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skills of the children

검색결과 256건 처리시간 0.028초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 사회성, 학급 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ality Therapy Group Program on Leadership Life Skills, Sociality, and Classroom Un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김세용;변상해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1호
    • /
    • pp.183-191
    • /
    • 2013
  • 본 연구는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 사회성, 학급 응집력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S지역의 K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에 참가를 희망하는 34명을 모집하여 실험집단 17명, 통제집단 17명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사전 검사 검증과 사후검사 검증에 대해서는 비모수적 통계인 Mann-Whitney U Test와 중다선형 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리더십 생활기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사회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셋째,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학급 응집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과 사회성, 학급 응집력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PDF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음악제작 앱 기반 상호적 음악만들기 사례 (A Music Technology-Based Interactive Music-Making for Improving th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윤솔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8권2호
    • /
    • pp.19-43
    • /
    • 2021
  • 본 연구는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을 대상으로 음악제작 앱 기반 상호적 음악만들기 활동을 적용하여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키는지 알아보기 위해 진행된 사례연구이다. 음악만들기 중재는 타인의 음악패턴을 모방하여 주고받는 음악적 모방 단계(1단계), 타인의 음악 패턴을 반영하는 음악적 표현과 조정 단계(2단계), 타인과 공동 음악만들기를 시도하는 음악적 상호작용의 확장 단계(3단계)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가 다양한 수준의 음악을 완성하고 조정하는 기회를 통해 대상자가 의견을 개시하고 조율하는 행동을 촉진하고자 물리적 악기가 아닌 음악제작 앱과 GarageBand를 활용했다. 연구대상자는 ASD로 진단받은 만 8세, 만 11세의 남아이고, 중재는 회기별 40분씩, 주 2회, 총 8회기 진행되었다. 음악적 상호작용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음악 활동 시 대상자의 의견 개시 및 조율 행동을 관찰하여 분석했고, 대상자의 부모에게 사전·사후 사회적 반응성 척도(SRS-2) 검사를 평정하도록 했다. 연구 결과, 중재에 참여한 대상자 모두 의견 개시 및 조율 행동과 음악적 상호작용 행동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사회적 반응성 척도 점수에서 전반적인 감소가 나타나 본 연구가 대상자의 사회적 의사소통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음악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상호적 음악만들기 활동이 ASD 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중재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지역아동센터 종사자가 인지한 전문적 능력이 사례관리자 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 가치의 조절효과 (Impact of Professional Competency on Case Management Performance for Local Children's Centers' Workers -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Work Values)

  • 박선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82-93
    • /
    • 2016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가 인지하는 전문적 능력이 사례관리자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것으로, 지역아동센터에서 사례관리자의 전문적 능력을 향상시키고, 사례관리자의 역할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과 경남에 위치하고 있는 지역아동센터 중에서 2년 이상 경력자 189명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례관리자의 전문기술과 능력이 사례관리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종사자의 전문지식이 사례관리자 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복지 가치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기술과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교육과, 전문적 능력 및 가치를 고려한 사례관리 매뉴얼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3, 4, 5세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생활영역별 발달경향 탐색 (A Study on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the Three, Four, and Five-Year-Old Children)

  • 최미숙
    • 아동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9-60
    • /
    • 2010
  •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and assess the development patterns of children, aged from 3 to 5, by means of a longitudinal approach. The children's developmental patter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five curriculum areas; physical health, social skills, expression, language, and exploration-. The developmental patterns are analyz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observation period, children's ages, and their genders. The subjects consisted of 108 children in A city. A research assistant was asked to observe and keep records of the children's behaviors at three distinct times -early, middle, and late in the school year. The 'observational scale for children' was used as the measurement tool. The data which was thus collected was then subject to statistical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five curriculum areas according to the children's age and observation period. That is, five-year-old children showed higher scores than three- and four-year-old children.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ocial development within five curriculum areas according to the children's gender and the observation period. That is, girls exhibited higher scores than boys.

자폐장애 아동을 위한 애착증진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Development of Attachment Promotion Therapy Program for the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 홍강의;주세진;임숙빈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7권2호
    • /
    • pp.79-90
    • /
    • 2006
  • Social deficits are the most critical and core deficits of the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ASD) and they are qual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t is proposed that the attachment between the mother and the autistic child should be promoted foremost and early as possible, to improve social deficits, just like early social developments in normal children depend largely on interactions between the mother and the child who are attached to each other we have developed an interventional program, 'Attachment Promotion Therapy', largely based on the attachment theory. The Attachment promotion Therapy mandates the participation of both the mother and the autistic child, and consists of mutually enjoying play activities, close physical contacts and parental training on intense mother-child interactions, focusing on improving maternal sensitivity, responsiveness, and nurturing behaviors during their interactions. The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attachment behaviors, attachment security and acquiring joint attention skills. Attachment Promotion Therapy is therefore proposed here as the important earliest intervention method for children with ASD and could become the base for many other educational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 PDF

실직가정 자녀의 적응유연성 증진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 : 멘터(mentor)와 멘티(mentee)에게 미친 상호적 발달 효과를 중심으로 (Effectiveness of Mentoring Program for Increasing Resilience of Children from Unemployed Families)

