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 food

검색결과 1,424건 처리시간 0.023초

증편 제조시 콩물과 반죽 내의 $\alpha$-amylase활성 및 특성에 관한 연구 (The Activity and Characteristics of $\alpha$-Amylase Present in Soy Milk and Jeungpyun Batters)

  • 나한나;윤선;김정수;김보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61-265
    • /
    • 1998
  • 증편의 발효시 일어나는 이.화학적 성질의 변화는 발효 중 생성되는 $\alpha$-amylase의 활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콩물과 발효시간에 따른 증편 반죽 내의 $\alpha$-amylase 활성과 특성을 측정하였다. 콩물과 증편 반죽에는 생전분과 호화전분을 기질로 하는 $\alpha$-amylase가 존재함이 밝혀졌다. 콩물 $\alpha$-amylase 의 호화전분과 생전분에 대한 $\alpha$-amylase의 비활성도는 각각 0.79 units/mg protein, 0.036 units/mg protein 이었다. 콩물의 $\alpha$-amylase는 호화전분과 생전분에 대해 pH 5.92, 6.87과 6$0^{\circ}C$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다. 증편 반죽의 호화전분과 생전분에 대한 $\alpha$-amylase의 최적 pH는 5.25였고 최적 온도는 5$0^{\circ}C$였다. 증편 반죽내의 $\alpha$-amylase의 활성은발효 시간에 대해 일정한 경향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콩물을 첨가한 반죽의 호화전분에 대한 $\alpha$-amylase의 비활성도는 평균 25.59 units/mg protein이었고 생전분에 대한 $\alpha$-amylase의 비활성도의 평균은 1.37 units/mg protein이었다. 콩물을 첨가하지 않은 반죽에서의 호화전분과 생전분에 대한 $\alpha$-amylase의 비활성도는 각각 3.37 units/mg protein, 0.49 units/mg protein이었다. $\alpha$-amylase의 활성은 기질에 상관없이 콩물 첨가한 군이 그렇지 않은 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5).

  • PDF

한국 전통간장 제조시 맥아첨가방법이 간장의 성분과 식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thods of Adding Barley Malt in the Production of Kanjang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on it's Chemical Composition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 권광일;이종구;이륜경;최종동;유문균;임무혁;김기주;홍영표;안영순;최광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3호
    • /
    • pp.195-200
    • /
    • 2003
  • 전통간장의 맛과 품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간장제조시 탄수화물과 효소원으로써 맥아의 첨가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전통메주(대조)와 메주제조시 맥아를 첨가하여 만든 메주 및 간장 담금시 전통메주에 맥아를 첨가하여 각각 간장을 담금한 후 150일간의 숙성기간동안 간장의 성분 변화를 조사하고 숙성간장의 식미검사를 실시하였다. 메주 제조시 맥아를 첨가하여 만든 메주로 담근 간장은 대조구인 전통 콩메주로 담근 간장에 비하여 간장 담금 초기부터 150일간의 숙성을 마칠 때까지 총질소, TCA가용성 질소, 색도, 순추출물 및 젖산함량이 높았으며 맥아첨가량이 더 많은 메주로 만든 간장에서 이들 성분함량이 더 높았다. 그러나 간장 담금 할 때 간장덧에 맥아를 첨가하였을 때는 포도당을 제외하고는 전통메주로 담금한 대조구 간장보다 오히려 성분함량이 낮았다. 식미검사에서도 메주제조시 맥아를 30% 첨가한 간장이 모든 기호도 특성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고 종합적 기호도 점수도 7.56점으로서 전통간장(대조구)보다 5%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식미가 우수함을 보여주었다.

Advances in the Preparation of Soy Protein and Lecithin Ingredients for Tomorrow's Foods

  • Beery, Kenneth E.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2년도 정기총회 및 제29차 춘계국제 학술발표대회
    • /
    • pp.29-38
    • /
    • 2002
  • Today's food technologist is receiving increasingly pointed directions in the “selection of”and often “minimum amounts of”ingredients to use in the development of new food products. This increasing emphasis by marketing on “label”claims is real and gaining momentum in most market places. Thus,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that are providing customers with new and distinct nutritional choices. The driving force for the increased direction of the food technologist is that many governments are now allowing health related label claims on food products. These health claims are a result of very clearly and focused research that shows known nutritional benefits. The regulatory environment is well focused on the results of this peer reviewed research. In the USA, FDA has allowed several opportunities for health claims including fiber, soy protein and choline. This presentation will focus on only two of many functional ingredient options-the soy proteins and lecithin(choline).

