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depth(0-3,3-6 cm)

검색결과 314건 처리시간 0.031초

울릉도 성인봉 주변 너도밤나무 하위군락별 토양 특성 (Soil Characteristics in Fagus multinervis Subcommunities at Songinbong Area of Ullungdo)

  • 박관수;송호경;이선
    • 환경생물
    • /
    • 제18권3호
    • /
    • pp.299-305
    • /
    • 2000
  • 본 연구는 울릉도 성인봉 주변에 생육하고 있는 너도밤나무군락의 섬조릿대하위군락, 전형하위군락, 일색고사리하위군락에 대한 토양단면 및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울릉도 산림토양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하위군락별 토양특성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하위군락별 토양단면의 형태는 하위군락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위군락간 토양의 이화학적 요인분석에 있어서 0-10cm 토양 깊이에서 Ca함량에서만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을 뿐, 다른 요인들은 하위군락 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울릉도 성인봉 주변의 토양특성 중 유기물함량은 0-10cm 토양 깊이에서 평균 21.6%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전질소함량도 0-10cm 토양 깊이에서 평균 0.74%로 높게 나타났다. 가비중은 0.43g/cm로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pH는 평균 4.4로 강한 산성토양의 특성을 나타내어 우리나라의 일반 산림 토양과는 매우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익산 제 2공단 토양의 중금속 함량 분포 조사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in Soil at Iksan 2nd Industrial Complex Area)

  • 김성조;백승화;문광현;장광호;김수진;이승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50-258
    • /
    • 1999
  • 익산 제 2공단은 1995년 조성 후 생산활동이 진행됨에 따른 토양의 중금속 함량을 비오염지의 자연토양 중 함량과 비교하고, 산업활동의 유형에 따른 토양중 중금속 함량 변화와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주로 표층토를 중심으로 $0{\sim}3\;cm$, $3{\sim}6\;cm$ 토양층에 있는 Cd, Cu, Ni, Pb 및 Zn의 함량을 조사${\cdot}$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d의 함량의 경우 $0{\sim}3\;cm$ 층은 $0.07\;{\sim}\;4.375\;ppm$ 범위로 평균 0.516 ppm, $3{\sim}6\;cm$ 층은 $0.07{\sim}8.52\;ppm$ 범위로 평균 0.380 ppm 이었으며, 화학제품, 염료 및 금속제품을 생산하는 지역이 높았다. 2. Cu의 함량 분포의 경우 $0{\sim}3\;cm$ 층은 $0.61\;{\sim}\;42.62\;ppm$ 범위로 평균 11.087 ppm, $3{\sim}6\;cm$ 층은 $0.16{\sim}35.45\;ppm$ 범위로 평균 7.578 ppm 이었으며, 금속제품을 생산하는 지역이 주로 높았다. 3. Ni의 함량 분포의 경우 $0{\sim}3\;cm$ 층은 $0.19\;{\sim}\;15.93\;ppm$ 범위로 평균 5.525 ppm, $3{\sim}6\;cm$ 층은 $0.39{\sim}15.59\;ppm$ 범위로 평균 5.310 ppm 이었으며, 금속 및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지역이 주로 높았다. 4. Pb의 함량 분포의 경우 $0{\sim}3\;cm$ 층은 $3.10\;{\sim}\;55.75\;ppm$ 범위로 평균 23.543 ppm, $3{\sim}6\;cm$ 층은 $3.35{\sim}46.55\;ppm$ 범위로 평균 19.198 ppm 이었으며, 화학제품 및 금속제품을 생산하는 지역이 높았다. 5. Zn의 함량 분포의 경우 $0{\sim}3\;cm$ 층은 $26.50\;{\sim}\;943.00\;ppm$ 범위로 평균 158.329 ppm, $3{\sim}6\;cm$ 층은 $35.45{\sim}882.45\;ppm$ 범위로 평균 127.914 ppm 이었으며, 화학제품, 염료 및 금속제품을 생산하는 지역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세계의 비오염 토양 함량수준과 본조사지역의 평균함량을 비교하면 Cu, Ni은 비오염 수준이었으나, Cd은 기준치를 약간 넘었고, Pb과 Zn은 기준치보다 훨씬 높아 익산 제2공단의 오염정도는 산업(화학제품, 염료 및 금속 제품을 생산)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낮추베기 뽕나무 뿌리와 몇몇 토양화학성 분포에 관한 조사연구 (Distribution of Root System and Several Chemical Components of Soil on Low-Cutting Mulberry Field)