  • 박현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1권
    • /
    • pp.147-172
    • /
    • 2000
  • Although it has been noted that mentoring program is viewed as a effective way of intervention for the youth at-risk and vulnerable, few empirical studies have documented the benefits of mentoring program on youth. This research focused on effectiveness of campus-based mentoring program for children of unemployed families. It examined psychosocial benefits of mentoring program on mentor and mentee using the experimental design, posttest-only control group desig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control and intervention group. Children who have participated in mentoring program marked higher scores than control group in various psychosocial aspects including interpersonal skills, self-efficacy, sense of plan and motivation of schooling. Also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as mentors marked higher ego-strength score than not.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is study recommended campus-based mentoring program as a effective growth-oriented program for the university students as well as the children of unemployed families.

  • PDF

어린이도서관의 이용자편익과 이용자특성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Study on Mutual Relation Between the User Benefit and the User's Characteristics in the Children's Library)

  • 강미희;홍현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261-285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이용자편익기준의 이론적 타당성을 확인하고, 이용자편익기준과 어린이발달영역과의 상호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이용자편익기준이 어린이도서관의 이용자편익기준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이 연구는 전국 어린이도서관 이용자 24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발달-행동의 용이성, 정서발달-생리적 유지성, 인지발달-지각적 유지성, 사회성발달-사회적 용이성의 대응관계는 적합하였다. 둘째, 편의성, 안전성, 다양성은 행동의 용이성, 자존감, 쾌적성, 편안함은 생리적 유지성, 심미감, 역동성, 융통성은 지각적 유지성, 휴식성, 소통성, 영역성은 사회적 용이성의 측정지표로 타당하였다. 셋째, 신체발달을 선호할수록 행동의 용이성을, 정서발달을 선호할수록 생리적 유지성을, 인지발달을 선호할수록 지각적 유지성을, 사회성 발달을 선호할수록 사회적 용이성을 선호하였다.

그룹감각통합치료가 학령전기 지적장애 아동의 소근육 기능, 상호작용 및 놀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Group Therapy on Fine Motor, Social Interaction and Playfulness of Preschool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최지현;김희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5-34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지적장애아동에게 제공한 그룹감각통합치료가 소근육 기능, 상호작용 및 놀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지적장애 등록을 한 만3~5세 아동 4명을 대상으로 주 1회 90분씩, 총 12회기 실시하였다. 그룹감각통합치료는 평행놀이와 또래놀이 중심의 대근육 활동과 주제에 맞는 미술활동과 감각놀이로 구성하였다. 결과측정은 Erhardt Developmental Prehension Assessment(EDPA)와 또래놀이 상호작용 평점척도(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PIPPS), 놀이다움(The Test of Playfulness; ToP)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사전사후 소근육 기능과 상호작용, 놀이를 평가하였다. 측정 결과는 윌콕슨 순위 검정(Wilcoxon matched-pair signed rank test)을 사용하여 소근육 기능과 상호작용, 놀이의 중재 전후로 차이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그룹감각통합치료 후, 소근육 기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상호작용과 놀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결론 : 그룹감각통합치료는 상호작용과 놀이능력 향상에 유용한 치료적 접근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지속적인 그룹 활동을 통하여 일상생활에서의 다양한 상황에 대한 일반화가 진행되길 기대한다.

Effects of Student Perceptions of Social Skills on their Perception of Smoking

  • Bektas, Murat;Ozturk, Candan;Karatas, Hulya;Bektas, Ilknu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4호
    • /
    • pp.5937-5940
    • /
    • 2014
  •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descriptive-correlational exercise with the aim of determining the effect of student perceptions of social skills on their pro and con perceptions of smoking.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sample comprised 106 students at $6^{th}$, $7^{th}$ and $8^{th}$ grades in three primary school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ocio-demographic data collection form, Social Skill Perception Form and Child Decisional Balance Scale. Data were evaluated by percentage calculation, Student t 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While the point average of pro perception of smoking of the students with a high point average of social skill perception, was $8.6{\pm}3.1$, in those with a low social skill perception point average it was $10.7{\pm}4.2$, the difference being significant(p=0.012). The respective point averages of con perceptions were $26.8{\pm}3.7$ and $23.5{\pm}3.3$, again significant (p=0.000). While a positive medium level (r=0.410) relationship was determined between the point average of social skill perception and con perception of smoking, a negative low level (r=0.281) relationship was determined with the pro perception of smoking. Conclusions: As the social skill perception point average increases, children's con perceptions of smoking increase and their pro perceptions decrease.

청소년 자녀와 부모 관계향상 프로그램 모형 (The Model of Parent-Child Relationship Program for the Adolescents' Parents)

  • 윤명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5권1호
    • /
    • pp.71-82
    • /
    • 1997
  • This paper concerns with parent-child relationship program for the adolescents' parents(PCRP).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model for the strengt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as well as to prevent adolescent's individual and social problems The contents of PCRP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consist of our parts: understanding adolescent physic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understanding adolescent sexuality developing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and developing conflict solving skills. Implicationsh for the program evaluation methods and further development of family life education are discus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