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rghum flour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2초

차수수가루 첨가량을 달리한 설기떡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Different Amounts of Waxy Sorghum Flour)

  • 채경연;홍진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3호통권93호
    • /
    • pp.363-369
    • /
    • 200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um addition amount of waxy sorghum flour to rice flour in the preparation of Sulgidduk(waxy sorghum rice cake). The moisture content of Sulgidduk with added wary sorghum flour was $37{\sim}41%$. With increasing waxy sorghum (lour content over the range from 10% to 50%, the L-value decreased, whereas the a-and b-values increased. In the mechanical evaluation of waxy sorghum Sulgidduk, the hardness, gumminess and brittle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waxy sorghum flour content above 20%. The adhesive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waxy sorghum flour content. The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with the addition of waxy sorghum flour.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waxy sorghum Sulgidduk, the evaluation of the softness, moistness and chewiness was the best at 20% content. Sulgidduk made with the addition of 20% waxy sorghum flour to rice flour was found to be the best recipe in terms of overall acceptability and the sensory qualities of softness, moistness and chewiness.

분쇄방법을 달리한 통곡 찰수수가루를 이용한 수수빵의 제조 및 품질 개선 (A Study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Bread Using the Whole Waxy Sorghum Flours Prepared with Different Milling Methods)

  • 류복미;김창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62-270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bread making and quality improvement when wheat flour is replaced with whole waxy sorghum flour. Sorghum flour, which was prepared with two types of milling methods of pin mill and ultra fine pulverization, was used at different levels ranging from 10, 20 and 30%, respectively. The pasting properties of peak viscosity, setback viscosity and pasting temperature of the composite flour containing pin-milled sorghum flour were higher than those of ultra fine pulverized sorghum flour. The volumes of sorghum bread were lower than that of wheat bread; moreover, they gradually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sorghum flour, which has inferior dough properties and therefore collapses in the oven. The use of vital gluten (12% based on sorghum flour weight) and emulsifier (SSL; sodium stearoyl lactylate) increased the extensibility and resistance to the extension of the dough, thereby improving its rheological properties. Thus, the oven spring of bread containing sorghum was improved, demonstrating as loaf volume increase up to 15%. However, in the case of breads containing 30% sorghum flour, the loaf volumes were still unacceptably low. Therefore, the formula and the bread making process were further modified as follows: An increase of vital gluten ($12%{\rightarrow}18%$) and shortening ($3%{\rightarrow}6%$), a decrease of mixing time and dough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the addition of sorghum flour after gluten development during mixing. The above modifications resulted in the improvement of sorghum bread quality. Therefore, we suggest that pin-milled sorghum flour is more appropriate than ultra fine pulverized sorghum flour for making bread.

수수가루 첨가가 머핀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rghum Flour Additio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

  • 임정교;김용식;하태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158-1162
    • /
    • 1998
  • 수수의 이용성 증대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수수가루를 0, 10, 20, 30% 첨가한 머핀을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박력분의 밀가루-수수가루의 혼합분의 아밀로그램 특성을 보면 수수가루 첨가량이 많을수록 최고점도 및 호화개시온도는 증가하였고 최종 점도는 감소하였다. 또한 수수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머핀 내부의 L값은 감소하였고 a값은 증가하였다. 머핀의 부피는 수수가루 첨가량 20% 이상에서 감소하였다. Adhesiveness, gumminess, chewiness는 수수가루 첨가에 의한 영향이 없었고 hardness와 cohesiveness도 수수 20%첨가시까지는 유의차가 없었다. 머핀의 관능검사 결과, 특히, 머핀의 외관, 향은 수수가루 첨가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아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다. 그러나 조직감은 10% 첨가시는 수수가루의 영향이 전혀 없었고 맛과 전반적 기호도는 수수가루 첨가에 의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수수가루의 기능성을 살리고 수수가루 머핀의 품질 특성 측면에서 볼 때 수수가루 20%정도는 첨가가 가능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통곡 찰수수가루 첨가 머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Added with Whole Waxy Sorghum Flour)