  • PDF

두유(豆乳)에 첨가된 유제품이 젖산균의 산생성(酸生成)과 대두요구르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lk Products on Acid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in Soy Milk and Quality of Soy Yogurt)

  • 고영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83-191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농축대두단백으로 만든 두유에 4종의 유제품을 여러 가지 농도로 가하고 5종의 젖산균(Lactobacillus 4종, Leuconostoc 1종)의 산생성과 생육을 관찰한 후에 유제품을 첨가하여 만든 대두요구르트의 관능성을 조사하였다. 두유에 첨가된 유제품의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젖산균의 산생성은 점차로 증가하였으며, 첨가된 유제품 가운데 유청분말이나 탈지분유가 전지분유나 조제분유보다 젖산균의 산생성을 촉진시켰다. 특히 유청분말은 유제품의 첨가농도가 낮을 때 산생성 촉진효과가 높았으며, 전지분유는 산생성 촉진효과가 유제품 가운데 가장 낮았다. 젖산균 산생성의 경시적인 변화를 보면 표준시료(포도당 첨가 시료). 유제품 첨가 시료 어느 경우나 배양시간이 경가함에 따라 산생성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배양 초기부터 12시간까지는 포도당 시료의 산생성이 가장 높았으나 18시간 이후에는 유청분말 시료의 산생성이 가장 높았다. 전지분유 시료는 전 실험 기간에 걸쳐서 산생성이 가장 낮았다. 대두요구르트의 관능성을 보면 전지분유 시료와 탈지분유 시료의 향미(香味)는 표준시료(포도당 첨가시료)보다 우수하였으나 유청분말 시료와 조제분유 시료의 향미(香味)는 표준시료보다 저조하였다.

  • PDF

두유(豆乳)의 단백질분해효소 처리가 젖산균의 산생성(酸生成)과 대두요구르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tense Treatment of Soy Milk on Acid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and Quality of Soy Yogurt)

  • 김경희;방일령;고영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2-99
    • /
    • 1989
  • 본 연구에서는 농축대두단백으로 두유를 만들고 protease를 이용하여 대두단백질을 여러가지 정도로 가수분해한 후, 단백질이 일부 가수분해된 두유에서 L. acidophilus 또는 L. bulgaricus의 생육과 산생성을 관찰하고 제조된 대두 젖산균음료의 관능성을 조사하였다. protease 처리에 의하여 젖산균에 의한 산생성이 촉진되었는데 특히 L. acidophilus에 의한 산생성이 현저하게 촉진되었다. 그러나 pH와 생균수는 큰 변화가 없었다. 15분 가수분해 시료에서 이미 산도가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그 후 3시간이 경과하여도 산도의 변화가 현저하지 않았다. 0.1% protease 처리로 대두젖산균음료의 전체적인 기호도가 다소 개선되었다. protease 처리 15분에 비단백태 질소의 함량이 상당히 증가하였고 2시간에 최대치에 도달하였다.

  • PDF

콩가루를 첨가한 고추장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Prepared with Soy Powder)

  • 최수근;신경은;정현아;박미란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59-768
    • /
    • 2010
  • To improve the sensory acceptability of Kochujang with added Meju powder, Kochujang was prepared with added raw soy powder and roasted soy powder were added instead of Meju powder. These Kochujang were fermented for 45 days at $25{\pm}3^{\circ}C$ and examined for changes in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moisture content and acidity of Kochujang, the group with added Meju powder was the highe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ightness (L value), although the group with added with Meju powder and raw soy powder were decreased in lightness over days of storage. For redness (a value), the group with added raw soy powder was the highest, and the group with added raw soy powder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days. For yellowness (b value), the group with added roasted soy powder was the highes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ver storage days. The reducing sugar content of Kochjang to which roasted soy powder was added was the highest, and the amino-nitrogen contents of Kochjang to which Meju powder was added was the highest In sensory evaluation, the Kochjang with added roasted soy powder had the best score in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roasted soy powder can be applied to Kochjang for enhanced sensory preference.

홍국발효 콩 함유 현미 식초의 Tyrosinase와 Elastase의 저해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npolished Rice Vinegar Containing Monascus-Fermented Soybean on Inhibitory Activities of Tyrosinase and Elastase)

  • 황지영;조호연;표영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49-154
    • /
    • 2016
  • 현미와 홍국발효 콩 시료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식초의 미용건강기능성 소재(cosmeceuticals)로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은 현미 식초에 비해 홍국발효 콩이 첨가된 시료가 첨가량에 비례하여 최대 7배 이상 증가하였다(P<0.05). 특히 tyrosinase 저해 활성은 50% 첨가량의 시료에서 kojic acid의 저해 활성과 유사하게 나타나 미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보였으며, elastase 저해 활성 역시 첨가량에 비례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현미 식초에 비해 홍국발효 콩을 1:1(w/w)의 비율로 첨가한 식초의 높은 생리활성은 시료에 함유된 총 페놀 함량, 특히 이소플라본 비배당체형의 genistein과 daidzein의 농도와 높은 상관관계가 성립되었다.

