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seed

검색결과 766건 처리시간 0.028초

콩나물의 무기이온 및 비타민 함량 (Contents of Minerals and Vitamines in Soybean Sprouts)

  • 윤정은;김희선;이경애;김용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26-232
    • /
    • 2011
  • 우량 나물콩 품종 육성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판 콩나물 및 장려품종 나물콩으로 재배된 콩나물을 사용하여 콩나물의 무기이온 함량과 비타민 함량을 분석하였다. 1. 콩나물의 무기이온 함량은 K, Ca, Mg, Na, Fe, Zn, Mn, Cu의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콩나물을 자엽과 배축으로 분리하여 함량을 분석한 결과 자엽에서의 무기이온 함량은 전체 콩나물과 같은 양상으로 축적되어 있었으나 배축에서는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2. 뜨거운 물에 콩나물을 데칠 경우 많은 양의 무기이온이 물로 용출되며 특히 K의 함량 감소가 컸다. 3. 콩나물의 비타민 C 함량은 품종에 따라 변이가 있었으며, 콩나물을 열처리할 경우 비타민 C는 급속하게 감소되었다. 4. 콩나물에서의 비타민 B군(niacine, thiamin, pyridoxin)은 품종별로 함량 차이가 있었으며 대부분 자엽부위에 축적되어 있었다.

Polymorphism and Expression of Isoflavone Synthase Genes from Soybean Cultivars

  • Kim, Hyo-Kyoung;Jang, Yun-Hee;Baek, Il-Sun;Lee, Jeong-Hwan;Park, Min Joo;Chung, Young-Soo;Chung, Jong-Il;Kim, Jeong-Kook
    • Molecules and Cells
    • /
    • 제19권1호
    • /
    • pp.67-73
    • /
    • 2005
  • Isoflavones are synthesized by isoflavone synthases via the phenylpropanoid pathway in legumes. We have cloned two isoflavone synthase genes, IFS1 and IFS2, from a total of 18 soybean cultivars. The amino acid residues of the proteins that differed between cultivars were dispersed over the entire coding region. However, amino acid sequence variation did not occur in conserved domains such as the ERR triad region, except that one conserved amino acid was changed in the IFS2 protein of the GS12 cultivar ($R_{374}G$) and the IFS1 proteins of the 99M06 and Soja99s65 cultivars ($A_{109}T$, $F_{105}I$). In three cultivars (99M06, 99M116, and Simheukpi), most of amino acid changes were such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amino acid sequences of IFS1 and IFS2 was reduced. The expression profiles of three enzymes that convert naringenin to the isoflavone, genistein, chalcone isomerase (CHI), isoflavone synthase (IFS) and flavanone 3-hydroxylase (F3H) were examined. In general, IFS mRNA was more abundant in etiolated seedlings than mature plants whereas the levels of CHI and F3H mRNAs were similar in the two stages. During seed development, IFS was expressed a little later than CHI and F3H but expression of these three genes was barely detectable, if at all, during later seed hardening.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levels of CHI, F3H, and IFS mRNAs were under circadian control. We also showed that IFS was induced by wounding and by application of methyl jasmonate to etiolated soybean seedlings.

지대 및 품종(재배종)별 콩사포닌그룹B 함량의 비교 (Comparison of Soyasaponin Group B Contents in Soybean Seed by Different Cultivars and Regional Background)

  • 남정환;정진철;윤영호;홍수영;김수정;진용익;지삼녀;김현삼;옥현충;노주원;판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94-400
    • /
    • 2012
  • Soyasaponin group B함량의 재배지대간 비교에서는 고랭지와 평난지에서 상이한 차이를 보였으며 품종 간에는 대부분 자엽색이 녹색이고 종피색이 검정색인 콩의 soyasaponin group B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soyasaponin성분의 함량은 재배종의 종류 즉 유전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고랭지와 평난지처럼 환경적 요인이라고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식물이 환경적인 스트레스에 대한 생명유지 및 공격방어물질(Secondary matabolites, 이차대사산물)이 식물내 생합성과정 중에서 변이를 보이는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Bacillus subtilis var. globigii 종균접종 메주로 제조한 콩 품종별 간장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anjang Prepared with Meju Cultivated on Different Soybean Cultivars with Bacillus subtilis var. globigii Seed Culture)

