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

검색결과 11,896건 처리시간 0.04초

양배추 김치의 숙성과정 중에 나타나는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abbage Kimchi during Fermentation)

  • 조희숙;박복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5호통권95호
    • /
    • pp.600-608
    • /
    • 2006
  • 토하액젓, 멸치액젓 및 새우젓을 각각 첨가하여 담근 양배추 김치를 4${\pm}$1$^{\circ}C$에서 49일 동안 발효 숙성시키면서 이화학적 특성 및 경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발효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pH는 모든 군에서 점차로 낮아졌고, 총산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젓갈 첨가 양배추 김치의 경우 대조군보다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산화환원전위 값은 발효가 진행되면서 7일 전까지는 급격하게 감소하다가 그 이후에는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환원당 함량은 발효가 진행되면서 감소하였는데, 새우젓 첨가 양배추김치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총 비타민 C 함량은 젓갈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양배추 김치의 발효숙성 중 명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감소하여 멸치액젓 첨가 양배추 김치가 가장 완만하게 감소하였으며, 적색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로 증가하였다가 35일 이후부터 다시 감소하였고, 황색도는 적색도와 비슷한 경향으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경도는 발효숙성 14일까지 모든 시료에서 감소되었으며, 그 이후 증가하였다가 감소하였는데, 멸치액젓 첨가 양배추 김치, 대조군, 새우젓 첨가 양배추김치 및 토하액젓 첨가 양배추 김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가용성 펙틴의 함량은 숙성과정 중 산가용성, 염가용성 및 열수가용성 펙틴의 순으로 그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숙성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용성 펙틴질인 열수가용성 펙틴 함량은 감소하였고, 저 methoxyl 기를 가진 염가용성 펙틴과 protopectin인 산가용성 펙틴 함량은 증가하였다. 또한 젓갈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산가용성 펙틴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젓갈을 첨가하여 담근 양배추 김치에서 대조군보다는 토하액젓과 새우젓 첨가 양배추 김치가 환원당, 총 비타민 C, 경도, 열수가용성 펙틴 및 산가용성 펙틴에서 높게 나타났다.

Allium 속 식물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 효과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Inhibitory Effects on Tyrosinase and Elastase by Water Extracts of Allium sp.)

  • 찌아위엔;양밍;박인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47-25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Allium 속 식물인 달래, 대파, 양파의 물 추출물에 존재하는 항산화 활성과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 효과를 확인하여 화장품 자원으로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의 실험에 사용한 식물 물 추출물의 $IC_{50}$은 양파($IC_{50}=19.81mg/mL$) < 달래($IC_{50}=21.50mg/mL$) < 대파($IC_{50}=137.87mg/mL$) 순으로 높았다. 그리고 ABTS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에도 양파($IC_{50}=7.67mg/mL$) < 달래($IC_{50}=8.17mg/mL$) < 대파($IC_{50}=11.88mg/mL$) 순으로 DPPH 라디칼 소거능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그리고 달래 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달래 물 추출물(43.03 mg/g)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양파(38.27 mg/g), 대파(30.01 mg/g) 순이었다. Tyrosinase의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대파 물 추출물($IC_{50}=36.95mg/mL$) < 양파($IC_{50}=37.31mg/mL$) < 달래($IC_{50}=51.97mg/mL$) 순으로 대파 물 추출물이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 다음, elastase의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달래 물 추출물($IC_{50}=298.37$ < 대파 $IC_{50}=323.75mg/mL$) < 양파($IC_{50}=367.21mg/mL$) 순으로 달래 물 추출물이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가열처리에 의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과 tyrosinase 저해 활성이 일반 실험군보다 더 우수하게 나타났는데, elastase 저해 활성 실험에서는 반대로 가열 처리한 실험군이 일반 실험군보다 현저한 차이로 낮게 나타났다.

키토산 효소분해물을 이용한 어육연제품의 유통기간 연장 (Utilization of Chitosan Hydrolysate as a Natural Food Preservative for Fish Meat Paste Products)

