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chemical proportion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33초

보은지역 흑색셰일 분포지역에서의 암석-토양-식물계내 잠재적 독성원소들의 분산과 이동 (Dispersion and Migration of Potentially Toxic Elements in the Rock-Soil-Plant System from the Boeun Area Underlain by Black Shales, Korea)

  • 이진수;전효택;김경웅
    • 자원환경지질
    • /
    • 제30권6호
    • /
    • pp.587-601
    • /
    • 1997
  • This study had three purposes: (1) to investigate the enrichment levels and dispersion patterns of potentially toxic elements in the rock-soil-plant system; (2) to evaluate the uptake ratios of heavy metals from soils into plants and (3) to assess the chemical speciation of heavy metals in soils. Rock, surface soil and plant samples were collected in the Boeun area underlain by black shales of the Okchon Zone. These samples were analyzed for multi-elements using INAA, ICP-AES and AAS. The maximum abundance of U in black shales is 16 mg/kg and radioactivity counts up to 300 cpm. In particular, Mo, V, Ba, Cd, Pb and U are enriched in black shales. Most of soils derived from black shales show high concentrations of U, As, Mo, Ba, Cu, Cd, Pb, Zn and mean concentrations of As and Mo in soils (20 mg/kg of As and 6.6 mg/kg of Mo) are higher than the permissible level suggested by Kloke (1979). Enrichment index values of soils are calculated and higher than 1.0 in the black shale area with the highest value of 6.4. Mean concentration of Cd in plants is higher than those of Cu, Pb and Zn. The concentration of Cd in plant species decreases in the order of Chinese cabbage > red pepper > soybean=sesame > rice stalk > com > rice grain. The biological absorption coefficients (BAC) in plants are in the order of Cd > Zn=Cu > Pb, which suggests that Cd is more bioavailable to plants than Cu, Pb and Zn. From the results of sequential extraction analysis of soils,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Cu, Pb and Zn are present as residual fractions whereas that of Cd as non-residual fractions. Cadmuim occurs predominantly as exchangeable/water-acid soluble phase in soils, and Cd is more mobile and bioavailable than Cu, Pb and Zn.

  • PDF

제주 화산회토양에서 돈분액비 시용이 유거수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ig Slurry Applic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Runoff Water in Volcanic Ash Soil in Jeju)

  • 박남건;황경준;박형수;송상택;김문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89-196
    • /
    • 2007
  • 제주지역에서 사료작물 작부체계에 있어 여름철에 주로 재배되고 있는 수수$\times$수수 교잡종을 공시하여 lysimeter에 돈분액비 시용수준이 유거수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무비구, 화학비료구(200kg N/ha), 돈분액비 시용구(200, 400, 600kg N/ha) 등 5처리를 두어 난괴법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돈분액비의 시용 초기에 유거수내 BOD 및 COD는 돈분액비 600kg N/ha 시용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또한 돈분액비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유거수의 T-N는 증가하였다. 그러나 유거수 중의 T-P 농도는 돈분액비 시용수준에 대한 영향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유거수 중의 $NO_3-N$$NH_4-N$ 농도는 돈분액비 시용수준이 증가할 수록 높았다(p<0.05). 결론적으로 제주 화산회토양에서는 돈분액비 시용량이 증가할 수록 수수$\times$수수 교잡종의 건물수량은 높일 수 있으나 유거수에 의한 환경오염이 우려된다. 따라서 제주 화산회토양에서 화학비료를 대체하기 위한 돈분액비 이용은 200kg N/ha 시용하는 것이 환경 오염방지 측면에서 안전할 것으로 판단된다.

시설상추 재배시 축분퇴비 이용에 따른 화학비료 절감효과 평가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Livestock Manure Compost on Reducing the Chemical Fertilizer Use for the Lettuce Cultivation in Green House)

