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ce utilization

검색결과 1,059건 처리시간 0.026초

우주 자원의 상업적 이용에 관한 법적 문제 - 미국의 2015년 '우주 자원의 탐사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의 구조와 쟁점 - (Legal Issues in Commercial Use of Space Resources: Legal Problems and Policy Implications of U.S. Commercial Space Launch Competitiveness Act of 2015)

  • 김영주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19-477
    • /
    • 2017
  • 우주 공간은 천연 자원의 보고로, 미래 인류의 지속적인 생존과 번영을 위해, 언젠가는 개척해야 할 영역이다. 문제는 우주에 존재하는 수많은 자원들의 수송, 이용, 처분과 같은 민간 차원의 배타적 소유권 행사가 국제법적으로 가능하냐는 것이다. 1967년 제정된 우주조약의 경우에는 우주에 대한 국가적 소유는 금지하고 있으나 사적 소유에 대하여는 아무런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따라서 민간 기업과 같은 사적 주체에 의한 우주 자원의 재산적 권리가 가능한 것은 아닌가 하는 해석을 할 수 있다. 지난 2015년 11월 25일 미국은, 이와 관련한 '상업우주발사경쟁력법'(CSLCA)을 제정하면서, 민간 기업의 소행성 자원과 우주 자원의 점유, 소유, 이용, 수송, 처분 등에 관한 재산적 권리를 명시적으로 인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에 주목하여, 2015년 CSLCA의 구조와 법적 쟁점들을 검토해 보았다. 특히 우주 자원의 사적 소유권 쟁점을 중심으로, 국제우주법 체제의 제규정들과 비교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CSLCA 제4편 SREU Act의 타당성 여부를 검증해 보았다. 결론은, 새로운 우주 시대를 위해 우주 자원의 '사적 소유권'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우주 천체와 우주 자원을 구분하여 파악하되, (1) 우주 천체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비추출 우주 자원의 경우에는 사적 소유를 금지하며, (2) 우주 천체로부터 분리되어 추출된 우주 자원의 경우에는 사적 소유를 인정하여야 한다고 본다. 나아가 1967년 우주조약은 현대적 입법 환경에 맞추어, 새로운 우주 산업 시대를 보다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창의·인성 교육을 고려한 초등학교 공간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Planning of Elementary School in consideration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 최형주;조진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7권1호
    • /
    • pp.12-22
    • /
    • 2018
  •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 창의 인성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공간조성 계획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창의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학교의 공간조성 현황과 공간 활용 실태를 조사하였다. 또한 창의 인성 교육측면에서 학교공간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및 요구도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창의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이루어지고 있는 주요 공간별 총 23가지의 구체적인 디자인 기준(Design Criteria)을 도출하였다. 둘째, 학교 현장에서 창의 인성 교육을 위해 교사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는 공간들의 우선순위와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셋째, 학생들의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해 새로이 필요한 공간의 종류와 우선순위로 조사하였다. 넷째, 창의 인성 교육을 위한 14가지의 구체적인 공간계획 방향을 제시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한 임대아파트 실내 커뮤니티공간의 배치 및 이용실태 (A Case Study of Layout Plan and Use of Indoor Community Spaces in Rental Apartment Complexes)

  • 황연숙;변혜령;이송현;어성신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99-10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for planning apartment community spaces in order to vitalize rental apartments. Indoor community spaces of 12 rental apartments in Seoul and Kyunggi were exam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ayout types of indoor community spaces in rental apartment complexes were found out to be mostly the building type planned in the piloties of the apartment, or the singular type placed in a singular building. Depending on the layout type, the spaces were mostly concentrated at the outskirt of the complex or the in-between space of the main building, thus lowering their recognition. Thereby, they were not satisfactory for utilization of the spaces and association of residents. Second, Indoor community space legal establishment standard and square measure did not reflect resident's feature except elderly spaces, and there was problem in activation of space. Third, as for the spatial planning of indoor community space, although each space was categorized by the users' age, the furniture and appliance planning considering users was not satisfactory. The area calculation by the type of space did not reflect the users' characteristics, thus causing problems in using the facilities. Fourth, as for the management and programs of the indoor community space, spaces were managed after categorized by the major user classes such as children, seniors, and adolescents. Depending on eagerness of program managers of each apartment complex, the level of program management varied.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in most cases, almost no programs were used or merely basic management and programs were being provided.