  • 배효제;류복미;우관식;서명철;김창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73-478
    • /
    • 2012
  • 통곡 찰수수가루를 10, 30, 50, 100% 첨가한 머핀을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머핀의 조단백질 함량은 군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조회분 함량은 수수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통곡 찰수수가루 첨가가 머핀 반죽의 비중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머핀의 부피는 수수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수수가루 30% 첨가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고 50% 이상 첨가 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수가루 100% 첨가 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L값과 b값은 감소하여 어두운 색을 띄었고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증가하였다. 머핀의 경도는 수수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져 조직이 단단해졌다. 머핀의 관능검사 결과 외관은 수수가루 첨가군들이 대조군보다 낮은 값을 보였고 수수가루 100% 첨가 군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얻었다. 향미와 맛은 수수가루 50% 첨가군까지는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수가루 100% 첨가군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조직감은 수수가루 10% 첨가까지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30% 이상 첨가 시 대조군보다 낮은 점수를 얻었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수수가루 30% 첨가군까지는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50% 이상 첨가 시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통곡 찰수수가루를 첨가함으로써 수반되는 부피와 조직감 저하 등의 품질개선을 위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Xylanase 첨가에 따른 수수의 제빵 적성 변화 (Effects of Xylanase on the Baking Properties of Sorghum)

  • 안지은;고지연;고봉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8-25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aking properties of sorghum with the addition of xylanase or Pentopan, which is a baking additive containing xylanase. The control bread was made with a 30% substitution for wheat flour and the optimum level of enzyme addition was 0.75 mg/g flour for Pentopan and 5 mg/g flour for xylanase. The water binding capacity of wheat flour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sorghum, but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either xylanase or Pentopan. The resistance of dough increased while extensibility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sorghum; however, resistance decreased while extensibility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the enzyme. Specific volume of bread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addition of sorghum. However, the specific volume was significantly recovered with the addition of enzyme. Crumb firmness was higher in the sorghum-added sample, but crumb firmness of the bread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the enzyme. The crumb firmness of bread with added xylanase decreased significantly in 24 hour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adding sorghum with either xylanase or Pentopan that included xylanase increased specific volume and decreased crumb firmness whereas sorghum decreased the quality of fermented bread when added to wheat flour. The firmness rate of fermented bread particularly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pure xylanase.

제분방법에 따른 찰수수 가루의 품질 특성 (Impact of Milling Method on Quality Parameters of Waxy Sorghum Flour)

  • 류복미;김창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9-135
    • /
    • 2013
  • 분쇄방법(핀밀, 초미분쇄)을 달리하여 제분한 찰수수가루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PS와 UFS에서 높았고, 조지방 함량은 핀밀분쇄보다 초미분쇄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조회분과 총 식이섬유소 함량은 도정하지 않고 핀밀분쇄한 PWS에서 가장 높았다. 겉보기 아밀로오스 함량은 핀밀분쇄한 수수가루가 초미분쇄한 수수가루보다 높았으며 껍질이 없는 경우(PS, UFS) 아밀로오스 함량이 더 낮게 나타났다. 수수가루의 평균입도크기는 도정하지 않은 수수가루에서 컸으며 핀밀분쇄한 것이 초미분쇄보다 평균입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수수가루의 색도는 초미분쇄 수수가루가 핀밀수수가루보다 밝았으며 UFS의 L값이 가장 높았고, 도정한 수수가루(PS, UFS)가 통곡수수(PWS, UFWS)보다 명도가 높았다. 수분결합력은 초미분쇄 시료 UFWS에서 가장 높았으며 핀밀분쇄 PWS보다 높았다. 용해도와 팽윤력은 초미분쇄한 시료가 핀밀분쇄 시료에 비해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도정한 수수가루에서 높게 나타났다. 수수가루의 손상전분 함량은 핀밀분쇄하여 도정한 경우 손상도가 컸다. 수수가루의 호화점도 특성에서 최고점도와 최종점도 PS와 PWS에서 높았고 UFS는 가장 낮은 점도를 나타내었다. 노화도를 나타내는 setback 점도 또한 PS와 PWS에서 높아 초미분쇄보다 노화도가 높게 나타났다. 핀밀분쇄한 통곡 수수가루(PWS)가 전체적으로 높은 호화점도곡선을 보였다. 총 페놀 함량은 핀밀분쇄 수수가루가 초미분쇄 수수가루보다 높았으며 통곡 수수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수수는 도정 여부와 분쇄 방법에 따라 가루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달라지므로 수수가루를 이용한 제품 개발 시 각 제품의 특성에 따른 적절한 제분방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미 및 수수 첨가에 따른 생면의 품질특성과 항산화 효과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et Noodles Supplemented with Brown Rice and Sorghum Powders)