  • 강창성;노안성;김성기;박경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57-464
    • /
    • 2011
  • 본 시험은 우분, 돈분, 계분 등 축종별로 가축분퇴비를 인산비료 대체를 위해 토양검정 인산시비 해당량을 시용하고 질소와 칼리 부족량만 화학비료로 보충하는 축분퇴비와 화학비료 혼용 시비처방 기준을 개발하고자 '08~'10년의 3개 년간 시설상추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토양 pH는 축분퇴비 단용구가 가장 높았고, 질소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OM은 모든 퇴비시용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며 $NO_3$-N는 NPK 처리구에 비해 LC+N100 처리구가 높은 경향이었으며, Av. $P_2O_5$는 축분퇴비 시용구가 동일량의 인산 비료를 투입한 NPK 처리구에 비해 약 $20mg\;kg^{-1}$ 높았다. 치환성 칼리는 화학비료 처리구와 K 부족량이 보충시비 된 축분퇴비 처리구가 같은 수준이었다. 칼슘과 마그네슘, 나트륨 등은 퇴비 처리구가 NPK 처리구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다. 축분퇴비 질소의 토양 $NO_3$-N 공급능은 요소비료에 비해 돈분, 계분, 우분퇴비 각각 37, 35, 23% (퇴비 종합 34%) 수준으로서 축분퇴비 시용시 화학비료 질소 절감 가능량으로 추정하였다. 상추 엽중 $NO_3$ 함량은 화학비료 질소시용량에 비례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상추의 양분흡수량은 상추수량과 같은 경향으로서 PK 및 LC+N0 처리구가 가장 낮고 질소비료 시용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시설상추 재배시 축분퇴비를 인산 토양 검정시비 해당량을 시용하여 인산질비료를 100% 대체한 후 질소비료는 "질소적정시비량 = 토양검정 질소시비량 - (축분퇴비 질소시용량 ${\times}$ 0.34)", 칼리비료는 "칼리적정시비량 = 토양검정 칼리시비량 - 축분퇴비 칼리시용량" 식에 의해 산출하여 3요소 시비량을 결정하는 방법을 도출하여 축분퇴비 및 화학비료 양분 종합이용기술의 일례로 제시하였다.

퇴적 연약점토의 오염에 따른 강도 및 변형 거동특성 (The Behaviour Characteristics of Strength and Deformation of the Deposited Soft Clay Owing to Contamination)

  • 천병식;하광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117-126
    • /
    • 2005
  • 채취된 퇴적 점토시료의 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주사전자현미경(SEM) 관찰과 에너지분산분광(EDX)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생활하수 및 산업폐수의 유입으로 오염된 퇴적점토의 강도 및 변형특성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NaCl 수용액과 매립장 침출수를 시료의 간극수 또는 포화수로 교체하여 삼축압축시험과 압밀시험을 실시하였다. 점토시료에 대한 화학성분 분석결과 구성비 크기는O, C, Si, Al, Fe순서를 보이고 있으며, 이 중에서 C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것은 방조제 축조로 인한 식물 플랑크톤의 증식에 기인된 것으로 추정된다. 삼축압축시험 및 압밀시험결과, NaCl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전단강도는 증가하고 압축성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해질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확산이중층(DDL)의 두께가 감소되어 흙의 구조가 면모화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호기순환 호흡계를 이용한 토양처리 석탄바닥재의 유기물 분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Amended Bottom Ash on Decomposition Rates of Organic Matter as Investigated by an Enforced-Aeration Respirometer)

  • 정석호;정덕영;한광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53-259
    • /
    • 2012
  • 석탄 연소 부산물인 비산회 (fly ash)는 이산화탄소 발생을 저감하고 토양 탄소를 격리하는 효과가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같은 연소 부산물인 석탄바닥재 (bottom ash)는 비산회와 유사한 화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고, 아울러 다공성으로 토양미생물들이 정착하는 적절한 담체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성질이 다른 유기물들 (헤어리베치, 청보리, 유박비료)이 처리된 토양에서 석탄바닥재가 토양 미생물들에 의한 유기물 분해 및 호흡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의 분해속도는 유박비료, 헤어리베치, 청보리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유기물과 석탄바닥재를 함께 처리하였을 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산화탄소 발생량의 경시적인 변화는 유기물의 이분해성에 의존하였으나, 석탄바닥재를 처리하였을 때 유의하게 발생량이 감소하였다. 총 누적 이산화탄소 발생량 또한 이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석탄바닥재가 함유하고 있는 중금속 등과 같은 유해물질의 농도가 높지 않다면, 본 연구의 결과들은 석탄바닥재가 토양 처리 유기물의 이산화탄소 발생 저감 및 토양 탄소격리에 긍정적으로 기여 할 수 있는 소재로서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용출시험을 통한 불산 누출사고지역의 토양 내 불소(F)의 거동특성 (Potential Environmental Influences in Soil by Accidental Fluorine (F) Leakage, Using Leaching Test)