전라남도 소재 한식 전문점 상차림 실태 조사 및 개선 방안 -서비스 방식, 배선 방법을 중심으로- (Survey on Table Sewing in Korean Food Restaurants Located in Jeollanamdo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 Focusing on the Manner of Sewing and Arrangement -)

  • 김수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55-667
    • /
    • 2010
  • In this study, problems with table serving of Korean Jeollanamdo food were investigated, and methods for improvement were suggested. The manner of food serving and arrangement on tables, as well as the serving space in each case, were investigated in representative restaurants serving Jeollanamdo food.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Jeollanamdo Korean food have a prototype of a flat serving sprea, wherein the main dish and side dishes are not clearly identified, the demarcation between shared space and personal space is insufficiently made for each serving on the table, and the table is full of side dishes, that are narrow, visually disordered and unhygienic, both in terms of the table setting and arrangement inside bowls. To provide sufficient eating space, elevate awareness of hygienic and clean serving, and identifying the main dish in the table setting, a serving method that is a compromise between the flat spread-out and time-series development was suggested, and an arrangement on the table was defined for the main dish and side dishes. The utilization of table space was also increased by reducing the number of dishes on the table at a given moment. In addition, the dish or bowl and arrangement inside the container were changed in order to distinguish the main dish and side dishes. It is suggested that some of tableware be linked with the special products of the locality so as to make a brand for them, and that a personal mat be used to arrange the tableware for each one, since there are many fermented food items (salted fish, kimchi, fermented paste and sauce, etc.) and boiled food items (stew, steamed dish, boiled dish in sauce, etc) that look dark and unfocused.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width and breadth of the dishes or bowls be set in an orderly manner. Considering the tables currently available at restaurants, personal space on a table and comfortable distance between eaters are suggested to be $400 mm{\times}250 mm$ and 300 mm, respectively.

이동체의 색인을 위한 시간 기반 R-트리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time-based R-tree for indexing moving objects)

  • 전봉기;홍봉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0권3호
    • /
    • pp.320-335
    • /
    • 2003
  • 위치 기반 서비스는 이동체의 위치에 따라 종속적인 결과를 얻는 위치 기반 질의를 필요로 하게 하였다.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은 위치 기반 서비스에서는 중요한 응용 중의 하나이다. 효과적인 질의 처리를 위해 이동체 데이터베이스는 연속적으로 위치를 변경하는 이동체의 이동을 관리하는 3차원 색인을 필요로 한다. 2차원 R-tree의 확장으로 시간 도메인을 포함하는 3DR-tree와 같은 이동체 색인은 노드 간의 높은 중복과 사장 공간으로 인하여 낮은 공간 활용도와 검색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논문에서 제시하는 TR-tree는 R-tree 기반의 색인으로서, 시간 도메인의 성장을 고려하여 시간 축 분할 시 비균등 분할 정책을 사용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였다. 노드간의 중복과 사장 공간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강제 합병 정책을 사용하여 중복이 심한 노드를 강제 합병 시킨다. 또한 오버플로우 노드의 분할 시에 노드간의 중복을 심하게 하는 원인이 되는 긴 선분을 절단 정책을 사용하여 2개의 선분으로 절단하여 분할 노드 간의 중복을 제거한다. 실험 평가 결과에서 TR-tree는 3DR-tree와 TB-tree 보다 성능이 우수하였으며, 특히 R-tree와 R*-tree보다 색인의 크기가 작다.

채널 간격 변화에 따른 해수냉난방용 판형 열교환기의 열전달과 압력강하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heat transfer and pressure drop of plate heat exchanger using at seawater air conditioning with the variation of channel spaces)

  • 김현주;이호생;윤정인;손창효;정영권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6호
    • /
    • pp.704-709
    • /
    • 2014
  • 판형열교환기는 해양온도차와 해수냉난방 시스템과 같은 해양플랜트 및 화학공업의 분야에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판형열교환기의 채널 간격과 같은 설계 변수를 결정하기 위해서 판형열교환기 내 열전달과 압력강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판형열교환기의 채널 간격 변화에 따른 열전달 성능을 수치적으로 연구하였다. 수치적 분석 결과로부터 해수 유량 변화와 함께 j factor는 선형적으로 감소하였다. 판형열교환기 채널 간격 변화에 따라 유량이 증가할수록 j factor는 선형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유량의 증가와 함께 f factor는 선형적으로 감소하였다. 물측과 해수측의 열전달 특성과 압력강하 특성을 각각 더하여 비교한 결과, 열전달 성능은 2.4-2.4 mm가 가장 우수하므로, area goodness factor가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코로나19 발생 전·후 대학도서관 열람실 이용행태 비교 연구 - J대학교 중앙도서관 이용 로그를 기반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Usage Behavior of University Libraries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Based on the Reading Room Log of J University Central Library)

  • 허상덕;오효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07-228
    • /
    • 2022
  • 학업 및 취업 준비에 대부분의 시간을 쏟는 20대 대학생에게 있어 학습 공간으로써 대학도서관의 역할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코로나19 시기의 이용 행태 변화를 통해 도출된 이용자의 요구를 대학도서관 열람실 공간에 반영하여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먼저 코로나19 전·후의 대학도서관 열람실 이용 행태를 비교하여 변화와 특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지역 거점 국립대학교인 J대학교를 선정, 중앙도서관의 코로나19 전·후 3개년도에 해당하는 2019~2021학년도의 열람실 이용로그 579,555건을 수집하여 열람실 활용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120,090건의 자료 이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서관 이용 방문 목적을 비교하였고 각 열람실별 특성과 이용률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팬데믹 이후 뉴노멀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도서관 열람실 운영 및 공간 재구성 정책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고대한다.