  • 이원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2-58
    • /
    • 1980
  • 20년생 낮추베기 개양서반의 뽕밭에서 휴간 1.8m을 7등분으로, 2주간 1.2m를 7등분으로 각각 분할하고, 표토로부터 10cm씩 40cm 깊이의 토양을 구분 채취하여 총 196점에 대한 뿌리와 토양화학성분포를 조사 분석한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뿌리의 분포는 그루주변으로 갈수록 증가하늘 반면 pH 유효인산, Ca, Mg등은 이와 대조적으로 휴간에서 높았다. 2. 주간의 뿌리 및 토양화학성(pH, 유효인산, K, Ca, Mg등)은 비교적 균일한 분포를 보였다. 3. 층위별 뿌리의 분포는 10~20cm부위에서 가장 높은데 비해 0~10cm부에서는 20~30, 30~40에서 보다도 낮으며 pH, 유효인산, Ca, Mg, K등은 0~10cm부위에서 가장 높으며 심층으로 갈수록 낮아서, 사실상 양분의 효율적인 흡수가 극대점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하해혼성 충적층 논토양 작토층과 경반층의 토양특성 (Soil Characteristic of Plow and Compaction Layer in Fluvio-marine Deposit Paddy Soil)

  • 양창휴;김택겸;유진희;김재덕;정광용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364-370
    • /
    • 2009
  • 벼 재배시 하해혼성층 논토양의 전북통과 지산통 작토층과 경반층의 특성을 2년간(2005~2006)조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하해혼성층적층 대표토양인 전북통과 곡간충적층 대표토양인 지산통을 10개소에서 조사한 결과 작토심은 전북통 12.6 cm, 지산통 12.7 cm 이었고 플라우 경운깊이는 120필지에서 조사한 결과 10.5 cm 이었으며 전북통에서 경도와 작토심과는 부의 상관을, 경도와 경반층 두께와는 정의 상관을 나타냈다. 경반층 경도는 전북통 $14.7kg\;cm^{-2}(25.3mm)$, 지산통 $8.7kg\;cm^{-2}(22.1mm)$ 이었고, 두께는 전북통 22.3 cm, 지산통 17.8 cm 이었으며 경반층 출현깊이는 전북통 15 cm, 지산통 20 cm에 있었다. 경반층 지온은 작토층과의 차이를 보면 전북통에서는 봄 $-2.0^{\circ}C$, 여름 $-2.5^{\circ}C$, 가을 $-1.0^{\circ}C$를 지산통은 봄 $-2.1^{\circ}C$, 여름 $-1.8^{\circ}C$, 가을 $-0.7^{\circ}C$를 나타냈고 전북통에서 산화환원전위차 변화는 작토층은 유수형성기부터 환원상태를 경반층은 출수후기까지 산화상태를 나타냈다. 토양물리성은 두 토양통 공히 경반층에서 용적밀도, 고상율이 높고 공극율, 기상율이 낮았다. 또한 토양화학성은 경반층에서 총질소가 낮았고, 유기물 및 유효 인산함량이 적은 반면에 pH가 높고, 유효규산, 치환성칼슘 및 마그네슘 함량이 많았다. 양이온치환용량은 전북통에서 작토층 및 경반층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지산통은 경반층에서 다소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무기태질소 함량은 토양통 공히 작토층에서 많았고, 가용성 미량성분 함량은 경반층에서 많았으며 지산통에서 많은 경향을 나타냈다. 감수심은 전북통에서 심경구, 지산통 경운구는 로타리구보다 빠르고, 계절별 감수심 변화는 6월 하순까지는 감수심이 빨랐으나 7~8월에는 1~3 mm로 늦었으며 9월부터는 빠른 경향을 나타냈다. 벼 뿌리분포는 로타리 25 cm, 심경 30 cm, 경운 20 cm까지 신장하였고, 출수기 뿌리 건물중은 심경>로타리>경운 순으로 무거웠다.

