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ransmission and Changes Of UlsanSoeburi Song

울산쇠부리소리의 전승현황과 변이양상 연구

  • Received : 2019.07.14
  • Accepted : 2019.08.08
  • Published : 2019.08.31

Abstract

This paper tried an approach of oral literature as the research subject of Soeburi song in Ulsan. First, UlsanSoeburi song is meaningful as materials collected in Ulsan such as Hansil, Dodoekgol, Dudong and Byeongueong. In addition, it is related to regional identity as song native to Ulsan, which has prototype and archetype. And it shows that Ulsan is the city as well as hometown of Soeburi(meaning ' iron manufacture'). The characteristics of lyrics are different between Hansil Soeburi song and Dodeokgol Soeburi song. Jeiman Choi is considered as a good oral literature poet, because he is a performer who is faithful in official structural principal and in original lyrics(archetype) of Soeburi song. Therefore, SoeburiBulmei song of Jeiman Choi signifies aesthetic meaning, having lyrics which make to feel labor's purity and sacred and melody which overcomes labor's difficulty through united action. On the other hand, SoeburiBulmei song of Dalo Kim in Doseokgol shows that he is a extemporaneous performer even though he performs based on official structural principal. In this paper, transmission and changes of UlsanSoeburi song are divided into basic type, frequent shift type and overall type. 'Basic type' originates from Jeiman Choi's Soeburi song in Hansil. 'Frequent shift type' was created by combining SoeburiBulmei song of Dalo Kim in Doseokgol and SoeburiGeumjul song in Ulsan. 'Overall type' is current Soeburi song, which was created by adding Bulmei song for lulling a baby in Byeongueong near Dalcheon region and Seoknyanggan(smithy) Bulmei song. UlsanSoeburi song is being passed down continuously, strengthening the identity as a representative folk song in Ulsan through endless process of transmission and changes.

이 글은 울산지역에서 전승되는 쇠부리소리의 전승과 변이에 대한 연구이다. 먼저, 울산 쇠부리소리는 울산 한실과 도덕골, 두동, 병영 등 모두 울산지방에서 채록된 자료라는데 그 일차적 의의가 있다. 이 점은 쇠부리소리가 원형과 전형을 잘 간직하고 있는 울산 고유의 소리라는 지역적 정체성과 연결된다. 울산이 쇠부리의 도시인 동시에 쇠부리소리의 본향이 될 수 있는 근거이다. 쇠부리소리 사설의 특징은 한실쇠부리소리와 도덕골쇠부리소리가 다름을 알 수 있다. 한실의 최재만은 구비시인으로서 훌륭한 자질을 갖춘 사람이라고 보여 진다. 그는 공식적 구조 원리에 충실한 구연자이자 불매소리의 '원사설(원형)'을 가장 잘 갖춘 구연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재만의 쇠부리불매소리는 노동의 순수함과 신성함을 느끼게 하는 사설과 일치된 행동으로 일의 힘듦을 단합된 모습으로 승화시키는 곡조로 결합되어 노동요로서 미적 의미를 부여받고 있다. 도덕골 김달오의 불매소리는 공식구를 바탕으로 하되, 임기응변적 구연에 능한 인물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울산 쇠부리소리의 전승과 변이 양상은 '기본형' '변주형', '종합형'으로 나누었다. '기본형'은 한실 최재만의 쇠부리소리에서 출발했으며, '변주형'은 도덕골 김달오의 쇠부리소리와 울산 지방에서 전승되던 쇠부리금줄소리가 어울려 울산 쇠부리놀이가 탄생한 것이다. '종합형'은 기존의 소리에다 달천지역과 가까운 병영지역에서 불리던 아기어르는불매소리와 성냥간불매소리를 채록하여 지금의 쇠부리 소리가 탄생하게 된 것이다. 울산 쇠부리소리는 이와 같이 끝없는 전승과 변이의 과정을 거치면 울산 지역을 대표하는 민요로 그 정체성을 확보하며 지속적으로 전승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