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welfare facilities

검색결과 610건 처리시간 0.023초

이용시설 참여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프로그램 참여도, 자아존중감 및 우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Participating Social welfare Using Facilities: Focused on the Program's Participation, Self-esteem and Depression)

  • 정미영;심미영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539-1557
    • /
    • 2009
  • 본 연구는 이용시설 참여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의 삶의 질 요인을 분류하고, 노인특성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를 분석하고,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이용시설 프로그램 참여도 및 자아존중감, 우울의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이용시설 프로그램의 문제점과 향후 바람직한 프로그램의 대안을 제시하여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남지역에 위치한 노인이용시설 6곳을 이용하는 노인 269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노인의 삶의 질 요인을 분석한 결과 경제생활에 대한 삶의 질, 이웃에 대한 삶의 질, 건강에 대한 삶의 질, 배우자에 대한 삶의 질 등 4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삶의 질 척도에서 이웃에 대한 삶의 질이 가장 높았고, 건강에 대한 삶의 질, 경제생활에 대한 삶의 질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배우자에 대한 삶의 질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노인특성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경제생활에 대한 삶의 질은 노인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웃에 대한 삶의 질은 남성이 높았으며, 학력이 낮을수록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건강에 대한 삶의 질은 신체적 건강에서 건강한 편일 때 삶의 질이 높았다. 배우자에 대한 삶의 질은 남성이, 학력이 높을 때, 동거상태에서는 부부만 살 때, 결혼상태에서는 부부가 함께 살고 있을 때, 용돈수준이 높을 때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은 경제생활에 대한 삶의 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우울은 부적인 영향으로 나타내었다. 우울과 후생복지사업 프로그램 참여는 이웃에 대한 삶의 질에 부적인 영향을 나타난 반면 지역사회활동 프로그램 참여는 이웃에 대한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과 재활프로그램은 건강에 대한 삶의 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교양교육 프로그램은 배우자에 대한 삶의 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건강증진 프로그램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용시설 프로그램의 문제점과 향후 바람직한 프로그램의 대안을 제시하여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의미가 있다.

주거복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II - 수요자 측면의 주거복지체감지표와 지수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the Sentiment Indicators of Housing Welfare)

  • 지은영;은난순;홍형옥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85-92
    • /
    • 2008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sentiment indicators of housing welfare for evaluating housing welfare policies conducted by the Korean government. The methods of this research are used by analysis of related documents, FGI (Focus Group Interview), and survey. The survey was made by experts and consumers. To analyze the survey, this research also use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y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program, 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by Expert Choice program, frequency, average, percentages, Factor analysis etc.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selected housing welfare indicators are settled as follows: In the housing welfare aspect, 11 indicators in the department of 'Housing Satisfaction' and 11 indicators in the department of 'Community Satisfaction' (22 in total) are suggested. The indicators are 1) Water Supply and Distribution Equipment 2) Heating equipment 3) the size of the exclusive residential area 4) the number of rooms 5) Ventilation and Lighting 6) Sound Insulation (Indoor Noise) 7) Air Pollution/Odor 8) House Deposit 9) Rent Paid 10) Maintenance (Dwelling) Cost 11) The length of Occupation 12) Proximity to Welfare Facilities 13) Educational Environment 14) Convenience of Facilities (shops, hospitals etc.) 15)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and Commuting 16) Distance from Workplace 17) Landscape and Green Space (Tree, Flowers, Grass etc.) 18) Vandalism (Destruction Behavior, graffiti etc.) 19) Privacy 20) Noise in Public Places (Drinking, Loudly Talking etc.) 21) Safety from Crime 22) Safety from a Disaster. As of 2007, the housing welfare sentiment index is measured by the survey of 1,000 inhabitants in the public housing, which shows 3.51.

A Study on the Mediated Effect of Quality of Life for the Disabl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Residential Facilities and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in Families with Disabilities

  • JungHyun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36-44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disabled and their families. for proposing various future types of residential facilities required by parents of adults with disabilities.

발달장애인 커뮤니티 케어 실현방안 연구: 일본의 지역사회 실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alization of community care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Focusing on Japanese community practice)

  • 신경안;이은아;김도훈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88-96
    • /
    • 2020
  • 우리나라 발달장애인의 시설입소율은 다른 장애유형에 매우 높은 편이다. 따라서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삶을 지원하는 '커뮤니티 케어'는 다른 장애유형에 비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장애가족이 돌봄의 주체가 되어 부양부담을 호소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의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지원에 대한 기관방문과 인터뷰를 통해 실천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본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로의 전환은 그룹홈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민간은 그룹홈에서 중증장애인까지도 지역사회 생활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삿포르시청은 고령부모의 발달장애인 돌봄문제 해결을 위한 민간연계를 진행하고 있었다. 이에 우리나라의 정책적 제언으로 그룹홈 확대와 장애인 거주시설의 기능전환, 고령부모의 장애인 돌봄 문제 대처, 청장년 독거인의 실태조사로 예방적 서비스의 제공을 제언한다. 실천적 제언으로는 자립을 위한 일상생활 능력향상을 위한 그림 등의 교육교재 개발과 보급, 자립생활을 위한 직업훈련에서 충분한 인력과 시설 확충, 성인 발달장애인과 보호자를 위한 쉼터 운영이 필요할 것이다.