지리산국립공원 내 조릿대 임분의 수원함양기능 분석 (Analysis of Water Retention Capacity at Sasa borealis Stands in Jirisan National Park)

  • 지형우;박재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11
    • /
    • 2008
  • Although landslides were frequently occurred under Tripterygium regelii and Rubus sp. vegetations, the damage of landslide was not observed in sasa (Sasa borealis) stands. These phenomena may be affected by forest vegetation types.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landslide occurred in Jirisan (Mt.) National Park may be closely related to water retention capacity at Sasa borealis stands.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water retention capacity of each soil horizon of sasa, larch (Larix leptolepis) and mongolian oak (Quercus mongorica) stands. Soil bulk density in A horizon was lower in sasa (0.776g/$cm^3$) than in mongolian oak (0.828g/$cm^3$) and in larch stands (1.282g/$cm^3$). Water permeability in A horizon was 0.02055cm/sec for sasa, 0.00575cm/sec for mongolian oak, and 0.0007cm/sec for larch stands, respectively. The water permeability of sasa stand was about 3.6 times and about 29 times higher than in mongolian oak and in larch stands, respectively. This result indicates that water infiltration of soil surface during a rain event is more rapid in sasa than in other two stands. Soil organic matter content in B horizon was lower in larch (0.7%) than in mongolian oak (6.5%) and in Sasa (3.3%) stands. The solid ratio in A horizon was highest in larch among three stands, but that of mongolian oak and larch stands showed a similar rate. Pore space rates was 70.7% for A horizon and 70.6% for B horizon of sasa, 68.9% for A horizon and 70.6% for B horizon of sasa, 68.9% for A horizon and 70.6% for B horizon of mongolian oak forests and 51.7% for A horizon and 49.2% for B horizon of larch forests, respectively. According to pore space rates, the water retention capacity may be poor in larch stand compared with other two stands. Soil strength in sasa and mongolian stands was over 25kgf/$cm^2$ from 40cm depth, while the strength was over 25kgf/$cm^2$ from 25cm depth in larch stand. The result indicates that tree growth and water permeability in larch stand could be limited due to high soil strength. Larch stand was poor for soil pore space development to be offered to the water retention capacity, but water retention capacity of A horizon soil in sasa stand was high than that of other two stands. Therefore, establishment of sasa stand under larch stand could help to prevent landslides.

자주식 심토환경 개선기 개발(1) - 과수원의 토양 다짐 특성 및 심토 관리 실태 - (Development of Self-propelled Explosive Subsoiler (1) - Present Status of Soil Compaction and Subsoil Management in Orchard -)

  • 이동훈;박우풍;이규승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4권6호
    • /
    • pp.397-403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esent status of subsoil compaction, and subsoil compaction management in orchard as a basic study for developing a self-propelled explosive subsoiler. Subsoil compaction was evaluated using the soil penetration resistance. Soil cone index was measured using the DIK 5520 type cone penetrometer in several fruit farms such as apple, pear, peach and grapes during growing seasons of these fruit in Jecheon, Gamgok, Choongju, Cheonan and Hwasung areas. Most of the subsoil managing machinery were either explosive type or digging type attached to the tractor or power tiller and turning radius of this machine was more than 3-5 m. Many of the farmers wanted to use the subsoiler which can put lime into soil and rupture soil at the same time. For most of the orchard fields, soil penetration resistance in vehicle traffic area was increased quickly and reached about 1.0 MPa in 5 cm soil depth. As the soil depth increased to 15-20 cm, cone penetration resistance reached about 2.0-2.5 MPa which restricted root growth seriously. Thus it was concluded that one of the main reason for increasing the soil compaction in orchard fields is agricultural vehicle traffic. In the vicinity of fruit trees, compaction is not so serious compared to that of the vehicle traffic area, but as the soil depth increased to 20-25 cm, in most of the orchard fields soil penetration resistance reached about 2.0-2.5 MPa which is the root growth-limiting value. Considering the rooting depth of fruit trees which ranged 30-60 cm for apple, pear and peach, and 20-30 cm for grape, it is necessary to loosen the subosoil and improve the subsoil conditions using subsoiler.

