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ng

검색결과 60,056건 처리시간 0.074초

Definition end Function of Two Song Types of the Bush Warbler (Cettia diphone boreoalis)

  • Shi-Ryong Park;Eui-Dong Han;Ha-Cheol Su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3권2호
    • /
    • pp.149-151
    • /
    • 1999
  •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bush warbler (Cettia diphone borealis) uses different song types in various situations. We analyzed song features and conducted playback experiments in order to reveal the function of songs of the bush warbler. Two song types were identified. The short song type has a shorter song duration than that of normal song types and consists of only one or two syllables. Due to its short syllable and low amplitude of the whistle portion, we were able to discriminate the short song type (S song type). from the normal song type (N song Type). In the playback experiments, bush warblers sang high rates of short song type for the first three minutes after playback. After 6 minutes of playback, males changed to singing normal song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hort song of the bush warbler may function to threaten or drive off intruding males.

  • PDF

텃새권 방어와 관련된 휘파람새의 Song Mode와 Mode Sequence의 이용 (Does the Bush Warbler (Cettia diphone) Defend Its Territory through a Particular Song Mode or a Mode Sequence?)

  • 박대식;박시룡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82-291
    • /
    • 1996
  • 한국 휘파람새(Cettia diphone)의 song은 더입부인 whistle부와 종결부인 syllable 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며, 그들의 song은 도입부에 나타나는 note의 수에 따라서 2개 이하인 것은 $\alpha$ song mode로 3개 이상으로 구성되어지는 song은 $\beta$ song mode로 분류된다. 개체와 지역에 따라서 차이는 있지만 한 개체가 부르는 전채 song에서 $\alpha$ song mode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55%(51.5-58.7%)이었다. $\alpha$ mode는 $\beta$ mode에 비하여 whistle 부분의 dominant frequency는 높은 반면에, syllable 부분을 구성하는 syllable들의 수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휘파람새의 mode Sequence는 그들의 출현 순서에 따라서 $\alpha$$\alpha$, $\alpha$$\beta$, $\beta$$\alpha$, $\beta$$\beta$의 네가지로 정의되었다. 휘파람새의 지리적 변이 그룹인 south-coastal 그룹 내의 개체군집인 완도와 제주도에 있어서 song mode와 mode Sequence는 그들의 텃세권의 방어를 위하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playback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의 결과 mode Sequence는 실험전 자연 상태에서 녹음되어진 song과 playback의 실험 중에 녹음되어진 song과는 실험이 실시된 두 지역 모두에 있어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특히, 완도의 군집에서의 결과는 song mode의 사용이 서식지, singing site, 텃세권의 공간적인 형태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나아가 song을 통한 텃세권의 방어에 있어서 특정의 mode sequence는 song mode 자체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할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노랑턱멧새 (Emberiza elegans)와 붉은뺨멧새의 (Emberiza fucata)에서 Song의 Playback을 통한 이웃-낯선 개체의 인식 (Neighbor-Stranger Discrimination of Yellow-throated Buntings (Emberiza elegans) and Gray-headed Buntings (Emberiza fucata) to Playback of Song)

  • 황보연;박시룡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89-97
    • /
    • 1996
  • 번식시기동안 상호 이소종인 노랑턱멧새와 붉은뺨멧새의 song을 충청북도 청원군 강내면에서 녹음하여 분석하였다. 두종의 수컷들을 대상으로 playback실험을 실시하였다. 노랑턱멧새와 붉은뺨멧새가 각각 자연적 그리고 인공적인 song repertoires로 playback을 하였을 때 이웃-낯선개체를 인식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또한 붉은뺨멧새에 대해 전반부의 song과 후반부의 song을 playback하여 이웃-낯선개체의 인식 여부도 조사하였다. 노랑턱멧새는 자연적인 song repertoires로 이웃-낯선개체를 인식하였으나, 인공적인 song에 대해서는 반응하지 않았다. 붉은뺨멧새는 자연적, 인공적, 그리고 song의 전반부를 playback하였을 때 이웃-낯선개체를 구별하였다. 반면에 song의 후반부를 playback하였을 때는 반응하지 않았다.