  • 성리;김신정;길정하;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30-536
    • /
    • 2014
  • 밀가루에 현미가루와 수수가루의 비율을 달리하여 혼합하고 1회 죽염 2%를 첨가하여 3가지의 생면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밀가루와 정제염으로 만든 생면과 품질특성 및 in vitro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다. 품질특성 중 중량, 수분흡수율, 탁도는 현미가루와 수수가루를 첨가한 WBSN-b가 39.5 g, 97.4%, 0.62로 나타나 밀가루로 제조한 WN-p 측정 결과인 38.5 g, 92.5%, 0.59와 유사하였다. 탄력성은 WN-p(73.5%)와 WBSN-b(68.3%)에서 높았으며, 다음으로 WBN-b, WSN-b의 순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 전체적인 기호도는 WBSN-b가 6.4점으로 가장 높았고, WSN-b, WBN-b, WN-p는 6.1, 5.3, 5.3점이었다. 생면의 pH는 WBN-b는 7.4, WBSN-b는 7.5, WSN-b는 7.5, WN-p는 6.6로 1회 죽염과 현미가루와 수수가루를 첨가한 생면이 pH가 높게 나타났다. DPPH free radical 및 hydroxy radical 소거 효과에서는 현미가루와 수수가루를 10%씩 혼합한 생면 WBSN-b와 수수가루 20%를 혼합한 WSN-b가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현미가루와 수수가루를 각각 10%씩 그리고 1회 죽염 2%를 첨가한 생면이 밀가루로 제조한 생면의 품질특성에 가장 근접하였고, 기호면과 항산화 효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배유특성이 다른 수수가루 첨가가 건면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ry Noodles with Added Sorghum Flour by Characteristics of Endosperm)

  • 고지연;우관식;김정인;송석보;이재생;김현영;정태욱;김기영;곽도연;오인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8호
    • /
    • pp.1227-1235
    • /
    • 2013
  • 항산화성 높은 수수의 식품으로서의 이용기술을 개발하고 기능성 국수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배유특성과 항산화활성이 서로 다른 수수 '황금찰'과 '동안메'를 5%, 10% 첨가한 밀가루 복합분으로 만들어진 건면을 대상으로 이화학적 특징, 조리 특성 등의 품질과 항산화활성 등의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조리 시 국물의 탁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수수가루가 첨가된 건면의 조리국물에서 수수 첨가 농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품종별로는 찰수수인 '황금찰'이 첨가된 국수에서 메수수인 '동안메' 첨가국수에 비하여 조리국물의 탁도 및 손실율이 높게 나타났다. 처리별 폴리페놀, 탄닌,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수수가루를 첨가한 수수에서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탄닌의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7~23배 증가하였다. 수수 품종에 따라서는 '황금찰'에 비하여 '동안메' 수수 첨가 시 폴리페놀, 탄닌,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각각 3.7~4.1, 67.6~72.3 및 33.5~101.6% 증가하였고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도 처리별 페놀성 물질 함량과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어 '동안메' 수수 10% 첨가 시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10.189 및 17.950 mg TE/100 g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수수가루 첨가 건면의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조리 전에 비하여 조리 후에는 10.9~11.2% 더 증가하였으며, 처리별로는 조리전과 동일한 경향으로 수수 분말내 항산화활성이 조리 후에도 유지될 뿐 아니라 가열반응에 의하여 오히려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는 색과 외관이 '황금찰' 첨가 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맛과 전체적인 기호도는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고 모든 처리에서 대조군인 밀가루 100%로 제조한 국수보다 기호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온초미분쇄에 따른 수수가루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orghum(Sorghum bicolor L. Moench) Powder following Low Temperature-Microparticulation)