  • 조학래;장동석;이원동;정은탁;이은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817-822
    • /
    • 1998
  • 키토산 분해효소 활성이 높은 미생물로 Aspergillus oryzae ATCC 22787를 탐색해 내었으며, 이 균주를 키토산 0.5%, yeast extract 0.5% 조성의 배지에 배양하여 효소를 생산하였다. 고분자 키토산은 효소분해가 진행되어 감에 따라 항균력이 증가하였는데, 2%용액의 점도가 $10{\sim}5{\;}cp{\;}(30^{\circ}C)$에서 균 증식 억제력이 가장 강하게 나타나 고분자 키토산에 비해 약 40배 가량 항균력이 증가하였다. 또한 키토산용액 특유의 떫은 맛도 키토산이 저분자화되어감에 따라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그러나 점도 4.0 cp 이하의 극히 저분자의 키토산은 항균력이 오히려 소실되었다. 효소분해물을 0.3% 첨가한 제품은 pH 7.0, 0.5% 첨가 제품은 pH 6.9로서 무첨가 제품의 pH 7.4 보다는 약간 낮았다. 효소분해물의 첨가로 제품의 색상은 약간 황색화되었으나 0.3% 정도의 첨가로는 별 문제가 없었다. 탄력은 조금 향상되었고, 맛에도 문제가 없었다. 어묵에 효소분해물을 0.3% 첨가하고 $30^{\circ}C$에서 저장하였을 때 저장기한이 무첨가구에 비해 2일 연장되었고, $20^{\circ}C$ 저장시에는 4일, $15^{\circ}C$ 저장시에는 6일 가량 연장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 PDF

Bifidobacterium bifidum을 이용한 밀가루 brew가 반죽의 이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heat Flour Brew with Bifidobacterium bifidum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Dough)

  • 조남지;이시경;김성곤;주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832-841
    • /
    • 1998
  • Bifidobacterium bifidum을 빵에 첨가하므로서 경제적으로 빵의 품질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밀가루 brew에 접종한 후 배양시키면서 반죽의 리올로지 성질, 성장곡선, 산 생성량 및 효모와의 공생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밀가루 brew에서의 bifidobacteria 성장은 초기접종량 이상 증가되지 않고, 배양 24시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밀가루 brew에서 pH는 배양 12시간까지 계속 감소되었고 적정산도는 증가하였다. 밀가루 brew에서 배양된 bifidobacteria와 효모와의 공생효과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밀가루 brew에서 탈지분유 배지와는 달리 아세트산 보다 락트산이 더 많이 생성되었다. 밀가루 brew첨가가 반죽의 리올로지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파리노그람에서 밀가루 brew의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원료 밀가루의 흡수율, 안정도 및 반죽시간이 감소하였다. 익스텐소그람에서도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저항성이 증가되고 신장성이 감소하여 R/E 비율이 증가되었으며, 동일 발효시간에서 약 2배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와 같은 반죽의 물성 변화는 발효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호화특성에서는 밀가루 brew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최고 점도는 급격히 낮아졌으며, 전분의 결정성과 관련이 있는 break down값 및 set back 값이 감소하여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노화가 지연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PDF

한산 소곡주의 시어짐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ouring of Hansan Sogokju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 이찬용;김태욱;성창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7-121
    • /
    • 1996
  • 한국 전통민속주의 한 종류인 한산 소곡주는 여름철에는 저장 도중 급속히 시어져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잃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 시어짐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소곡주 제품에 잔존하고 있는 미생물의 분리 및 동정, 정상 소곡주와 시어진 소곡주에서의 미생물 균총의 차이, pH변화, 유기산 함량 등을 조사하였다. 정상 소곡주에 존재하는 유기산의 대부분은 lactic acid였고, 그 농도는 161 mM 였으며 그 외에도 소량의 acetic acid, malic acid, propionic acid가 존재하였다. 소곡주에 존재하는 미생물 균총은 Lactobacillus속 균, Bacillus속 균, 그리고 yeast로 동정되었다. $30^{\circ}C$에 18일 동안 방치한 소곡주는 pH가 4.01에서 3.29로 떨어졌고 산함량은 9에서 34.86으로 증가했다. 정상 소곡주와 비교한 경우 시어진 소곡주에 현저하게 증가한 양이 존재하는 유기산은 lactic acid로서 그 농도는 192 mM이었으며, 그외의 다른 유기산의 농도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소곡주 시어짐의 원인은 소곡주 내에 잔존하는 Lactobacillus속 세균에 의한 추가적인 젖산의 생성때문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소곡주의 품질은 $15^{\circ}C$에서 41일 동안 유지되었다.

  • PDF

남자 고등학생 흡연장의 영양상태 판정 및 흡연관련 요인분석 -1.식이 섭취 실태와 체내 지질 및 항산화 비타민 영양상태- (Ass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and Factors Related to Smoking in Adolescent Males -1.Dietary Intakes and Nutritional Assessment of Serum Lipids and Antioxidant Vitamins in Adolescent Male Smokers-)