  • PDF

울산쇠부리소리의 전승현황과 변이양상 연구 (The Transmission and Changes Of UlsanSoeburi Song)

  • 김구한
    • 공연문화연구
    • /
    • 제39호
    • /
    • pp.133-165
    • /
    • 2019
  • 이 글은 울산지역에서 전승되는 쇠부리소리의 전승과 변이에 대한 연구이다. 먼저, 울산 쇠부리소리는 울산 한실과 도덕골, 두동, 병영 등 모두 울산지방에서 채록된 자료라는데 그 일차적 의의가 있다. 이 점은 쇠부리소리가 원형과 전형을 잘 간직하고 있는 울산 고유의 소리라는 지역적 정체성과 연결된다. 울산이 쇠부리의 도시인 동시에 쇠부리소리의 본향이 될 수 있는 근거이다. 쇠부리소리 사설의 특징은 한실쇠부리소리와 도덕골쇠부리소리가 다름을 알 수 있다. 한실의 최재만은 구비시인으로서 훌륭한 자질을 갖춘 사람이라고 보여 진다. 그는 공식적 구조 원리에 충실한 구연자이자 불매소리의 '원사설(원형)'을 가장 잘 갖춘 구연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재만의 쇠부리불매소리는 노동의 순수함과 신성함을 느끼게 하는 사설과 일치된 행동으로 일의 힘듦을 단합된 모습으로 승화시키는 곡조로 결합되어 노동요로서 미적 의미를 부여받고 있다. 도덕골 김달오의 불매소리는 공식구를 바탕으로 하되, 임기응변적 구연에 능한 인물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울산 쇠부리소리의 전승과 변이 양상은 '기본형' '변주형', '종합형'으로 나누었다. '기본형'은 한실 최재만의 쇠부리소리에서 출발했으며, '변주형'은 도덕골 김달오의 쇠부리소리와 울산 지방에서 전승되던 쇠부리금줄소리가 어울려 울산 쇠부리놀이가 탄생한 것이다. '종합형'은 기존의 소리에다 달천지역과 가까운 병영지역에서 불리던 아기어르는불매소리와 성냥간불매소리를 채록하여 지금의 쇠부리 소리가 탄생하게 된 것이다. 울산 쇠부리소리는 이와 같이 끝없는 전승과 변이의 과정을 거치면 울산 지역을 대표하는 민요로 그 정체성을 확보하며 지속적으로 전승되고 있다.

Behavioral Function of the Anomalous Song in the Bush Warbler, Cettia diphone

  • Park, Shi-Ryong;Cheong, Seok-Wan;Chung, Hoo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8권2호
    • /
    • pp.89-95
    • /
    • 2004
  • The bush warblers (Cettia diphone) have been recognized to possess two types of songs: a normal song that plays roles in attracting mate and territorial defense, and an anomalous song.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the anomalous song functions as an alarm signal as well as other unknown signals. Field observations and playback experiments on the anomalous song of bush warbler were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ntextual information that occurred between sender and receiver. In the field observation, the males frequently emitted anomalous songs to potential predators. The males responded with an anomalous song to stuffed potential predators. The distance from where the anomalous song occurs to the stimulating source varied depending upon the kinds of stimulus. The males of bush warbler possibly show different responses to the anomalous song depending on the level of danger. When the anomalous song was played back to terrestrial males and females, no distinctive behavior was observed. The anomalous song may be sung to defend the territory against predators or to distract invaders from the nest and female because the male and female behaviors were related with the anomalous song and its phonetic characteristics.

노랑턱멧새(Emberiza elegans)의 Song에 의한 종 인식 (Species Recognition on the Basis of Song by Yellow-throated Bunting (emberiza elegans))

  • 성하철;박시룡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73-579
    • /
    • 1994
  • 본 연구는 1992년 3월에서 1993년 5월까지 충북 청원군 강내면 다락리 야산에 서식하는 노랑턱멧새(Emberizo elegans) 집단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종 인식을 위한 의미있는 song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같은 과(요)에 속하는 붉은뺨멧새(Emberizo fucata)와 쑥새(Emberiza rustsca)의 'stereotyped song'을 분석하였다 또한 세력권을 형성한 5개체를 대상으로 song에 기초한 playback 실험을 통하여 종 인식 능력을 알아보았다. 스피커에 가장 가까이 날라온 거리와 이 거리에서 머문 시간을 측정한 결과 붉은뺨멧새의 song에는 반응이 없었으나 쑥새의 song에는 의미있는 반응을 보였다. 따라서 노랑턱멧새와 두 종에 대한 song 특징의 분석을 토대로 종간 인식의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휘파람새의 Intra-and Inter-Population Songs 인식에 관한 Playback실험 (Playback Expedments on Bush Warbiers (Cettia diphone): Their Song Recognition of Intra- and Inter-Population)