  • 최청;최종동;정현채;권광일;임무혁;김영지;서정식;최광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4호
    • /
    • pp.283-287
    • /
    • 1999
  • 태광콩, 검정콩1호, 신팔달콩2호, 황금콩, 단백콩, 단엽콩을 공시재료로 하고 Bacillus subtilis var. globigii를 메주제조용 균주로 사용하여 간장을 제조하고 그 성분 특성을 조사하였다. 원료 콩의 조단백질 함량은 단백콩이 47.5%로 가장 높았으며, 유리당 함량은 검정콩1호와 단백콩이 각각 15.87%, 13.33%로 가장 높았다. Bacillus subtilis var. globigii 종균을 접종하여 만든 메주로 제조한 간장의 총질소함량은 단백콩으로 제조한 간장에서 1.18%로 가장 높았으며, 간장의 유리당과 유기산 함량은 콩 품종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succinic acid가 주된 유기산임을 보여주었다. 단백콩 간장의 총 유리아미노산과 glutamic acid 함량도 각각 3365 mg%와 737.44 mg%로 가장 높았다. 원료콩의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은 단백콩이 간장의 총 유리아미노산, glutamic acid 함량 및 총 아미노산에 대한 glutamic acid의 비율이 가장 높아서 간장용 콩 품종으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알팔파와 베치의 추출물 및 잔유물의 콩과 옥수수에 대한 타감작용 (Allelopathic Influence of Alfalfa and Vetch Extracts and Residues on Soybean and Corn)

  • 정일민;김기준;김광호;안종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95-305
    • /
    • 1994
  • 본 실험은 alfalfa 와 vetch의 추출물과 잔유물의 콩과 옥수수에 대한 타감작용을 검정하기 위해서 실시 되었다. 콩과 옥수수에 대한 타감작용을 검정하기 위해서 영양생장기 때에 수확된 alfalfa 와 vetch를 건조시켜 추출물을 얻었고 또한 이들 잔기를 silica sand와 혼합처리하여 콩과 옥수수의 생육을 검토 하였고, 콩에 대해서는 근류균의 착생정도를 조사 하였다. 1. 발아시험에서는 롱과 옥수수의 발아율, 유근의 생장, 무게 등이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억제 되었으며, 최고 억제정도는 추출물 농도 20%에서 발생되었다. 추출물에 대하여 콩이 옥수수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alfalfa의 추출물이 vetch의 추출물보다 더 억제적이었다. 2. Alfalfa와 vetch를 silica sand에 혼합하여 콩과 옥수수의 간장, 엽면적, 지상부의 생육정도를 비교하였을 때 콩의 간장, 업면적, 지상부 생육은 alfalfa처리에서 더 억제적 이었으며, 옥수수의 생육은 vetch 처리에서 촉진 되었다. 3. Alfalfa와 vetch처리가 모두 콩 뿌리혹의 형성을 억제시켰는데 alfalfa처리가 vetch의 처리보다 뿌리혹의 형성을 더 억제 시켰다. 4. Alfalfa와 vetch의 추출물과 잔기의 처리는 옥수수보다는 콩의 발아와 생육에 더 억제적으로 작용하므로 콩 재배의 경우에는 이들 잔기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진다.

  • PDF

Inheritance of P34 Allergen Protein in Mature Soybean Seed

  • Sung, Mi Kyung;Seo, Jun Soo;Kim, Kyung Roc;Han, Eun Hui;Nam, Jin Woo;Kang, Dal Soon;Jung, Woo Suk;Kim, Min Chul;Shim, Sang In;Kim, Kyung Moon;Chung, Jong Il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15-119
    • /
    • 2011
  • Soybean proteins are widely used for human and animal feeds worldwide. The use of soybean protein has been expanded in the food industry due to their excellent nutritional benefits. But, antinutritional and allergenic factors are present in the raw mature soybean. P34 protein, referred as Gly m Bd 30K, has been identified as a predominant immunodominant allergen.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genetic mode of P34 protein for the improvement of soybean cultivar with a very low level of P34 protein. Two $F_2$ populations were developed from the cross of "Pungsannamulkong" ${\times}$ PI567476 and "Gaechuck2ho" ${\times}$ PI567476 (very low level of P34 protein). Relative amount of P34 protein was observed by Western blot analysis. The observed data for the progeny of "Pungsannamulkong" and PI567476 were 133 seeds with normal content of P34 protein and 35 seeds with very low level of P34 protein (${\chi}^2=1.157$, P=0.20-0.30). For the progeny of "Gaechuck#1" and PI567476, the observed data were 177 seeds with normal content of P34 protein and 73 seeds with very low level of P34 protein (${\chi}^2=2.353$, P=0.10-0.20). From pooled data, observed data were 310 seeds with normal content of P34 protein and 108 seeds with very low level of P34 protein (${\chi}^2=0.156$, P=0.50-0.70). The segregation ratio (3:1) and the Chi-square value obtained from the two populations suggested that P34 protein in mature soybean seed is controlled by a single major gene. Single gene inheritance of P34 protein was confirmed in 32 $F_2$ derived lines in $F_3$ seeds, which were germinated from the low level of P34 protein obtained from the cross of "Pungsannamulkong" and PI567476. These results may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o breed for new soybean line with low level of P34 protein and identification of molecular markers linked to P34 locus.

