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thern of Korean East Sea

검색결과 395건 처리시간 0.028초

설계조위와 관련된 약최고고조위의 시·공간적 편차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AHHW in Relation with the Design Sea Level)

  • 강주환;주양미;조홍연;권혁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72-80
    • /
    • 2014
  • 설계조위 산정에 종종 이용되고 있는 약최고고조위는 발생빈도가 불분명할 뿐 아니라 평균해수면 상승에 따른 시간적 편차 및 해역별 조위특성 차이에 기인한 공간적 편차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해역별로 주요 4대분조 및 연주조 등의 비율을 조사하였고 확률분포함수에 의한 해석을 시행하였다. 시간적 편차문제는 최신조위자료를 활용함으로써 쉽게 해결될 수 있다. 공간적 편차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주조를 고려함으로써 하절기에 형성되는 약최고고조위를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남해안에서 10 cm 이상, 동해안에서 15~25 cm 정도의 설계조위 증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북태평양 서부에서 발생하는 강풍의 진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ck of Typhoon in the Northwest Pacific Ocean)

  • 윤종화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9-30
    • /
    • 1994
  • By use of the recent tropical cyclones' data in the Northwest Pacific Ocean, the occurrence frequency and region of typhoon as well as the features of the monthly mean track were analyz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1) mean occurrence frequency of typhoon per year is 27.5, and 68% of total typhoons were formed in July to October and shown the highest frequency in August. (2) The ave-rage duration of typhoons is 8.5 days, and super typhoon which maximum sustained surface wind speeds is more than 130 knots occurs most frequently in October and November. (3) The highest frequency ap-pears around the Caroline, Mariana and Marshall Islands, and in wintertime, typhoon occurs in lower lati-tude comparing with those in summertime. (4) The typhoon track depends upon the distribution of pres-sure system and steering current in neighbouring areas. The mean track of typhoon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such as westward-moving type, northward-moving type and abnormally moving type. The west-ward-moving typhoons make landfall on the southern China by way of the South China Sea in June and July, on mid-part of China in August and September, and on Indo-china Peninsula in October and Novem-ber. The northward-moving typhoons approximately move on north~northwestward track to $20~30^{\circ}N$ from the occurrence region, then recurve to the East Sea through Korean Peninsula and Kyushu Island in June and July, to the Noth Pacific Ocean along the Japanese Islands in August and September and to the North Pacific Ocean through the seas far south off the Japan in October and November.

  • PDF

Descriptions of Five Species of Scyllarine Lobsters (Crustacea, Decapoda, Scyllaridae) in Korea

  • Kim, Jung Nyun;Choi, Jung Hwa;Lee, Jeong-Hoon;Kim, Joo Il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9권2호
    • /
    • pp.115-128
    • /
    • 2013
  • Five scyllarine lobster species, belonging to the family Scyllaridae, are described from Korean waters: Chelarctus cultrifer (Ortmann, 1897), Crenarctus bicuspidatus (De Man, 1905), Galearctus kitanoviriosus (Harada, 1962), G. timidus (Holthuis, 1960), and Petrarctus brevicornis (Holthuis, 1946). Of these, three species, C. bicuspidatus, G. timidus, and P. brevicornis are new to Korean marine carcinological fauna. This report extends the known range of G. timidus to the southern coast of Korea from Taiwan in the East China Sea. Excluding C. bicuspidatus and G. kitanoviriosus, the other three species are relatively rare in Korean waters. They are described herein with color photographs, and a key to the Korean genera and species of Scyllarinae is also presented.

Two Hippolytid Shrimps of the Genus Eualus (Crustacea: Decapoda: Caridea) from Korea

  • Kim Jung-Nyun;Choi Jung-Hwa;Ma Chae-W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9권2호
    • /
    • pp.83-90
    • /
    • 2006
  • This paper provides 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of two hippolytid shrimps, Eualus macilentus ($Kr{\phi}yer$, 1841) and E. leptognathus (Stimpson, 1860). This is the first record of E. macilentus collected in Korean waters; it was found in the East Sea at a depth of 300 m. Eualus leptognathus has been collected previously from various locations in southern and eastern Korea, but no detailed description has been reported. This study provides a key to the six species of Eualus in Korean waters.

