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anxiety

검색결과 1,070건 처리시간 0.026초

청소년의 자아상과 사회적 민감성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자아상-우울-불안-사회적 민감성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SELF-IMAGE AND SOCIAL SENSITIVITY IN ADOLESCENTS : THE STRUCTURAL RELATION AMONG SELF-IMAGE, DEPRESSION, ANXIETY, AND SOCIAL SENSITIVITY)

  • 신민섭;소준현;홍강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7권1호
    • /
    • pp.61-67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아상과 우울, 불안, 그리고 사회적 민감성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우선, 자아상이 부정적인 청소년들이 자아상이 긍정적인 청소년보다 더 우울하고 불안하며 대인 관계나 사회적 상황에서 더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두번째로는 낮은 자아상이 사회적 민감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 아니면 낮은 자아상을 가진 청소년들이 우울이나 불안감을 더욱 느끼게 되고, 그 결과 사회적 민감성이 증가되는지 그 인과적인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남, 여 학생 총 1,602명 (남자 697명, 여자 905명)에게 Offer의 자아상 척도와 간이 정신진단 검사의 하위 척도중 우울, 불안, 사회적 민감성 척도를 실시한 후, 자아상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자아상이 낮은 집단이 자아상이 높은 진단에 비해 우울.불안, 사회적 민감성 척도점수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상과 우울, 불안, 사회적 민감성간의 구조적 관계를 LISREL로 분석한 결과, 자아상이 사회적 민감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기 보다는, 자아상이 낮은 청소년들은 자기 자신에 대해 우울이나 불안감을 느끼게 되고, 그로 인해 사회적 민감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들이 사회적 불안과 대인 공포를 발전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긍정적 자아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해주었고. 사회 공포증 청소년 환자에 대한 치료및 예방에 있어 임상적 시사점을 가지는 것으로 논의되었다.

  • PDF

20대 성인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변인으로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Social Anxiety of Young Adults in Twenties: Internalized Shame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s Mediators)

  • 김대희;김명식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7권1호
    • /
    • pp.51-71
    • /
    • 2021
  • 본 연구는 20대 성인이 지각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온라인으로 만 20대 성인 35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 내면화된 수치심, 정서표현 양가성과 사회불안 사이에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즉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자녀가 지각하는 사회불안에 정적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과정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정적 영향을 줄 때,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 모두 매개변인으로 기능하여 사회불안에 정적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이 결과는 국내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뿐 아니라 20대를 대상으로 한 외국의 선행연구와도 많은 부분이 일치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국내의 아동청소년 뿐만 아니라 20대 성인에게도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하여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적용 가능함이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것과, 그 사회불안 감소에 관한 심리학적 개입의 필요성과 그 실제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했다는 것이다. 향후 연구과제와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농촌거주 노인의 죽음불안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자아통합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Death Anxiety on Quality of Life in Rural Elderl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Integration-)

  • 남희수;진봉희;이정임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9권2호
    • /
    • pp.81-98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a sense of self-integr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xiety and death anxiety on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First, death anxiety among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and among the sub-elements of death anxiety, the anxiety of loss of existence and the anxiety of the death process were negative on the quality of lif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positive effect on the sense of self-integration, which is a parameter such as anxiety about loss of existence, anxiety about the death process, and anxiety about post-mortem outcome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sense of self-integration mediates between death anxiety and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by improving the sense of self-integration and reducing death anxiety.

사회공포증 환자에서 자기 및 타인 얼굴 인식의 행동 특성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Face Recognition for Self and Others in Patients with Social Phobia)

  • 손인정;윤형준;신유빈;김재진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7-43
    • /
    • 2014
  • Objective : Social Phobia is associated with extensive disability and reduced quality of life. The concept of 'social self' is a representation of the self-reflected in the eyes of others, and is recruited during self-face recognitio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self-esteem.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face recognition for self and others using measures of social anxiety and self-esteem in patients with social phobia. Methods : Twenty-seven patients with social phobia and twenty-three normal controls were evaluated with scales of self-esteem, depression, anxiety and other psychiatric symptoms.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self-face recognition task. Nine self-faces, nine other faces and eighty-one morphed faces were presented randomly for each trial. The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make a decision as to whether the stimuli were self-face or not. The responses and reaction times were recorded during the task. Results : There were no group differences of the morphing composition at the recognition start point as self-face. In patients with social phobia, the mean reaction time at the start point of recognizing as a self-face was 1,037.6 ms, which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of normal controls (911.3 ms, p<0.05). Patients with social phobia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ean reaction time and the severity of depression when the stimuli were recognized as a self-face (r=-0.421, p<0.05). Conclusion : A difficulty in attention rather than avoidance may be an important factor of face recognition in patients with social phobia. When considering self-face recognition in such patients, many factors, such as anxiety, depression, working memory and theory of mind, need to be considered.

호스피스환자 가족을 위한 지지적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Supportive Education Program for Hospice Patients's Family)

  • 이태연;권윤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5-183
    • /
    • 2014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examine effects of fatigue, anxiety,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spiritual well-being of supportive education program for hospice patients's family. Metho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quasi-experimental design, 70 study subjects were assign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n=35) and the control group (n=35). Measures were fatigue, state-anxiety,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spiritual well-being to test for the effects of supportive education program for hospice patients's family. Data analyzed using $x^2$ test, t-test with SPSS/WIN 19.0 version.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supportive education program for hospice patients's family had a significant changes of fatigue, state-anxiety,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spiritual well-being. Conclusion: The supportive education program for hospice patients's family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enhance social support and spiritual well-being and to decrease fatigue, anxiety and depression.

