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access structure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268초

다단계 보안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공간 다중인스턴스화 (Polyinstantiation for spatial data for multilevel secure spatial database)

  • 오영환;이재동;임기욱;배해영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43-5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다단계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비빌 위상 경로(covert topology channel)를 해결할 목적으로 공간 다중인스턴스화(polyinstantiation fur spatial data)에 대해 연구한다. 위상 구조를 갖는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공간 데이터와 서로 인접한 공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공간 분석을 수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공간 데이터간의 위상 정보를 지원하는 경우 위상관계 의한 정보의 노출(information flow)이 문제가 된다. 즉,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지리정보시스템의 경우 대부분의 응용업무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밀이 요구되어지는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경우, 출력되어진 객체들의 위치 정보나 인접한 객체와의 위상관계를 통해서 많은 정보가 노출되어질 위험이 있으므로 엄격한 사용자의 접근제어가 요구되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 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MLS/SRDM(Multi Level Security/Spatial Relational Data Model)켤 설계하고 공간 데이터의 위 상관계로 인해 생기는 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공간 다중인스턴스화를 제안한다

강원도 지방경찰청 조경설계 (Landscape Design of KangWon Provincial Police Agency)

  • 이시영;김신원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79-87
    • /
    • 2002
  • This landscape design proposal was presented to a design competition for the KangWon Province Police Agency(KPA). The site, about 27,711 $m^2$, is located at 293-4 Udu-dong, Chunchun, KangWon-Do. Design objectives of the KPA were to build a symbolic place which fall community members with pride, to elevate an identity and status of the KPA by creating a landscape correspondent to the concept of the building design, to provide community residents with a space to enjoy cultural and social activities, and to make environment friendly space. The main concept was developed by one of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spatial structure of Korea known as an, 'Open and Closed spatial structure.'By re-interpreting the traditional spatial structure and applying it to the site, the design met the various desires of the KPA. The site is primarily segmented into 6 sub spaces; entrance space Podori plaza, symbolic court, police billeting area, sports area, and rear rest area. The entrance space, Podori plaza, and symbolic court on the south-west part of the site represent the publicity of the site as the concept of ″open space.″ On the contrary, considering the specialty of police affairs, the north-east part of the site, which contains the police billeting area and rest area, were designed to maintain security by using the concept of ″closed space.″ To express an identity of the KPA, 'Podori', a police mascot, the plaza was designed and is suppose to function as the hub of the community. In the front section of the plaza, a symmetrical planting pattern, centering the strong axis, was introduced to strengthen its symbolic meaning. Traditional window frames such as the pattern of 'Pisal-jige'and 'Umulsal-jige' were used for the paving system which is applied as the environment friendly design. Site facilities and furnitrue were placed at every important spot in order to connect various spaces organically. As these well-tied spaces properly shared their function, spatial sequence and management would be promoted. The entire space was designed to allow free access of handicapped people. This proposal is meant to create a new image of KangWon province and to enhance the way of inhabitants' think about their community.

Mr-Tree: 효율적인 공간 검색을 위한 매핑 기반 R-Tree (MR-Tree: A Mapping-based R-Tree for Efficient Spatial Searching)

  • 강홍구;신인수;김정준;한기준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4호
    • /
    • pp.109-120
    • /
    • 2010
  • 최근, u-GIS 환경에서 다양한 지오센서 (Geosensor)의 활용으로 수집되는 공간 데이터의 양이 급증하면서 대용량 공간 데이타의 효율적인 검색을 위한 공간 인덱스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공간 데이타의 검색 성능을 높이기 위해 R-Tree를 기반으로 한 공간 인덱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R-Tree에서 노드 사이의 겹침이나 트리의 높이를 줄임으로써 어느 정도 검색 성능을 향상시켰지만 트리 순회(tree traversal)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노드 접근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용량 공간 데이타의 효율적인 검색을 위한 매핑 기반 R-Tree인 MR-Tree(Mapping based R-Tree)를 제안한다. MR-Tree는 R-Tree 순회 없이 리프 노드를 직접 접근하도록 하는 매핑 트리를 이용함으로써 검색 성능을 향상시킨다. 매핑 트리는 데이타 공간을 차원에 따라 반복적으로 분할한 각 파티션(Partition)과 연계되는 R-Tree 리프 노드의 MBR과 포인터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특히, MR-Tree는 기존 R-Tree에 큰 변경없이 구현이 가능하고, 다양한 R-Tree 변형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매핑 트리를 메인 메모리에 상주시킴으로써 검색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험을 통해 기존 인덱스보다 MR-Tree 성능의 우수성을 보였다.