고등어과 물치다래속(Auxis, Scombridae) 자어의 분자동정 및 형태발달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Auxis (Scombridae) Larvae)

  • 지환성;유준택;유정화;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677-683
    • /
    • 2011
  • Eleven individual larvae (3.6-8.0 mm notochord length, NL) were collected from the southern East Sea of Korea in July, 2010, and the adjacent Sea of Jeju Island in August, 2011. Five individuals were identified using mitochondrial DNA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COI) sequences (494 base pairs). All were identified as Auxis rochei, their mtCOI sequences being consistent with those of adult A. rochei (d=0.000), followed by Auxis thazard (d=0.027). In terms of morphology, A. rochei larvae showed a preflexion stage of 4.8 mm NL, but a flexion stage between 5.2-6.2 mm NL, and subsequently a postflexion stage between 6.6-8.0 mm NL. During the larval stage, A. rochei differed from A. thazard in having no (or few) melanophores in the lateral caudal region.

까나리의 생물학적 기초조사 (Variation in the Vertebral Number of Sand-eel, Ammodytes personatus GIRARD)

  • 전찬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5권1호
    • /
    • pp.1-3
    • /
    • 1979
  • 1. 거제도, 주문진, 백령도지역의 주요어장산 까나리 표본의 척추골수의 변이를 검정하였다. 2. 척추골수의 평균치(m)와 표준편차($\sigma$)ms 거제도산: m=60.537, $\sigma$=1.314, 주문진산: m=63.614, $\sigma$=1.354, 백령도산: m=61.580, $\sigma$=1.302 이었다. 3. 척추골수의 평균치의 차를 t 검정한 결과 세지역산 까나리 척추골수는 서로 높은 유의도에서 차가있었다. 4. 전(1977)이 1977년 주문진산 까나리 72미의 척추골수(미부골을 포함한 수)를 측정한 것을 미부골을 제외한 수로 고치면 평균 63.57, 표준편차 1.30이 된다. 1977년 표본과 1978년 (본문) 표본과의 척추골 평균수의 차를 t 검정하면 t=0.09로 되어 주문진산 까나리의 척추골수 연교차는 유의차가 없었다.

  • PDF

한국남동해 저서유공충의 생물장 (Biotope Analysis of the Total Benthic Foraminiferal Assemblage off the Southeastern Coast, Korea)

  • 장순권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36-145
    • /
    • 1986
  • Kim and Han이 1972년 발표한, 한국남동해안 연안해저표면퇴적물 21점에서 살아있는 개체와 죽은 개체를 합한 저서유공충 전체군집 자료를 기초로 하여 Dice 相以係數를 구하여 非加重雙群方法(Unweighted Pair Group Method)으로 군집분석 (Cluster analysis)해서 生物場(Biotope)을 구했다. 결과는 남쪽상과 북쪽상으로 대별되며, 남쪽상은 固有相과 깊은상, 북쪽상은 沿岸相과 固有相으로세분된다. 생물장들은 연구지역에서 우세한 해류와 연관이 있어서 남쪽고유상은 對馬暖流의 영향이 뚜렷하며, 남쪽 깊은상은 남하하는 底層冷水의 영향을 받았다. 북쪽연안상은 北韓寒流의 영향이 뚜렷하며, 북쪽고유상은 북한한류와 일부 東海固有水의 영향이 있다. 위의 현상은 인구지역의 상반부에는 北上하는 東韓暖流보다 남하하는 北韓 寒流가, 바깥쪽에서는 東海固有水가 큰 영향을 미치며,이는 난류가 연구지역의 오른쪽 지역의 표면을 따라 북상하기 때문인 것으로 믿어진다.

