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welfare for disabled people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초

장애인사회복지시설 영양교육 프로그램 운영 모델 구축을 위한 질적연구: 1대1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Qualitative Research to Build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peration Model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One-On-One In-Depth Interview)

  • 김진경;전민선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30권2호
    • /
    • pp.83-94
    • /
    • 2024
  • Nutrition education is essential for the health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is paper presents nutrition education topics and operational direction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living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ith 11 operators and workers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where people with disabilities reside. They were asked about the current status of nutrition education at the social welfare facil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here the interviewee works, major diseases of residents, topics of nutrition education needed, and preferred education methods to determine the type of nutrition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needed in the field. As a topic of nutrition education, dietary education for obesity prevention and management was most requested, and education on basic nutritional ingredients was also desired. It was mentioned that the educational level would be appropriate for children aged 6~9, and using materials that would attract interest was recommended. Activity-based face-to-face education was preferred for the operation of the program, and it was mentioned that education would be possible in a short period. In addition, it was mentioned that nutrition education is necessar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workers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Confirming the topic and operation direction of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required by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ill make it possible to contribute to providing nutrition education tailored to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뇌병변 장애자녀 어머니들의 사회복지제도 속에서 생존하기 : 수동적 행위자에서 능동적 행위자로 거듭나기 (Survival of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 Growing from Passive Actors to Active Actors)

  • 조유진;김수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7권1호
    • /
    • pp.93-121
    • /
    • 2016
  • 본 연구는 장애아 어머니들이 사회복지제도 속에서 적극적 행동주체로 성장해나가는 과정을 드러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의 사회복지연구들은 사회복지이용자들을 주어진 서비스를 수동적으로 수혜 받는 정책대상으로 묘사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현실에서 사회복지이용자들은 적극적 주체로서 사회복지제도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하며 전략적으로 제도를 변용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뇌병변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사례로, 사회복지제도 속에서 사회복지이용자들은 제도적 제약을 받으면서도 한편으로는 자신의 이익을 쟁취하는 역동적 행위자임을 드러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뇌병변 장애아동의 어머니 9명을 심층면접하고 이를 근거이론을 통해 분석했다. 본 논문에서는 뇌병변 장애아동의 어머니가 자녀와 함께 사회복지제도 속에서 점진적으로 성장해 가는 모습을 진입기, 각성기, 탐색기, 투쟁기, 체념기, 활용기의 6단계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는 제도-행위자 이론에 대한 경험적 논거를 제시하고, 정책적으로는 장애아동과 그 가족을 위한 사회복지제도와 정보환경의 보완책에 대해 논의할 기회를 마련하고자 했다.

자립생활 패러다임에 의한 장애인종합복지관의 건축계획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Disabled Rehabilitation Facilities with the Independent Living Paradigm)

  • 성기창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37-46
    • /
    • 2007
  • The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disabled people keeps going to grow with social changes that disabled people are dramatically increasing. This paper try to provide basic concept of the architectural planning for the disabled rehabilitation facilitie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has analyzed the behavior pattern of user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has introduced the problem of using space in the rehabilitation and welf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the architectural concept for resolve it. The architectural planning concept appears by barrier-free accessibility, safety for mobility and use, amenity integrated the spatial cognition and flexible structural system.

  • PDF

가정폭력 피해 장애인의 외부도움요청 영향 요인 (Factors on Help-seeking Behaviors among the Disabled Experiencing Domestic Violence)

  • 김재엽;이민경;박지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5호
    • /
    • pp.109-123
    • /
    • 2013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actors on help-seeking behaviors among the disabled experiencing lifelong domestic violence and suggest practical plans to address the problem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data of the "2010 Domestic Violence Survey of South Korea", the occurrence rate of lifelong physical violence is 12.1% and that of severe physical violence is 6.2% among 273 adults with disabilities. The rate of help-seeking among the disabled experiencing lifelong domestic violence is 26.3%, which means two-thirds of the disabled experiencing domestic violence do so for a long tim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experience of severe physical violence(p<.05), attitudes toward violence(p<.05), and awareness of domestic violence and related laws(p<.05) were found to have an impact on help-seeking behaviors among adults with disabilities experiencing domestic violence. However, an accepting attitude of disability and social connections of disabled were not found to have an impact on help-seeking behavior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raising awareness about domestic violence among the disabled, educating people with disabilities not to tolerate violence and informing them about the domestic violence-related legal system, and training service professionals (social workers, health professionals etc.) to screen the disabled for domestic violence and prevent them from becoming domestic violence victims.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변화양상과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 자본의 구성개념인 네트워크와 사회참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ongitudinal Change Pattern and the Predictor Factor of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cused on Social Capital including network and social participation)

  • 이계승
    • 사회복지연구
    • /
    • 제45권2호
    • /
    • pp.375-402
    • /
    • 2014
  • 이 연구는 장애와 그에 따른 부가적 실체(낙인, 편견, 차별,, 사회적 제약 등)들로 인해 낮은 삶의 만족도를 나타내는 장애인들의 삶의 만족도 변화양상을 종단적으로 살펴보고, 그에 대한 예측요인으로서 사회자본의 구성개념인 네트워크와 사회참여의 영향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차~5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해, 3206명을 대상으로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는 시간이 흐를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초기 높은 삶의 만족도를 나타낸 장애인의 경우 시간이 흐를수록 완만하게 감소하고, 낮은 삶의 만족도를 나타낸 장애인의 경우 가파르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네트워크와 사회참여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네트워크는 삶의 만족도 초기 값에 정적인 영향을, 변화율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회참여는 삶의 만족도 초기 값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변화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개입방안과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와 여가만족, 삶의 질과의 관계 (Correlates of the Participation of Leisure Activities, Leisur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Disabled People)