아동의 컴퓨터게임 몰두성향과 심리사회 및 행동적 특성에 관한 연구 (Computer Game Immersion and Children's Psychosocial/Behavioral Characteristics)

  • 송숙자;심희옥
    • 아동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27-41
    • /
    • 2003
  • Data for this study on computer game immersion were collected from 538 1st through 6th grade students with the use of questionnaires. Instruments included the computer immersion scale, and the self-concept, social avoidance and anxiety, aggression, and impulsiveness scales. Results showed that boys were more involved in computer games than girls, and 6th graders were more immersed than 1st through 5th graders. Self-concept, social anxiety, aggression, and impulsivity differed by degree of computer game immersion. Aggression was the most powerful explanation of computer game immersion. Children higher in impulsivity and social anxiety were more involved in computer games. Children higher in self-concept were less involved in computer games.

  • PDF

The Impact of Salesperson Look-Brand Personality Congruence on Brand Affect: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Anxiety

  • Lee, Heekyung;Yi, Youjae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20권3호
    • /
    • pp.17-38
    • /
    • 2018
  • Branded service encounters, in which various aspects of frontline employees are strategically aligned with the firm's brand positioning, can be achieved along several dimensions such as employee appearance, manner, and personality. While previous research has mainly focused on behavioral traits of employees, this research examines the employee's physical appearance in association with the brand personality trait across two studies. Study 1 shows that salesperson look-brand personality congruence enhances brand affect by inducing positive affect. Specifically, a brand-congruent look of a salesperson increases positive affect among customers by confirming their prior expectations about what a salesperson of a certain brand should look like as a brand representative. Study 2 reveals that the positive impact of salesperson look-brand personality congruence on brand affect is significant only for customers with high social anxiety whereas this effect disappears for those with low social anxiety. These findings extend previous research on branded service encounters by showing why and when frontline employees' physical appearance shapes customers' affective responses toward the brand.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과 이분법적 사고의 이중매개효과 (A Study on Effect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on Social Anxiety: Focused on serial mediated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dichotomous thinking)

  • 최호경;신경민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4권1호
    • /
    • pp.1-1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과 이분법적 사고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성인 남녀 252명 이었다.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 사회적 공포 척도,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 개정판 이분법적 사고 지표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과 이분법적 사고, 각각의 완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의 개인에게서 사회불안이 발생하고 유지되는데 있어 두 변인의 매개효과가 유의했다. 둘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과 이분법적 사고의 관련성이 검증되었다. 즉,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을 매개로 하여 이분법적 사고를 촉발시키고,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에서 비롯된 부정적인 인지적 편향을 이분법적 사고가 매개하여 사회불안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의 개인이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이 부족할 경우에 이분법적 사고에 취약할 수 있으며, 이분법적 사고는 사회불안을 심화시킬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 PDF

일 대학병원 외래 내원 사회공포증 환자에서 증상적 특성의 남녀차이 (Gender Differences in the Symptomatic Characteristics of Social Phobia Patients in One University Hospital)

  • 최홍민;김나현;임세원;오강섭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2-67
    • /
    • 2008
  • Objectives : Gender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ymptom presentation, and severity may influence the selection of target behaviors as well as the course and outcome of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social phob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symptoma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patients with social phobia. Methods : A total of 256 outpatients with social phobia at Kangbuk Samsung Hospital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evaluat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Plus. Potential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verity of anxiety, and situational fear and avoidance were examined.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interviewer-administered instruments, including the Social Phobia Scale (SPS), Social Phobia subscale of the Fear Questionnaire (FQ-social), Appraisal of Social Concerns (ASC), and Liebowitz Social Anxiety Scale (LSAS), were used to evaluate the severity of the patients' symptoms. Results :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ge, age at onset of social phobia, total SPS score, FQ-Social score, ASC score, and LSAS score. In addition,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severity of fear in specific social situations. However, women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total scores on the social helplessness category of the ASC than men (p=0.009). Conclusion : Previous studies reported that the severity of social phobia symptoms is greater in women than in men, but our results suggest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he severity of social phobia symptoms. Thus, gender differences among patients with social phobia a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traditional sex-role expectations.

  • PDF

우울, 죽음불안, 사회적 지지가 독거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Depression, Death Anxiety, and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ly Living Alon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 장연식;모선희
    • 한국노년학
    • /
    • 제37권3호
    • /
    • pp.527-54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의 부정적 정서인 우울, 죽음불안과 함께 사회적 지지가 독거노인들이 스스로 회복할 수 있는 탄력성의 매개경로를 통해서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경로의 영향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에 거주중인 65세 이상의 독거노인 98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후,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측정변수 간 차이에서 우울은 성별, 학력, 건강상태, 경제상태에서, 죽음불안은 성별과 학력에서, 사회적 지지는 성, 연령, 학력, 지역, 건강상태와 경제상태에서, 탄력성에서는 성, 연령, 학력, 건강상태, 경제상태에서, 심리적 안녕감은 성, 학력, 건강상태, 경제상태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독거노인의 우울과 죽음불안 및 사회적 지지 변수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경로와 영향력에서 우울은 부적으로, 사회적 지지는 정적으로 직접적인 경로의 영향력이 유의하게 미치고 있으며, 죽음불안은 직접적인 영향력이 유의하게 미치지 않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거노인의 우울과 죽음불안 및 사회적 지지 변수가 매개변수인 탄력성에 미치는 경로와 영향력에서 우울은 부적인 관계, 사회적 지지는 정적인 관계에서 직접적인 경로의 영향력이 유의하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독거노인의 매개변수인 탄력성은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미치고 있었다. 또한 탄력성의 매개기능을 통해서 부정적 요인을 감소시키고, 긍정적 요인은 증진시켜서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관계를 파악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독거노인을 위한 정서지원 정책을 마련하는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