한국형 달 탐사용 원자력전지의 열제어 구조 연구 (Study on the Thermal Design of Nuclear Battery for Lunar Mission)

  • 홍진태;손광재;김종범;박종한;안동규;양동열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71-277
    • /
    • 2016
  • For a stable electric power supply in the space, nuclear batteries have been used as the main power source in a spacecraft owing to their long lifetime and high reliability. In accordance with the plan for lunar mission in Korea, nuclear batteries will supply electricity to the rover that needs to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bout the estimated payload,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started with the conceptual design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in USA and Russia. Because a nuclear battery converts the decay heat of the radioisotope into electricity, thermal design, radiation shield, and shock protection need to be considered. In this study, two types of nuclear batteries, radial type and axial type, were designed according to the alignment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Heat transfer analyses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ir thermoelectric efficiency, and test mockups were fabricated to evaluate their performances.

농촌지역 진단을 위한 지표 선정과 공공데이터 활용 방안 - 사회·환경·문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lection of Indicators and the Utilization of Public Data for the Diagnosis of Rural Areas - Focusing on Soci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Data -)

  • 도지윤;김상범;김수연
    • 농촌계획
    • /
    • 제29권4호
    • /
    • pp.153-163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data utilization plans and suggest solutions based on the need for tools that can objectively diagnose problems in rural areas. The study extracted items through prior research and was carried out as a process of reviewing data capable of constructing spatial data. The results performed in the above manner are as follows. First, prior research and expert surveys were conducted to select diagnostic items to derive details of a total of three items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rural space plans such as regional revitalization and regeneration using reg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environment, society, and culture. Second, as a result of listing data available for regional diagnosis, 6 types of environment, 15 types of society, and 18 types of culture were selected out of a total of 529. Finally, it was suggested to establish a national standard spatial unit by grasping the limitations of public data such as omission of spatial data and accurac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implications for data utilization as well as selection of items for rural diagnosis and reviewed data utilization based on rural specialized districts of "The Act on Support for Restructuring and Regeneration of Rural Spaces" to be implemented in 2024. This is considered to be valuable as a study for sustainable rural diagnosis if processes such as spatial data construction and weight setting are carried out in the future.

문화재 활용 사업 모니터링 및 평가 - 2016년 살아 숨 쉬는 향교·서원 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 (A Monitoring and Evaluation on the Project for Utilization of Cultural Property - Focused on the Project "Living and Breathing Hyanggyo·Seowon" in 2016 -)

  • 박동석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94-104
    • /
    • 2017
  • 본 연구는 문화재청이 2016년도에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으로 추진하는 살아 숨 쉬는 향교 서원문화재 만들기 사업의 예산지원을 받은 전국 77개 향교 서원문화재 활용 사업을 대상으로 문화재 활용에 대한 이해를 갖고 있는 전문 인력을 중심으로 전문가 현장평가 및 컨설팅과 일반인 모니터링 그리고 관람객 만족도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에 사업의 계획 운영 실적 성과 연차별 특별지표 부문에 종합평가는 모두 양호 수준으로 나타났다. 사업의 종합적인 성과 중 우수한 점으로는 첫째, 지역의 문화재 향유권 신장, 둘째, 지역 내 문화재 활용 인적 네트워크 확대, 셋째, 지역 내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 넷째, 자유학기제 연계 사업을 통한 문화재 활용 교육콘텐츠의 다양화 등이 있었다. 반면 미흡한 점으로는 첫째, 프로그램 품질 저하, 둘째, 사업계획 대비 실행 부족, 셋째, 지자체의 관심 및 참여 미흡, 넷째, 홍보부족, 다섯째, 자유학기제의 경우 지역 문화재 특성이 반영된 교육콘텐츠 부족 등이 있었다. 사업의 발전 방안으로는 첫째, 향교 서원문화재의 특성을 살린 프로그램 개발, 둘째, 외국인 대상 프로그램 개발, 셋째, 전문 인력 양성, 넷째, 홍보 확대, 다섯째, 새로운 강의 기법 개발, 여섯째, 지역 내 열린 공간으로 활용, 일곱째, 공간별 활용 계획, 여덟째, 평가제도 개선, 아홉째, 관람객 의견 반영 강화, 열 번째, 사업별 집중 컨설팅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