헛개(Hovenia dulcis Thunb)추출물 첨가 조미간장 개발을 위한 관능적 평가 (Sensory Evaluation of Hutgae(Hovenia dulcis Thunb) Extract for Soy Sauce Development)

  • 원새봄;오경희;정수영;송희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66-273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nsory quality attributes for the development of soy sauce containing Hutgae(Hovenia dulcis Thunb). Aqueous extracts of Hutgae were prepared from different parts such as trunk, twig, and fruit. These extracts were used for determining the antioxidant effect by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ensory evaluation. Hutgae twig and fruit extracts had a strong DPPH scavenging effect compared to Hutgae trunk extract. In sensory analysis, high intensities of roast smell, bitter taste, and astringent taste were observed in Hutgae twig extract, whereas those of sweet smell and sweet taste were predominated within Hutgae fruit extract. Hutgae trunk and fruit extracts obtained higher overall acceptability. Various seasoning items such as anchovy, dried-pollack, katsuobushi, shiitake, radish, and kelp were used to determine the suitable type of soy sauce containing Hutgae extracts regarding the different parts. Hutgae fruit and trunk extracts were evaluated for use as a good source of seasoned soy sauce, and the dried-pollack and radish among the seasoning items were well-matched with Hutgae extracts. From these results, soy sauce containing Hutgae trunk and fruit extracts added to dried-pollack soup may be used as a functional seasoning in order to remove hangovers.

대두단백 코팅 종이의 수분저항성 및 물리적 성질 (Effect of Water Resistance and Physical Properties of Soy Protein Isolate coated Liner Board)

  • 하상형;박천석;김병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1251-1255
    • /
    • 2006
  • 대두단백 필름을 코팅한 라이너지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두단백 $2\sim8%$의 농도 범위에서 필름을 제조하였다. 필름 제조시 친수성 소재인 대두단백의 불용화를 위하여 모든 필름은 formaldehyde로 포화된 데시케이터에서 2시간 동안 흡착하여 사용하였다. 필름의 연신강도, 연신율, 투습도 및 수분용해도를 측정한 뒤 최적 농도를 5%로 판단하였다. 필름의 제조적성을 위해 첨가된 가소제 glycerol은 대두단백 대비 40% 농도에서 필름제조에 가장 적합하였다. 앞의 조건을 이용하여 제조된 용액을 라이너지에 코팅하여 그 물성과 수분저항성을 측정하였다. Formaldehyde 처리된 대두단백 코팅 라이너지는 미처리 라이너지에 비하여 연신강도는 15 에서 21 MPa로 증가하였고, 수분용해도와 투습계수는 1.17%와 $2.06ng{\cdot}m/m^2{\cdot}s{\cdot}Pa$로 감소하여 물리적 성질과 수분저항성 모두 증진된 것을 알 수 있었다.

β-Glucosidase 활성이 있는 균주 Bacillus Strains를 접종해 제조한 Soy Grits 청국장의 품질 특성 (Changes in Biological Qualities of Soy Grits Cheonggukjang by Fermentation with β-Glucosidase-Producing Bacillus Strains)

  • 이경하;최혜선;황경아;송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702-710
    • /
    • 2016
  • 본 연구는 ${\beta}$-glucosidase 활성이 있는 Bacillus subtilis HJ18-9와 HJ25-8, 두 가지 균주를 혼합한 HJ18-9+HJ25-8의 3가지 균주를 스타터로 접종하여 발효시킨 soy grits 청국장의 품질 특성과 isoflavone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환원당을 유리하는 데 관여하는 ${\alpha}$-amylase 효소 활성의 경우 두 가지 균주를 혼합한 HJ18-9+HJ25-8을 접종해 발효한 시료에서 다른 시료와 비교하였을 때 높은 활성을 보였다. 청국장의 단백질을 분해하여 특유의 구수한 맛 성분을 유리하는 protease 활성의 경우 HJ25-8, HJ18-9+HJ25-8, HJ18-9의 순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아미노태 질소와 암모니아태질소의 함량은 HJ25-8을 접종해 발효한 SG 청국장에서 높았으며, 청국장 isoflavone 비배당체 함량은 HJ18-9+HJ25-8의 $272.40{\pm}2.04{\mu}g/g$에 비해 HJ18-9와 HJ25-8 접종구에서 $697.03{\pm}9.46$, $683.10{\pm}2.05{\mu}g/g$으로 높았다. ${\beta}$-glucosidase 활성이 있는 두 가지 균의 혼합으로 isoflavone aglycone 함량의 전환율을 더 높일 수 있는 시너지 효과를 기대했으나 단일 균주로 접종하여 발효했을 때 더 높은 aglycone 함량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청국장 제조에 알맞은 균주를 개발 평가하여 청국장 가공품 개발의 기초연구가 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