  • 박시룡;박대식;김수일;윤무부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43-448
    • /
    • 1995
  • 충북 청원군 일대에서 휘파람새 6 개체에 대하여 군집내 인 청원군집의 song과 군집외 인 제주개체의 song을 이용하여 playback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의 대상개체는 모두 다두 군집의 song에 대하여 강한 반응을 보였으나 군집 사이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청원군집내의 개체간의 먼 간격으로 인하여 이웃 개체간의 적은 상호작용에서 기인되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Song의 부분들이 song의 인식에 기여하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휘파람새 song의 whistle 부분과 complex syllsble 부분을 이용하여 playback실험을 실시하였다. Complex syllable 부분에 대한 반응의 정도가 whistle 부분에 비하여 의미 있게 높았으며, 이러한 것은 song의 특정한 부분이, complex syllable, 개체의 song인식에 필요한 주된 정보를 담고 있다는 'releaser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 PDF

휘파람새(Cettia Diphone)개체군간 song 변이의 방향 (A Song Transition among the Geographic Populations of Bush Warbler (Cettia diphone))

  • Park, Dae Sik;Sooil Kim;Shi-Ryong Par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2호
    • /
    • pp.141-149
    • /
    • 1996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ccurrence of geographic song variation and its pattern of transitional direction among bush warbler populations distributed in Korea and Japan, Bush warbler songs (n=283) of 25 males from Cheongwon and Jeju, Korea, and from Chiba, Japan were analyzed. Chiba individuals had more song types and had the higher dominant frequency and longer duration of the introductory whistle portion than Cheongwon and Jeju individuals. In measure of eight song parameters, the parameters constantly showed a decreasing or increasing tendency. The constant tendency showed direction related with the geographic location from Chiba to Cheongwon. The difference in song parameters between Cheongwon and Chiba populations was the greatest in comparison to that of other sets of geographic populations. The degree of discrimination among the three populations was 92.00%.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a geographic song variation between bush warblers of Japan and Korea, and that the song transition has been directed from Chiba (Japan) through Jeju to Cheongwon (Korea).

  • PDF

송·원대의 과학에 대하여 I -송에서 금까지- (Sciences in the Song and Yuan Dynasties I)

  • 김영욱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4
    • /
    • 2015
  • This survey is the first part of the history of science of Song and Yuan dynasties and covers the period starting from Song to Jin. The major science in the Song period consists of calendrical astronomy, mathematics and medicine, and mathematics is also related to water supply technology. In this survey we follow Yabuuchi's work on the history of science of Song and Yuan period and Du Shiran's work on the history of science of China. We will try first to see how academic science flourished in the Northern Song, what caused the public science to prevail in the Southern Song, and then how the academic trend continued in Jin. We will continue to cover the Jin-Yuan period in the ensuing survey.

멜로디 라인의 변곡점을 활용한 커버곡의 원곡 검색 알고리즘 (Algorithm to Search for the Original Song from a Cover Song Using Inflection Points of the Melody Line)

  • 이보현;김명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0권5호
    • /
    • pp.195-200
    • /
    • 2021
  • 동영상 공유 플랫폼의 발전으로 인해 동영상 업로드 분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한 동영상에는 다양한 형태의 음악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으며, 그중에는 커버곡이 포함된다. 음악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커버곡의 원곡을 찾아내는 알고리즘이 필요하지만, 커버곡은 원곡의 조성, 속도와 전체적인 구성이 변형된 것이기 때문에 커버곡의 원곡을 찾기는 쉽지 않다. 이와 같이 변형된 커버곡으로부터 원곡을 검색하는 효율적인 알고리즘은 현재까지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멜로디 라인의 변곡점들을 활용한 커버곡의 원곡 검색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변곡점은 멜로디 시퀀스에서 특징적인 변화 지점을 나타낸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원곡의 대표 구절에 대한 변곡점 시퀀스를 사용하여 원곡과 커버곡을 비교한다. 원곡의 대표 구절의 특징을 사용하기 때문에 커버곡이 전체적인 곡의 구성을 변형하여 만들어진 곡이라고 해도, 알고리즘의 검색 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제안한 알고리즘은 변곡점 시퀀스의 특징만을 저장하고 사용하므로 메모리 사용량이 매우 적다. 알고리즘의 효율성은 성능평가를 통해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