  • 남현주;이현지
    • 재활복지
    • /
    • 제21권1호
    • /
    • pp.121-140
    • /
    • 2017
  • 본 연구는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가 여가만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여가활동참여와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여가만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장애인복지관을 이용하는 장애인 192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체육관련활동, 여행관련활동, 사회참여활동이 장애인의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인의 삶의 질은 체육관련활동, 여행관련활동, 문화예술활동, 사회참여활동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적극적 여가활동 유형이 여가만족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또한, 장애인의 연령, 교육, 경제수준, 장애등급을 통제한 후, 여가활동참여가 여가만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여가활동참여는 여가만족과 삶의 질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되었으며,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와 삶의 질과의 관계에 여가만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바탕으로, 장애인의 여가활동과 여가만족과 관련된 삶의 질 증진을 위한 함의 및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노인과 장애인의 삶의 질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Between Senior Citizens and Disabled People)

  • 김형수;김용섭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3호
    • /
    • pp.355-37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집단과 장애인 집단의 삶의 질을 비교하여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노인 113명과 장애인 107명에게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사회적 지지, 사회활동참여, 일상생활능력, 자기효능감, 삶의 질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그 변수들 간의 실증적 인과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자료분석에는 SPSS 14.0과 AMOS 7.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 집단과 장애인 집단 모두에서 삶의 질과 상관이 높은 변수는 자기효능감과 사회활동참여이었으며, 자기효능감에서 상관이 높은 변수는 삶의 질과 사회활동참여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 집단과 장애인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사회활동참여와 일상생활능력이었다. 셋째, 노인 집단에서 사회적 지지, 사회활동참여, 일상생활능력이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삶의 질과 관련하여서는 모든 변수들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장애인 집단에서는 사회적 지지는 자기효능감에 또한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은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그 시사점을 논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발달장애인 커뮤니티 케어 실현방안 연구: 일본의 지역사회 실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alization of community care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Focusing on Japanese community practice)

  • 신경안;이은아;김도훈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88-96
    • /
    • 2020
  • 우리나라 발달장애인의 시설입소율은 다른 장애유형에 매우 높은 편이다. 따라서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삶을 지원하는 '커뮤니티 케어'는 다른 장애유형에 비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장애가족이 돌봄의 주체가 되어 부양부담을 호소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의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지원에 대한 기관방문과 인터뷰를 통해 실천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본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로의 전환은 그룹홈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민간은 그룹홈에서 중증장애인까지도 지역사회 생활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삿포르시청은 고령부모의 발달장애인 돌봄문제 해결을 위한 민간연계를 진행하고 있었다. 이에 우리나라의 정책적 제언으로 그룹홈 확대와 장애인 거주시설의 기능전환, 고령부모의 장애인 돌봄 문제 대처, 청장년 독거인의 실태조사로 예방적 서비스의 제공을 제언한다. 실천적 제언으로는 자립을 위한 일상생활 능력향상을 위한 그림 등의 교육교재 개발과 보급, 자립생활을 위한 직업훈련에서 충분한 인력과 시설 확충, 성인 발달장애인과 보호자를 위한 쉼터 운영이 필요할 것이다.

장애인의 이차장애 발생경험 및 대응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xperience and Response of Secondary Disabilities)

  • 전지혜;남지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51-159
    • /
    • 2020
  • 장애인구의 고령화나 일차장애의 특성 및 사회환경적인 장애억압과 스트레스로 인해 장애인의 이차적 건강상태는 더욱 취약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이차장애 경험이 어떠하며, 이차장애 발생시 어떻게 대응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총 13인의 이차장애를 가지고 있는 중증장애인을 초점집단면접하였으며,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들은 노화와 일차장애의 경험의 변주, 일차장애 관리문제와 생활사고, 장애와 건강에 대한 노동시장의 몰이해, 이차장애 위험에 대한 이해 및 예방부족 속에서 이차장애 발생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장애인은 몸과 일, 몸과 학업사이에서 양자택일을 하거나, 개인차원에서 이차장애 악화를 예방하고자 애쓰거나, 병원 출입을 계속해나가거나 건강을 최우선으로 하는 삶을 선택하는 등 삶의 조율을 끊임없이 해나가고 있었다. 이차장애를 경험하면서 장애인들은 생의 위협을 경험하고, 삶을 끝까지 견디고 싸워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기도 하였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다름을 인정하고, 이차장애를 겪어내야 하는 삶에 초연해지기도 하였으며, 사회제도적 지원을 요청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적 차원의 방안, 노동시장에서의 제도적 지원 방안, 사회복지 실천상의 지원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임상가를 위한 특집 3 - 장애인 구강관리법 (The Oral Care Methodes for the Disabled)

  • 이효설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9권12호
    • /
    • pp.749-757
    • /
    • 2011
  • In the welfare law for the disabled in Korea, the disabled is defined as "the persons sho have significant limitations of daily or social life due to physical or mental disabilities over a long period." The number of registered domestic disabled person in 2008 survey was approximately 2.1 million. 90% of the disabled was caused by the aposteriori illness or accidents. So, in this aging society, the number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ill increase even more. In general, people with physical and mental disabilities tend to have more oral diseases, but, are difficult to get treated. Therefore, a thorough oral care through individualized prevention is more important than ever. In this article, we review the oral care methods in dental office and home and in the hospital for the elderly and finally focus on a denture care method. According to this article, the dental professionals can be able to select and apply the oral care method in agreem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bilities. Particularly, it is important to prevent the aspiration pneumonia in the elderly in hospi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