  • 김정희;임재연;김경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349-357
    • /
    • 1998
  •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olescent smoking on dietary intakes and nutritional status of serum lipids and antioxidant vitamins. Subjects were 82 somkers whose average pack-year was 0.73, and 85 nonsmokers of male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thropometric measurement was performed and % body fat was also analyzed by Bioelectrical Impedance Fatness Analyzer(GIF-891). Dietary intakes and habits were examin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nutrient intakes were analyzed by Computer Aided Nutritional (CAN) analysis programs. Serum TG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were measured by Spotchem sp-4410 and serum HDL-cholesterol levels were measured by test kit. serum vitamin C level was measured by 2,4-dinitrophenylhydrazine method and serum levels of vitamin A and vitamin E were measured by HPLC. All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AS PC package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fat percentage and systolic blood pressure while other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re not different between smokers and monsmokers. Caloric intakes(2335㎉) in adolescent smokers tended to be higher than that of nonsmokers (2,175㎉)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akes of protein(76.67g) and niacin(16.49㎎) in adolescent male smokers were significantly higher(P<0.05) than those of nonsmokers although other nutrient intak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nalysis of serum lipids showed that serum HDL-cholesterol level of smoke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nalysis of serum lipids showed that serum HDL-cholesterol level of smokers was significantly lower(p<0.05) than that of nonsmokers, whereas other lipid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Serum vitamin C level was also significantly lower(p<0.05) in adolescent smokers than in nonsmokers. In addition, serum vitamin E level, which was 7.85㎎/1 in smokers, was lower than that of 9.20㎎/1 in nonsmokers(p<0.05) while serum vitamin A leve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igarette smoking in adolescence decreases serum levels of HDL-cholesterol, vitamin C and vitamin E even thoughth their smoking history is very short.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3(3) : 349∼357, 1998)

  • PDF

곤쟁이, Neomysis awatschensis의 에너지수지에 미치는 PCBs의 영향 I. 곤쟁이에 미치는 PCBs의 급성 및 만성영향 (Effects of PCBs (Polychlorinated Biphenyls) on Energy Budget in Mysid, Neomysis awatschensis I. Acute and Chronic Effects of PCBs on Mysid, Neomysis awatschensis)

  • 진평;신윤경;전은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5-103
    • /
    • 1998
  • 연안 및 천해에 서식하는 반부유성 갑각류인 곤쟁이, Neomysis awatschensis를 대상으로 수온별 PCB의 시험농도에 따른 생물검정, 성장, 호흡 및 질소배설 등을 측정하여 PCB의 영향으로 인한 생리적 변화를 알아보았다. 곤쟁이에 미치는 PCB의 96시간 후의 반수치사 농도 (96 hr.-$LC_50$)는 $10^{\circ}C$에서 28.7492ppb, $20^{\circ}C$에서는 10.6742 ppb였다. PCB의 만성농도에서 약 60일간 노출시킨 후 생존율은 $10^{\circ}C$의 경우, 0.5ppb에서 $85\%$, 1.0ppb에서 $80\%$ 였으며, 1.5ppb와 2.0ppb에서는 $75\%$를 나타내었으며, $20^{\circ}C$의 경우는 0.5ppb에서 $85\%$, 1.0ppb와 1.5ppb에서 $75\%$, 그리고 2.0ppb에서는 $65.0\%$를 나타내었다. PCB의 각 만성농도에 노출시킨 곤쟁이의 평균체장성장율은 $10^{\circ}C$의 경우 대조구의 경우 0.039mm10ay, PCB농도 2.0ppb에서는 0.036mm/day를 였으며, $20^{\circ}C$에서는 대조구에서 0.072mm/day, 2.0ppb에서 0.039mm/day를 나타내었다. PCB는 탈피간체장증가율에는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탈피기간에는 개체의 크기와 수온에 따라 영향을 나타내었다. 수온별 PCB의 각 실험농도에 노출시킨 곤쟁이의 호흡 및 질소배설량의 변화는 PCB 실험농도의 고수온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섭이 및 동화효율은 $10^{\circ}C$$20^{\circ}C$에서 PCB농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급원이 다른 n-3 지방산이 흰쥐에서 면역반응과 Prostaglandin $E_2$ 및 Leukotriene $B_4$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Sources of Dietary n-3 Fatty Acids on Immune Response and Eicosanoids Production)

  • 김우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97-703
    • /
    • 1997
  • 본 연구는 급원이 다른 n-3 지방산 섭취가 휜쥐에서 면역반응과 PGE$_2$ 및 LTB$_4$ 생성에 미치는 영항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실험동물은 생후 4주 정도의 Sp-rague-Dawley종 수컷을 사용하였으며 실험식 이를 4 주간 섭취 시 킨 후 희생하여 면역 실험을 행하였다. 실험 군간의 식이 섭취량, 체중 증가량, 식이 효율, 비장무게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비장세포의 ConA와 PWM에 대한 증식능력 실험 결과는 ConA의 경우, 대조군과 FO군의 증식비율은 비슷하였고 PO군이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PW의 경우는 대조군 보다 FO군과 PO군이 높게 나타나 n-3 지방산을 섭취한 군들이 증식 능력이 높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PGE$_2$의 농도는 대조군이 FO군과 PO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LTB$_4$의 농도는 실험군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비장세포의 PWM에 대한 증식능력이 n-3 지방산을 섭취한 경우에 대조군보다 높았던 것이 PGE$_2$ 농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들기름과 어유는 같은 정도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방사선(放射線)에 의(依)한 밤나무의 돌연변이(突然變異) 육종(育種)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Mutation Breeding in Castanea SP.)