Renovation of Korean Geodetic Control Points

  • Choi, Yun-Soo;Kwon, Jay-Hyoun;Hong, Chang-Ki;Lee, Ji-Su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6권4호
    • /
    • pp.401-41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측지기준점의 개선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개선의 내용은 기준점의 구조와 정확도에 중점을 두어 설명하였으며, 구조의 경우 3차원 기준점으로 변화하면서 정확도, 포함 정보, 그리고 기준점의 위계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정확도의 개선은 위성측지 기술의 발달과 정밀지오이드를 기반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기준점의 개념은 위치뿐 만 아니라 중력, 환경정보와 같은 다양한 공간정보를 포함하여 전반적인 정보의 분석이 가능한 점이 강조되었다. 또한 RFID와 CDMA 기술을 이용한 공간정보의 효율성과 신속성을 소개하였다. 이러한 모든 노력으로 한국의 측지망은 보다 정확하고 다양한 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며 이러한 개선이 측지 기준점의 역할과 미래의 방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고해상도 영상의 효과적인 처리를 위한 블록 버퍼 기반의 저 복잡도 무손실 프레임 메모리 압축 방법 (Lossless Frame Memory Compression with Low Complexity based on Block-Buffer Structure for Efficient High Resolution Video Processing)

  • 김종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20-2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고해상도 영상의 효과적인 처리를 위한 블록 버퍼 기반의 저 복잡도 무손실 프레임 메모리 (frame memory) 압축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압축 방법은 공간적 상관도를 제거하기 위하여 블록단위 MHT (modified Hadamard transform)를 사용하고, 엔트로피 부호화를 위하여 AGR (adaptive Golomb-Rice) 부호화 기법을 적용하여 저 복잡도 무손실 압축 및 효과적인 하드웨어 구현을 달성한다. MHT는 가산기와 1비트 오른쪽 시프트(1-bit right shift) 연산만으로 구성되어 있고, AGR은 별도의 메모리 공간 및 메모리 접근 동작(memory access operation)을 포함하지 않아 저 복잡도 구현이 용이하다. 기존의 저 복잡도 무손실 압축 방법과 비교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은 압축률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고, 기존 코덱(codec)의 구조를 크게 수정하지 않으면서 화질의 열화없이 하드웨어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을 다양한 영상에 대한 실험 및 복잡도 분석을 통해 보인다. 또한 제안한 방법은 메모리 접근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아 하드웨어 구현을 위한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어, Fill HD급 이상의 고해상도 영상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데 유용하다.

Tmr-트리 : 주기억 데이터베이스에서 효율적인 공간 색인 기법 (Tmr-Tree : An Efficient Spatial Index Technique in Main Memory Databases)

  • 윤석우;김경창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2D권4호
    • /
    • pp.543-552
    • /
    • 2005
  • 최근 들어 계속되는 램 가격 하락으로 인해 대용량의 램을 사용하는 주기억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축이 실현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디스크 기반 공간 색인 기법은 디스크 접근 시간만을 주로 고려하기 때문에, 주기억 색인 기법으로 디스크 기반 색인 기법을 직접적으로 적용시키는 것은 부적절하다. 주기억 장치 색인 기법은 모든 색인 노드들이 주기억 장치에 상주하기 때문에 노드에 대한 접근 시간이 디스크 기반 기법에 비해 상당히 미미하고, 결국 효율적인 색인 기법을 위해서는 노드 접근시간 뿐만 아니라 노드내의 키 비교시간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주기억 장치 색인 기법의 특성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Tmr-트리라는 새로운 색인 기법을 제시한다. Tmr-트리는 T-트리의 장점과 R-트리의 장점을 결합한 이진 색인 구조로서, 색인 노드는 데이터 객체들을 위한 엔트리들, 왼쪽/오른쪽 자식 노드에 대한 포인터, 그리고 3개의 추가 필드들로 구성된다. 여기서 3개의 추가 필드들은 현재 노드에 저장된 키 값들의 범위를 포함하는 MBR과 왼쪽 서브트리에 저장된 키 값들의 범위를 포함하는 MBR, 오른쪽 서브트리에 저장된 키 값들의 범위를 포함하는 MBR에 해당한다. 본 논문의 실험에서 Tmr-트리는 R-트리와 달리 검색 시 항상 리프노드까지 방문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모든 데이터 분포에서 R-트리에 비해 더 나은 실험 결과를 보여주었다. 노드 크기 측면에서 노드안 엔트리 수를 증가시킨 초반에 상당한 검색성능 향상을 보여주었으며, 그 후로 약간씩 검색시간 증가를 나타냈다. 한편, 삽입시간 측면에서 Tmr-트리는 R-트리에 비해 약간의 더 많은 삽입시간이 필요했다.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조적 위계 및 연결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ierarchy and Relationship in Spatial Configuration of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 박진경;오찬옥;김석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249-258
    • /
    • 2011
  • As the elderly population are rapidly growing, the elderly who needs special care and nursing homes for them are also growing. However, many nursing homes were planned without considering the hierarchial space organization such as division of housing unit and nursing unit based on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or accessibility and supportiveness of the staf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ierarchial characteristics in space organization of nursing homes by using Space Syntax. The subjects were 8 nursing homes in Busan. First, spaces in nursing homes were divided into five area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n the hierarchy of space organization for the access layer and layers of living floors was grasped by using G-graph. The access layer has a tree-type hierarchical structure and high visuality. Also, average depth of the space was 5. Then the full integration was analyzed. Mobile area, such as elevator, hallways, or living rooms has a high accessibility and the middle corridor type has commonly been characterized. The nursing stations were analyzed through the control degree and it was low in three nursing homes such as B, C, and G. The low clarity was showed in B, D, and F. The low clarity means that it is relatively difficult to recognize the whole space organization of nursing home. Even though the hierarchy of their living floors was tree-type structure with a high visuality, they has a type of grouping spaces around hallways and spreading, or a ring type.