  • 김도영;이준석;권은혜;이현아;윤혜온;이상훈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34-239
    • /
    • 2015
  • 본 연구는 불산 누출사고로 인한 토양 내 불소의 잔류여부 및 용출특성을 파악하여 장 단기적 환경위해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pH 유지 용출시험, 연속 회분식 용출시험, 주상용출시험 등을 적용하였다. 이는 다양한 환경과 시간범위에서 불소의 용출정도를 조사하여 이동도 및 용출특성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자 함이다. 대부분의 토양시료에 대하여 pH가 알칼리성으로 증가할수록 수산화이온과의 경쟁 및 치환으로 인하여 불소의 용출농도 역시 증가하였다. 연속 회분식 용출시험에서는 인공오염 토양시료에서 초기 불소의 용출농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2차 용출 이후 현장토양시료와 유사한 낮은 용출농도를 보였다. 또한, 주상용출시험의 경우도 인공오염 토양시료에서의 초기 용출단계에서 다량의 불소가 용출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다양한 용출시험 결과 초기 토양입자표면에 잔류한 불소는 비교적 초기에 쉽게 제거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사고로 인한 잔류불소의 영향은 2년이 지난 현재 시점에서 매우 적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실제 화학물질 사고와 같은 외부적인 영향을 받은 환경피해지역 토양에 대하여 즉각적인 오염확산관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호밀녹비 이용 시 중질소($^{15}N$)를 이용한 질소원 유래별 콩의 집적질소 분획추정 (Estimation of Soybean N Fraction Derived from N Sources by $^{15}N$ in Soybean Cultivation with Rye as Green Manure)

  • 서종호;이성희;조영손;이재은;이충근;권영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50-57
    • /
    • 2008
  • 월동 후 녹비용 호밀에 시용한 질소가 콩의 질소고정 및 흡수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하여, 2004년 온실 및 2005년 포장에서 포트시험을 통해 시비질소량별 토양, 호밀 및 콩의 질소회수율을 조사하였다. 1. 2004년 온실폿트 시험에서는 호밀에 시용한 질소비료 량이 증가할수록 호밀지상부가 토양에서보다 질소비료로부터 질소를 흡수하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호밀이 없는 조건에서는 논흙이 밭흙보다 콩의 건물 중 및 질소흡수량이 현저히 증가하였는데, 지력이 높았던 논흙에서는 밭흙에 비해 콩이 질소고정 유래 질소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토양유래 질소의 비율이 높았다. 2. 밭흙에서 무녹비와 대비하였을 때 호밀녹비 이용 시의 콩 시비질소회수율은 낮았지만 토양의 시비질소회수율(질소유기화)이 높아 전체회수율은 높았으며, 또 호밀녹비 이용시 콩의 시비질소회수율은 호밀에 대한 질소시용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3. 2004년 온실포트 실험에서의 콩의 근류고정유래의 질소비율은 약 $92{\sim}95%$로 2005년 포장포트에서의 $82{\sim}84%$보다 약 10% 정도 높았으며, 콩의 근류고정유래 질소량 및 질소량 분획 추정에서는 2년 모두 Difference method와 $^{15}N$ method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나일론 6 직물의 아크릴산 그라프트 중합과 그라프트 나일론의 세척성 -그라프트 나일론 직물의 헤모글라빈 오구 세척성 향상- (The Effect of Graft using Acrylic Acid on the Detergency for the Nylon 6 Fabric -Improvement of Hemoglobin Removing Rate on Grafted Nylon-)

  • 오수민;김인영;송화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1064-1072
    • /
    • 1999
  • Nylon fabric was grafted for the purpose of the development of detergency against the hemoglobin as a protein soil. By free-radical producing chemical initiator systems the graft using acrylic acid(AA) as a hydrophilic vinyl monomer was performed to change surface energies in the presence of ammonium persulfate(APS) as an initiator and then acrylic acid grafted Nylon was treated with NaOH solution. The surface morphology for Nylon-g-NaAA with changing graft rate were studi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he properties of the Nylon such as diameter tenacity elongation contact angle and the hemoglobin removal were also investigated. The diameter of grafted Nylon fiber increased as the graft ratio increased. The tenacity of grafted Nylon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graft ratio up to 15% The elongation however decreased gradually according to graft, The contact angle decreased after graft and alkaline treatment. The amount of hemoglobin on the grafted Nylon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graft ratio. Hemoglobin was easily removed from grafted Nylon while it was difficult to be removed from ungrafted Nylon. The detergency of hemoglobin for grafted Nylon decreased when the graft ratio exceeded 15% The removal of hemoglobin increased markedly with increasing hemoglobin content and revolution speed. Therefore the removal of hemoglobin was improved due to graft and alkaline treatment.