깊이별 용적밀도가 다른 시설재배지 토양의 염류분포 (Vertical Distribution of Bulk Density and Salts in a Plastic Film House Soil)

  • 김필주;이도경;정덕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26-233
    • /
    • 1997
  • 시설재배지내 염류집적의 원인중 토양의 물리적 구조변화가 염류집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10년이상 비닐하우스 농사를 실시해온 충남 예산군 오가면의 시설재배지 토양의 깊이 변화(0~60cm)에 따른 토양 용적밀도 변화와 염류집적 분포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시설재배지 토양의 용적밀도 분포특성은 경운층 이상에서는 용적밀도 약 $1.2Mg/m^3$, 경운층 이하(20cm)에서는 농기계의 반복사용에 의한 다져짐(Compaction) 발생으로 높은 용적밀도(약 $1.5Mg/m^3$)의 경반층(硬盤層)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로 인한 토양수의 수직이동의 지연과 표층토내 염류집적이 가속화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층토 10cm 이내의 전기전도도(EC)는 5.08 dS/m, pH 6.7, ESP 6.4로 US Salinity laboratory 분류에 의해 염류 집적지(Saline soil)로 분류되었다. 경반층(硬盤層)의 영향에 의해 EC값은 20cm 이후부터 크게 감소하여, 30cm 이후에서는 약 0.7 dS/m의 낮은 EC값을 보였다. 치환성 양이온과 수용성 음이온의 대부분은 표층토 20cm이내에 집적되었으며, 경반층(硬盤層) 층 이하에서는 미미한 농도의 이온만이 검출되었다. 시설재배지 토양내 EC 및 이온분포가 경운층 전후 사이에 큰차이를 보이게 하는 여러 요인들중 경반층(硬盤層) 형성에 의해 부분적으로 관여한 것으로 조사 되었다.

  • PDF

실초태 실소 의 보리 근권토양내 동적 변화와 $N_{min}$ 토양진단법에 의한 과정 실소추식량 결정 (Dynamics of $NO_3^{-}$-N in Barley Rhizosphere and Optimum Rate of Nitrogen Top- Dressing Based on $N_{min}$ Soil Test)

  • 손상목;큐케마틴;한인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85-194
    • /
    • 1995
  • 겨울보리 재배 시 질소시비 수준를 달리한 0~30cm, 30~60cm, 60~90cm 근권깊이별 $NO_3^{-}$-N 함량의 경시적 동적 변화를 추적하고 이를 토대로 시료채취 근권깊이를 달리하는 몇몇 토양진단법에 의한 적정 추비량 결정의 국내 적용의 적절성 여부를 검토한 결과, 1 기비 및 추비로 시용된 질소가 표토층으로부터 서서히 심층 하층토로 용탈, 집적되고 있었는데 이는 근권깊이별 $NO_3^-$-N 농도보다 $NO_3^-$-N 함량을 계산할 때에 더욱 명확하였다. 2. 추비직전인 2월말 0~90cm 근권층에서의 $NO_3^-$-N 함량은 기비로 시용한 질소시용 량에 따른 토양내의 $NO_3^-$-N 함량도 비례하여 높아져 기 비 시 용량 차이 가 데 체로 반영 하였으나 0~30cm 근권상층부에서의 $NO_3^-$-N 함량은 기비시용량을 전혀 반영시켜 주지 못하였다. 추비시용 이후의 토양깊이별 $NO_3^-$-N 함량의 경시적 차이 역시 0~30cm에 비해 0~90cm 근권층에서 질소시비량간 차이가 뚜렷하였다. 3. 0~90cm 근권깊이의 $NO_3^-$-N 함량에 따라 질소추비량을 결정하는 $N_{min}$- method에 의해 계산된 질소추비량은 무비구, 보비구, 배비구에서 기비시용량이 많을수록 질소추비량은 80.6, 40.0, 10.1kg/ha로 낮았으며, 보비 구의 경 우 질소추천추비량 60kg/ha보다 20kg/ha 정도 낮았다. 한편 0~30cm 토양진단에 따른 질소추비량은 각 처리구에서 추천시비량의 1차 질소추비량과는 비슷하여 기비처리 수준에 따른 질소추비량 차이가 전혀 없었다. 4. 0~30cm, 0~60cm, 0~90cm 근권 $NO_3^-$-N 함량과 수량과의 관계를 비교한 결과 0~90cm근권 $NO_3^-$-N 함량만이 수량과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 $N_{min}$ 토양진단법이 적절하였다. 한편 0~90cm 근권 $NO_3^-$-N 함량이 120kg/ha일 때 수량이 최고에 도달하였다.