남부지역의 논 토양에 적합한 콩(Glycine max (L.) Merrill) 품종의 선발 (Selection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Cultivars Suitable for Cultivation in the Paddy Fields of the Southern Korea)

  • 오서영;최지수;오성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71-78
    • /
    • 2024
  • 남부지역 논 토양에 적합하면서 기계화 작업이 용이한 콩 품종을 선발하고자, 수종의 품종을 논에서 재배하여 생육 및 수확량을 확인하고 콩 종실의 영양학적 가치를 평가하였다. 경장은 청자3호, 대원과 선풍이 55 cm 이상으로 길고, 착협고는 대원, 선풍, 선유2호가 12 cm이상으로 높았다. 종실 수량은 대찬, 선풍, 대원이 280 kg/10a 이상으로 높았다. 종실의 단백질 함량은 대찬이 40.7%로 가장 높았고, 이소플라본은 선풍, 청자3호, 대찬, 대원이 200 ㎍·g-1 이상으로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종실 수량이 많은 대찬, 선풍, 대원이 남부지역 논토양에 적합하고, 경장이 비교적 길고 착협고가 높은 대원과 선풍은 수확 시 콤바인과 같은 기계화 작업을 위해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찬과 선풍은 다른 품종들에 비하여 종실 수확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단백질과 이소플라본 함량이 높아 여러 가지 식품 생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주요식량작물 종자세 개선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actical Methods to Control Seed Vigour in Several Food Crops)

  • 김진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28-138
    • /
    • 1994
  • 발아의 신속성과 균일성을 높이기 위하여 벼, 보리, 콩 종자에 대하여 몇가지 화학물질처리와 종자의 흡습건조처리를 통하여 종자퇴화지연효과를 검토하였다. 처리한 생장촉진제 및 노화지연제간에 경미한 차이는 있었으나 GA$_3$가 벼의 발아율을 높인것 외에는 뚜렷한 종자세 개선의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노화종자를 PEG용액에 흡습건조처리할 경우 용액농도가 높을수록 평균발아일수가 길어지고 발아율이 낮아지는 경향이나 발아율 유지의 효과나 발아균일성향상의 효과는 없었다. 저온, 과습 및 삼투조건 등 불량한 환경에 대한 발아반응도 미미하였다. 어느 처리도 종자세 개선에 뚜렷한 효과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GA$_3$ 처리가 전체적으로 발아반응이 그 중 좋은 편이었다.

  • PDF

연밥의 유지와 단백질의 구성에 관한 연구 (Chemical Composition of Lutus Seed(Nelumbo nucifera Gaertner) and Their Lipid and Protein Composition)

  • 신동화;김인원;권경순;김명숙;김미라;최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187-1190
    • /
    • 1999
  • Lotus seed(Nelumbo nucifera Gaertner), known as traditional medicine as an antifebrile, antipsychotic, and cantihypertensive agent, was analyze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lipid and protein. The seed com posed of 12.2% moisture, 2.3% crude lipid, 19.5% crude protein, 61.3% carbohydrate, 2.1% crude fibre, and 4.1% ash. The lipid showed iodine value of 97.9 that is lower than that of soybean oil and sesame oil, and similar to peanut oil and cotton seed oil.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oil were the highest in content of linoleic acid which occupied 58.3% and saturated vs unsaturated fatty acid was 20.9:79.1. Especially behenic acid content, 6.9%, was higher than other plant oils. Sixteen amino acids were detected in the protein from the seed and glutamic acid content was the highest as 4.5% in dehulled kernel. The portion of essential amino acid was 31.1%.

  • PDF

삼씨유와 달맞이유의 급여가 계란 내 감마지방산 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evening primrose oil and hemp seed oil on the deposition of gamma fatty acid in eggs)

  • 박병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6-204
    • /
    • 2008
  • Hemp seed oil and evening primrose oil were incorporated into the diets of laying hens for 5 weeks and the level of gamma fatty acid in the eggs that the treated hens laid was then evaluated. Hens were fed corn-soybean based diets that contained 5% tallow, 5% corn oil (CO), 5% hemp seed oil (HSO), or 5% evening primrose oil (EPO). The hemp seed oil and evening primrose oil influenced the amount of gamma linolenic acid found in the eggs through blood. The level of gamma linolenic acid in the plasm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ens that received the HSO and EPO diets than in those that received the tallow and CO diets. The HSO and EPO diets led to a 1.09% and 4.87% increase in egg gamma linolenic acids,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eggs produced by hens treated with tallow and CO. Taken together, these data demonstrate that healthy eggs with increased gamma linolenic acids can be generated by minor diet modifications when hemp seed oil or evening primrose oil is included in the hen di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