공간통사론의 수학모델과 분석도구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ce Syntax Mathematical Model and Software Development for Analyzing)

  • 이종렬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1-8
    • /
    • 2006
  • This study is investigates space syntax theory, developed by Bill Hiller, used for physical analysis and visual access of space and role of spatial configuration based on social logic. it mean computer program analyze physical structure of space and represent by mathematical logic. it used for predict space use and Descriptive of spatial configuration. This method and theory is incompletion for design, but it enough useful tool for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and will be improved. And development of a simple computer program - SSA(Sspace Syntax Analysis) for space syntax analysis and study. SSA is based on convex map analysis and using VISIO software for easily using and development.

  • PDF

현대 박물관건축 전시공간의 환경구성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Organization within the Exhibition Space of the Contemporary Museum)

  • 이성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69-17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space planning methodology as 'Spatialization of Knowledge' through analyzation of the spatial structure in the contemporary museum architectur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apply in designing an exhibition space and may become a target point. Further more this study can result a museum design to assist actual museum to fully function and play a role as a service facility for users by containing broad knowledge and fair understanding of user's needs in museum planning. Basic survey of museum architecture history will help visualizing conceptual structure of the museum exhibition and the 'Space Syntax' method has been used to make this conceptual data more objective. This study found that the contemporary museums most likely to include in its planning the various spatial organization in order to convey knowledge. The result reflects the needs of modern society which shows the design accepting individuality in society with variety of needs. And this also explains that museum space organization has to reflect various ways or methods of conveying knowledge. In addition, users have tendency to prefer more open space organization for easy access and approach in exhibition environment. It is clear to see the change in today's viewing pattern that the users prefer flexible exhibition space where they can be more proactive in receiving knowledge by following their own circulation over architecturally constrained circulation pattern within the exhibition area.

도시마을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전통마을 공간 구조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Spatial Structure of Traditional Villages for Revitalization of the Community in Urban Villages)

  • 문지원;김주현;하재명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85-93
    • /
    • 2008
  • This study analyzes areas, traffic lines and characteristics of block of traditional villages in order to suggest how to build urban village in the way that can solve problems occurring in residential areas these days. The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1) Traditional villages have definite boundary and entrance, and the community area for the villages is close to the entrance to encourage community activities of villagers. 2) With an access in the form of a blind alley branched from the main road, traditional villages form a small-sized clustering and encourage community activities in a natural way. 3) Formed of block with a pattern of net, blind alley or standing in a line on both sides, traditional villages help residents to form close relations betwee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or building desirable urban villages, 1) they should have definite boundary, 2) size and location of community area should be determined in the way to activate community activities of residents, 3) roads inside the village should have branched form rather than standardized check pattern so that small-sized clustering could be formed along the branched inner roads, and 4) clustering in villages should be arranged in a line on both sides or in the form of a blind alley giving consideration to the length and width of roads. The roads should be also of a closed type so that residents could create strong bonds with their neighb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