  • PDF

오이연작토양(連作土壤)의 화학성(化學性), 미생물상(微生物相) 및 Biomass 에 미치는 담수처리(湛水處理)의 영향(影響) (Effects of Water-logging on the Chemical Properties, Microflora and Biomass in Continuous Cropping of Cucumber Soils)

  • 김현우;김용웅;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6-155
    • /
    • 1989
  • 오이연작토양(連作土壤)에 담수처리(湛水處理)를 하여 오이를 재배(栽培)하면서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로 토양화학성(土壤化學性), 미생물조(微生物租) 및 미생물성(微生物性) Biomass의 변화(變化)를 조사분석(調査分析)하여 얻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1. 토양화학성중(土壤化學性中) pH는 5.50~5.90으로 높아지고, EC는 0.3mmhos/cm 이하(以下)로 감소(減少)하여 염류온도장해(鹽類溫度障害)의 가능성(可能性)이 줄었으며, 토양염류(土壤鹽類)의 균형(均衡)도 Ca/Mg는 2.5 Ca/K는 4.8, Mg/K는 2.0에 근접(近接)하였다. 2. 담수처리후(湛水處理後) 세균(細菌)과 방사상균(放射狀菌)의 수(數)는 증가(增加)하였으나, 사상균(絲狀菌)과 병원성(病源性) Fusarium 속균(屬菌), 그리고 Pythium과 Phytophthora속균(屬菌)의 수(數)는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3. B/F치(値)는 담수처리시(湛水處理時)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며 처리별(處理別)로는 7일간(日間) 담수구(湛水區)보다 20일간(日間) 담수구(湛水區)의 B/F치(置)는 더 높은 값을 나타냈다. 4. Biomass 함량(含量)은 10.4~36.1mg/100g이었으며 담수구(湛水區)의 Biomass 함량(含量)은 비담수구(非湛水區)보다 더 높았으며, 담수기간(湛水期間)이 길수록 더 높았으며, 시기별(時期別)로는 생육중기(生育中期)의 함량(含量)이 초기(初期)보다 낮은 경향(傾向)이었으나, 일반적(一般的)으로 증가(增加) 하는 경향(傾向)이었다.

  • PDF

피혁폐기물 연용에 따른 토양 및 식물체내 크롬분포 (Distribution of Chromium in Radish and Soil by Successive Leather Processing Sludge Treatment)

  • 권순익;정광용;정구복;박백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0-25
    • /
    • 2000
  • 피혁폐기물의 연용에 의한 토양의 이화학적 변화 및 작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피혁가공슬러지는 질소 함량이 $60\;g\;kg^{-1}$, 크롬 $9,048\;mg\;kg^{-1}$ 이었으며, 공시작물은 봄에는 알타리무, 가을에는 김장무를 재배하였다. 처리수준은 건물기준으로 연간 12.5, 25, $50\;Mg\;ha^{-1}$ 로 봄과 가을에 각각 1/2씩 $1m^2$의 무저pot에 4년간 연용 처리하였고, 대조구로 화학비료구$(N-P-K\;:\;280-59-154\;kg\;ha^{-1})$를 두었다. 피혁슬러지를 시용한 토양중 유기물과 질소함량은 증가하나 인산과 칼리는 연용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토양중의 크롬 함량은 처리수준이 높아질수록 그리고 연용연수가 길어질수록 증가추세를 보였다. 무 수량은 1년차 알타리무 재배 시험에서만 시용량과 반비례하였고, 1년차 가을 김장무 재배에서 3년차 김장무 재배시험까지는 시용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그러나 4년차에는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에서 수량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또한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식물체내 크롬 함량도 증가되었으며, 식물체내 크롬 함량은 뿌리보다 잎에서 많이 검출되었다. 무의 크롬 흡수와 관련이 큰 토양중 크롬의 존재형태는 유기태와 황화물 잔류태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