  • PDF

한반도 남부의 지진파 토모그라피 연구 (Application of Seismic Tomography to the Region in and Near Southern Korean Peninsula)

  • 강익범;박정호
    • 자원환경지질
    • /
    • 제39권4호
    • /
    • pp.507-524
    • /
    • 2006
  • 한반도 남부 및 인근 지역에 대하여 3차원 토모그래피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1차 연구지역은 지진계의 분포가 비교적 조밀하게 설치되어 있는 한반도 남동부지역으로 연구결과에 의하면 경상분지 지역의 지표에서는 퇴적층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저속도가 나타나며 7.5km 깊이에서는 상대적 고속도 분포가 넓게 나타났다. 이는 경상분지 내에서 화성기원의 암석들이 넓게 분포하는 것으로 보인다. 양산단층대 하부 약 $20{\sim}30km$ 깊이에서는 저속도 분포가 나타나는데 이는 양산단층대의 발달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한반도 및 일본에서 관측된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 및 동해지역의 연구지역에서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일본 동부에서 시작된 섭입대는 동해지역에까지 연장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동해 남부해역에서 양식된 해만가리비 (Argopecten irradians) 의 성장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reared in the Southern East Sea)

  • 김영대;이주;심정민;김기승;최재석;남명모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03-112
    • /
    • 2015
  • 해만가리비는 남해 해역에서 양식이 되고 있는 품종이다. 국립수산과학원은 동해 남부 해역에서 해만가리비 양식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산란 유도를 위해 간출자극과 $23^{\circ}C$로 조정된 수온자극을 실시하였다. 해만가리비의 산란량은 총 105,58 만 개 이였다. 수정률은 91.3%로 9,394 만 개가 수정되었다. 수정란은 원형으로 $54.1{\pm}0.04-67.4{\pm}0.12{\mu}m$로 평균 직경이 $61.7{\pm}0.05{\mu}m$이였다. 약 5일 후에는 초기원각 (prodissoconch shell) 을 형성하여 각정기 유생기 (umbo stage larva) 가 시작되며 각정 (umbones) 이 형성되었다. 약 8일후에는 $150.4-204.8{\mu}m$ (평균 $179.7{\pm}8.4{\mu}m$) 크기의 부유유생이 되어 섬모가 있고 발 (foot) 과 안점 (eye spot) 이 생성되었다. 수정 후 10일 후에는 평균 각장 $235.4{\pm}9.7{\mu}m$ 로 성장 하였으며 팜사나 경심망 등의 기질에 부착하여 부착치 패가 되었다. 치패 각장 성장은 22.71 mm 이였으며, 8월에 47.19 mm, 10월에 60.43 mm, 12월 72.40 mm 로 성장하였다. 전중량은 6월 이식 당시에는 2.0 g 이였으나 10월에 32.7 g으로 증가하였으며 12월에는 46.6 g 으로 증가하였다. 해만가리비의 일간 성장률은 각장의 경우, 4-6월이 0.35 mm/day, 6-8월 0.41 mm/day로 큰 폭으로 성장하였다.

한반도의 곰솔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Pinus thunbergii in the Korean Peninsula)

  • Kim, Jung Un;Bong-Seop Kil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6권1호
    • /
    • pp.45-54
    • /
    • 1983
  • A distribution map of black pine, Pinus thunbergii, in south Korea was prepared through field surveys. According to Mirov(1967), the range of black pine is limited in east Asia, Japan and Korea; its northern limit is at about 41。34' north and its southern limit on Takara island, south Kyushu, at 29。 north. According to the present map, its northern limit coincided with the isopath of warmth index 100 by Yim(1977). The density of pine in grid mesh, about 4 km * 4 km, was higher at costal area than that in inland area, and it was also higher at sea side slope than the opposite slope of the same mountain. This suggests that the ecological distribution of black pine is greatly affected by salt content of the soil or the optimal range of summed temperature for the pine growt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