  • PDF

교란지 복구를 위한 표토의 매토종자 발아특성 - 예산군의 나지와 묵밭 토양- (Seed Germination of Surface Soil for Restoration of Disturbance Place - Bare Land and abandoned Field, Yesan-gun, Korea -)

  • 강희경;조남경;송홍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9-92
    • /
    • 2017
  • To offer the basic data of vegetation restoration by buried seed of soil,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t bare land and abandoned field in Yesan-gun. Germination plants of buried seed were consisted of 40 taxa (37 species, 3 varieties) in bare land, and 41 taxa (37 species, 4 varieties) in abandoned field. Classification of germination plants by family was the most in Gramineae, and emergent frequency of plots was the highest of Digitaria ciliaris. The soil depth of the most plants appearance was 2~5cm in bare land and 5~10cm in abandoned field, and the soil depth of the most population appearance was 0~2cm both in bare land and in abandoned field. Population number of buried seed germination was decreased according to soil depth. Crepidiastrum sonchifolium was a plant that population number of buried seed germination is the most. Similarity index was 0.33 in aerial part plants and buried seed plants, and 0.55 in bare land and abandoned field.

강원도지역의 토양 동결심 및 상록식물의 함수량 추이에 관한 연구 (2) (Studies on the Soil Freezing Depth and Change of Moisture contents in evergreen Plants upon subzero Temperature in Kangwon area.(2))

  • 홍종운;허범양;원경열;임병춘;이기철;하상건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9-55
    • /
    • 1990
  •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oil freezing depth and the accumulated degree-day of temperature below $0^{\circ}C$ at 17 locations during 1989-1990 winter season in kangwon province. The observed results are as follows : 1.When accumulated degree-day of temperature below at was 141t at late January soil freezing depth of sunny place was 46.5cm, that of shaded lot was 59 cm, and that of marginal place sunny or shaded area was 55cm, in Chun cheon. 2.Accumulated degree-day of temperature below at of Dae gwangryong area was more than that of Un-du, whereas soil freezing depth of Dae gwangryong was lower that of Un-du. It was considered that snow covering worked as heat insulator. 3.Soil freezing depth of vinyl mulching on Zoysia turf was less by around 2Ocm than that of non-vinyl mulching. Rice hulls covering of 4Ocm showed the great heat insulation effects with the soil freezing depth of 1.5cm at sunny place and 6.5cm at shaded lot compared to that of 47cm at sunny and 59.5 cm at shaded place bare ground. 4.Among investingated areas, Dunae, Honeg seong gun was the deepest soil freezing, 89cm with $569^{\circ}C$ of accumulated degree-day of temperature below $0^{\circ}C$ at late February. 5.dehydration of Juniperus C. var. Kaizuca, Euonymus japonica, and Chamaecyparis pisifira at winter season was around 5 %, however dehydration of Vinca minor was more than 10 %. A Studies on the Soil Freezing Depth and Change of Moisture contents in evergreen Plants upon subzero Temperature in Kangwon area.(2)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