고령자를 배려한 생활복지공간계획에 관한 연구-광주광역시 고령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ace Planning of Lifestyle and Welfare for the Elderly - Focused on the Elderly in Gwangju City -)

  • 임만택;박경갑;김덕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1-10
    • /
    • 2002
  • As the elderly population increases, concerns for the elderly's welfare become greater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n order to give a chance for the elderly to live in familiar dwelling and regional context to which they are accustomed, and to participate in their society actively, it is of great importance that suitable living spaces must be provided for the elderly. The practical ways of providing people with good living environment and its easy maintenance for healthy and valuable lives were discussed in this paper.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propose pertinent policies related to social issues concerning the elderly. 137 seniors over 60 living in Gwanaju city were sampled and surveyed. The scope of planning for the elderly's lifestyle and welfare is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planning of space for the realization of stable and spacious dwellings and another is urban environment planning capable of supporting healthy and affluent lifestyles. Also, the realization of stable housing, the construction of urban structure for a healthy life, and the provision of barrier-free living conditions are investigated. For increasing the degree of stabilization and improvement for the elderly's life, self-governing bodies should grasp the demands of living condition and spatial requirements by taking the lifestyles of the elderly into account in urban or regional levels. Then, a master plan including development, improvement, execution, and maintenance of proper housing facilities and urban environments should be made for the best results.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cusing on Gardening Activities to Promote Psychological, Emotional and Social Health of the Elderly Living in a Homeless Living Facility for a Long Time: A Pilot Study

  • Kim, Yong Hyun;Lee, So-Hyeon;Park, Chul-Soo;Bae, Hwa-ok;Kim, Yun Jeong;Huh, Moo Ryong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65-576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The elderly living in homeless living facilities for a long time suffer from various mental health problems.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psychological, emotional, and social effects of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composed of gardening activities, which was designed based on the semantic structures of life for the homeless elderly living in the facilities for a long time. Methods: A total of 12 subjects (6 in the control group and 6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consisted mainly of gardening activities, and a total of 16 sessions were conducted once a week for 16 weeks, 60-90 minutes per session. The subjects were tested to evaluate their self-esteem, depression, and horticultural activiti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Mann-Whitney U test, Wilcoxon rank test, and Friedman test, which were nonparametric tests, conducted at a 95% significance level. Results: First, in the case of self-esteem,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groups, 20.00 points (SD = 5.69) in the control group, and 25.50 points (SD = 3.73) in the experimental group (p = .034). Second, in the case of depression,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osttest. Finally, in the case of the horticultural activity evaluation, the scores of most variables gradually and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program [Verbal interaction during activity (p = .006), Self-concept and identity (p = .006), Need-drive adaptation (p < .001), Interpersonal and social relations (p < .001)]. Conclusion: These results support that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could help the elderly improve psychological relaxation,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l relationships. In order to generalize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o increase the number of subjects or conduct additional repetitive experiments in further research.

부랑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인권민감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Employees in the Vagabond Facilities)

  • 정선영;공상길;임은경;천덕희;오영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1호
    • /
    • pp.263-289
    • /
    • 2010
  • 본 연구는 부랑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인권의식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인권민감성을 조사함으로써 그들의 인권의식을 살펴보고 부랑인복지시설 생활인의 인권의식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전국 38개 부랑인복지시설 종사자 390명의 인권민감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그 결과, 종사자들의 인권민감성은 총점 150점에 평균 64.55점으로 매우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종사자들의 학력별 인권민감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직책별 인권민감성에서 실질적인 운영자들의 인권에 대한 의식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부랑인복지시설 내에서의 인권교육 유무별에서는 인권교육을 받은 경우가 그렇지 못한 경우에 비해 유의하게 인권민감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랑인복지시설 내의 인권교육을 정규 커리큘럼으로 일괄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정례화 되어야 하고 종사자들의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인권침해상황과 관련된 사례나열식 인권교육 매뉴얼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PDF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인식 (Family Care-givers' Perceptions of Welfare Facility for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 조명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5-2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mily care-givers' perceptions of welfare facility for the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to analyze the related variables, and to provide the suggestions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well-being of family care-givers. The survey was done using questionnaires in 1999, and the subjects were 198 primary care-givers for senile dementia patients. Frequency distribution, mean, t-test, and one way ANOVA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family care-givers' perceptions of the welfare facility for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was relatively low. The variables associated were sex, education level, occupation and relationship with the demented elderly. The conclusion suggested from this study was that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services were necessary for both the demented elderly people themselves and their family care-givers.

  • PDF

노인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aregivers in Elderly Long-term Care Facilities on Service Quality)

  • 김지혜;심규순;유영희;이은아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155-16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하여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내 1,705개의 장기요양시설 중 단순무작위로 30개 요양시설을 표집하여 2020년 5월 한달 동안 요양보호사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443부가 회수되었고 유의한 415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WIN 21.0으로 빈도분석, 기술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활용해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무스트레스는 서비스 질과 조직몰입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몰입은 서비스 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몰입은 직무스트레스와 서비스 질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직몰입이 미치는 효과의 중요성과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장애인생활시설의 조직문화가 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n the Service Quality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Living Facilities for the Disabled)

  • 신현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1-142
    • /
    • 2011
  •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 서비스의 가장 핵심적인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장애인생활시설의 조직문화가 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수요자 중심의 조직문화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