents in South Korea was 11 per 100,000 workers in 2015. It's five times higher than the OECD average. Economic losses due to industrial accidents continue to grow, reaching 19 trillion won much more than natural disaster losses equivalent to 1.1 trillion won. It requires fundamental changes according to industrial safety management. In this study, We classified the risk of accidents in industrial complex of Ulju-gun using spatial analytics and data mining. We collected 119 data on accident data, factory characteristics data, company information such as sales amount, capital stock, building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official land price, etc. Through the pre-processing and data convergence process, the analysis dataset was constructed. Then we conducted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with spatial factors affecting fire incidents and calculated the risk of fire accidents with analytical model for combining Boosting and CART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We drew the main factors that affect the fire accident. The drawn main factors are deterioration of buildings, capital stock, employee number,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and height of building. Finally the predicted accident rates were divided into four class (risk category-alert, hazard, caution, and attention) with Jenks Natural Breaks Classification. It is divided by seeking to minimize each class's average deviation from the class mean, while maximizing each class's deviation from the means of the other groups. As the analysis results were also visualized on maps, the danger zone can be intuitively checked. It is judged to be available in different policy decisions for different types, such as those used by different types of risk ratings.

공간정보 기반 지능형 방범 실증지구 개념 정립 및 선정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Concept and Selection criteria of Intelligent Security Technology Test-bed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 신주호;한선희;이재용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6호
    • /
    • pp.45-54
    • /
    • 2014
  • 최근 안전취약계층을 상대로 한 범죄가 증가함에 따라 사회적 약자를 위한 안전망 구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사회안전망 구축 연구성과의 지속적인 실증을 위한 테스트베드를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이나 U-Eco City R&D 사업 등의 테스트베드는 연구개발 성과물을 테스트베드에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단계에만 머물러 사업 종료 후 기술의 사업화 및 테스트베드의 지속적인 운영 관리 측면에는 미흡한 점이 많았다. 따라서 R&D성과물에 대한 지속가능한 운영 관리체계 및 제도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테스트 베드 사례와 방범 및 범죄 예방 연구사례를 토대로 지능형 방범 실증지구의 개념을 정립하고, 실증지구 선정기준에 대해 제시하였다. 객관적인 평가기준을 통해 선정된 실증지구는 연구기간 이후에도 지속적인 운영이 가능하고, 시민들의 안전한 삶에 기여하는 실증지구의 표준모델을 확립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