  • 김지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0-84
    • /
    • 1975
  • 밤나무와 약밤나무의 종자(種子), 접수(接穗) 및 생체(生體)에 감마선(線)을 총선량별(總線量別), 총량률별(總量率別)로 조사(照射)하여 방사선(放射線)의 생물학적(生物學的) 효과(効果) 및 돌연변이(突然變異)의 유기(誘起)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한다. 1. 밤나무의 ${\gamma}$선조사(線照射)에 의(依)한 종자발아율(種子發芽率) 반감선량(半減線量)은 4.6 kR 인데 접목활착율(接木活着率) 반감선량(半減線量)은 3.1 kR으로 더욱 높은 감수성(感受性)을 보였다. 2. 종자조사(種子照射) 5 kR구(區)에서 낮은 빈도(頻度)(0.84%로 albino 개체(個體)가 나타났으며 선량(線量)의 증가(增加)에 따라 묘장(苗長)이 유의성(有意性)있게 감소(減少)하였다. 3. 접수조사(接穗照射)에 의(依)한 접목활착율(接木活着率) 반감선량(半減線量)은 급조사(急照射)에서 약밤나무 및 밤나무가 3.2 kR 및 3.1 kR인데 반급조사(半急照射)에서는 10.2 kR으로서 3배(倍)의 높은 누적선량(累積線量)의 조사(照射)가 가능(可能)하였다. 4. 약밤나무의 휴면기(休眠期) 생체(生體) 완조사(緩照射)의 총선량(總線量) 7.5-4.9 kR, 선량율(線量率) 10-98 R/day구(區)에서 대형엽아조변이(大形葉芽條變異)가 높은 빈도(頻度)(16.6%)로 나타났으며 평균엽면적(平均葉面積) $96.36cm^2$로서 정상엽(正常葉) $26.28cm^2$보다 매우 컸다.

  • PDF

리기다 소나무 유묘(幼苗)에 기생(寄生)하는 병원성(病原性) Alternaria균(菌)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2보(第二報) (Studies on the Pathogenic Alternaria Isolated from Seedlings of Pinus rigida Mill. - part II)

  • 윤정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9-23
    • /
    • 1967
  • 본대학묘포(本大學苗圃)의 리기다소나무 파종상(播種床)에서 입고증상(立枯症狀)의 이병묘(罹病苗)로 부터 분리(分離)한 Alternaria SP.균(菌)의 발육(發育)에 미치는 H-ion농도(濃度)의 영향(影響), 분생포자발아(分生胞子發芽)에 미치는 온도습도(溫度濕度)의 영향(影響) 분생포자형성(分生胞子形成)에 미치는 온도(溫度) 습도(濕度)의 영향(影響)에 대(對)하여 시험(試驗)한바를 요약(要略)하면 다음과 같다.1. 본균(本菌) 발육(發育)에 적당(適當)한 PH의 범위(範圍)는 4.0~9.5로 PH 간(間)의 균발육(菌發育)에 그리 큰 영향(影響)을 나타내지는 않으나 기중(其中) PH 6.5~8.0에서 발육(發育)이 가장 좋았다. 2 발생포자(發生胞子)는 $0^{\circ}C$이하(以下) $40^{\circ}C$이상(以上)의 온도(溫度)에서는 발아(發芽)가 억제(抑制)되고 $5^{\circ}C{\sim}35^{\circ}C$가 발아적온(發芽適溫)이나 기중(其中)에서 $20^{\circ}C$서 발아율(發芽率)이 가장 높았다. 관계온도(關係溫度) 10%이하(以下)에서는 발아(發芽)하지 않았고 85%이상(以上)에서 발아율(發芽率)이 좋았다. 3. 분생포자(分生胞子) $10^{\circ}C$이하(以下) $34^{\circ}C$이상(以上)에서는 형성(形成)되지 않고 온도(溫度) $22^{\circ}C{\sim}28^{\circ}C$ 범위(範圍)에서 관계습도(關係濕度) 85%이상(以上)인 경우(境遇) 형성율(形成率)이 가장 좋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