  • 김현영;서혜인;고지연;김정인;이재생;송석보;정태욱;김기영;곽도연;오인석;정헌상;우관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56-66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황금찰수수 및 밀양3호를 일반 분쇄기와 저온초미분쇄기를 이용하여 얻은 5단계의 다른 입자 크기의 수수 분말을 각각의 입자 크기별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하여 최적의 입자 크기를 찾고 우수한 가공법을 확립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말의 입자 크기는 분쇄속도가 증가할수록 작아졌으며 품종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전자현미경관찰에서는 밀양3호보다 황금찰수수가 더 거친 입자를 확인하였다. 각 단계의 분말 색도 역시 품종간 차이는 크지 않았고, 명도는 입도가 작아질수록 증가하였으며, 황금찰수수의 경우 적색도와 황색도 역시 입도가 작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수분흡수율과 수분용해도는 품종간, 입도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수분용해도는 9.63%에서 13.24%로 입자 크기가 작아질수록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밀양3호의 경우에도 5.89%에서 8.27%로 증가하였다. 품종별, 분쇄단계별 분말의 호화 특성을 살펴본 결과, 두 품종간에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밀양3호는 황금찰수수보다 호화개시온도, 최종점도 및 치반점도가 크게 나타났으나, 최고점도 및 강하점도는 황금찰수수가 밀양3호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치반점도의 경우 입자 크기별로 가장 큰 변화를 나타냈으며, 밀양3호의 경우 M1 및 M5는 각각 55.89 RVU 및 111.72 RVU를 나타내며 입도가 커질수록 약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식품을 가공하는데 있어 수수 분말을 사용 시 적당한 특성의 분쇄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곡류 및 그 가공품 중 아플라톡신과 데옥시니발레놀의 안전성 평가 (The Safety Assessment of Aflatoxins and Deoxynivalenol in Cereals and Their Products)

  • 김영수;김영숙;김명길;이성봉;이주예;오상헌;정유정;서미영;성진희;이완;이정복;윤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8-167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safety of cereals and their products (20 species, 205 samples) distributed in Gyeonggi province by analyzing contamination levels such as exposure frequency of Aflatoxins and Deoxynivalenol (DON). Aflatoxins were detected in 16 (8%) samples in total with a range of 0.01~27.88 ${\mu}g/kg$, including 3 of 9 bake flour (33%), 2 of 6 dried corn (33%), 3 of 12 frying flour (25%) and 2 of 11 sorghum (18%). DON was found in 56 (27%) samples including 11 of 13 adlay (85%), 6 of 8 wheat (75%), 6 of 10 processed corn for popcorn (60%), 6 of 11 sorghum (55%) and 7 of 16 barley (44%) with a range of 2.2~754.4 ${\mu}g/kg$. In particular, both Aflatoxins and DON were detected in 8 samples (2 millet, 2 wheat, 1 sorghum, 1 adlay, 1 dried corn, 1 bake flour) simultaneously.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found that an adult is exposed to Aflatoxins of $0.80({\times})10^{-3}{\mu}g/kg$ b.w./day and DON of 0.18 ${\mu}g/kg$ b.w./day. The quantity of exposure to DON amounted to 18.5 percentage level compared with PMTDI 1 ${\mu}g/kg$ b.w./day suggested on JECFA, therefore we can assess that the possibility of health risks by intake cereals distributed in Gyeonggi province is low.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Aflatoxins in one dried corn was 27.88 ${\mu}g/kg$ which was over the maximum residue limits (MRL) suggested on internal and external level, the monitoring about mycotoxin should be conducted on continuous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