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documentation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초

인구동태조사 개선을 위한 방법론적 고찰 (A Study on Vital Statistics Survey : its Type, Source of Errors and Improvement Scheme)

  • 김일현;최봉호
    • 한국인구학
    • /
    • 제12권1호
    • /
    • pp.19-29
    • /
    • 1989
  • It is well known that vital statistics is of great importance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various range of national policies. Especially, vital statistics is important among demographic information for monitoring and evaluating the population policy, for constructing life table, for making population projection, and for studying various aspects of the society. In principle, the production of vital statistics is based on the registration system. It is, however, still observed that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utilizing fully the registration system due to the inherent problems such as problems in its coverage, accuracies and timeliness. Thus, as an alternative, many countries conduct survey on vital statistics in order to supplement the registration system and obtain in-depth data. Korea is no exception in this aspect. The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carries out the so-called Continuous Demographic Survey. This is a kind of multi-round retrospective survey, covering 32, 000 households and having reference period of one month. The survey has also characteristics of multi-subject sample. Thus, surveys on economic activity status of population, house-hold income & expenditure, and social indicators are together conducted with the same sample. It is, however, found that the survey itself tends to have some quality problems. Especially, the quality problems connected with field data collection are summarized as coverage error, non-response error and response error. Although it is inevitable not to be free from these errors, we should make all our efforts to reduce the errors. The probable schemes pointed out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 1) the strengthening formal quality control activities, 2) the review of the survey method, i. e., the combining interview method with mail-sending and mail-back method or pick-up method, 3) well documentation for various cases found in every stage of data collection, and 4) the strengthening the analytical activities. It is, also, emphasized that sincerity of planners and interviewer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other things.

  • PDF

Estimation of Completeness of Cancer Registration for Patients Referred to Shiraz Selected Centers through a Two Source Capture Re-capture Method, 2009 Data

  • Sharifian, Roxana;SedaghatNia, Mohammad Hossein;Nematolahi, Mohtram;Zare, Najaf;Barzegari, Saee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3호
    • /
    • pp.5549-5556
    • /
    • 2015
  • Background: Cancer has important social consequences with cancer registration as the basis of moving towards prevention. The present study aimed to estimate the completeness of registration of the ten most common cancers in patients referred to selected hospitals in Shiraz, Iran by using capture-recapture method. Materials and Methods: This cross-sectional analytical study was performed in 2014 based on the data of 2009, on a total of 4,388 registered cancer patients. After cleaning data from two sources, using capture-recapture common findings were identified. Then, the percentage of the completeness of cancer registration was estimated using Chapman and Chao methods. Finally, the effects of demographic and treatment variables on the completeness of cancer registration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ntages of completeness of cancer registration in the selected hospitals of Shiraz were 58.6% and 58.4%, and influenced by different variables. The age group between 40-49 years old was the highest represented and for the age group under 20 years old was the lowest for cancer registration. Breast cancer had the highest registration level and after that, thyroid and lung cancers, while colorectal cancer had the lowest registration level.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number of cancers registered was very few and it seems that factors like inadequate knowledge of some doctors, imprecise diagnosis about the types of cancer, incorrectly filled out medical documents, and lack of sufficient accuracy in recording data on the computer cause errors and defects in cancer registration. This suggests a necessity to educate and teach doctors and other medical workers about the methods of documenting information related to cancer and also conduct additional measures to improve the cancer registration system.

상담영역 건강가정사의 직무 및 보수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역량연구 (Job and Competency of Healthy Family Supporter in Charge of Counselling Work for Training)

  • 이윤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58-368
    • /
    • 2011
  • 본 연구는 건강가정지원센터 상담사업 건강가정사의 직무연구를 통해 직무우선순위와 직무수행요건, 직무역량의 중요도와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고 핵심역량과 역량개발영역을 추출해내고자 수행되었다. 조사는 센터 내 상담사업분야에 종사하는 상근 및 비상근 건강가정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사업의 홍보 부분이 전략적 강화업무로 거론되었으며, 가족상담, 프로그램 기획, 사례회의, 슈퍼비젼등은 기본업무로 인식하고 있었다. 담당인력의 수행요건은 석사수준의 학력과 1-3년의 관련기관 근무경력, 가족상담사, 건강가정사, 사회복지사, 상담심리사 등의 자격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직무역량 중요도와 교육요구도를 토대로 핵심역량과 역량개발영역을 추출하였는데 이것으로 상담영역 건강가정사의 직무 및 보수교육 콘텐츠 개발이 가능하다.

산업유산 아카이빙을 위한 개인 생애서사 기반 수집 연구 (A Study on the Collection Based on Personal History for the Archiving of Industrial Heritage)

  • 류한조
    • 기록학연구
    • /
    • 제66호
    • /
    • pp.37-67
    • /
    • 2020
  • 최근 산업유산은 도시재생 바람을 타고 문화시설로 변형되며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관심은 주로 외관에 집중되어 있으며 설명 역시 거대서사로 축약된 경우가 많으며, 장소성은 충분히 전승되지 못하고 있다. 산업유산이 가진 장소성은 역사적 기억 뿐 아니라 개인의 기억을 포함하고 있다. 정체성의 근원이 될 수 있는 장소성이 보존되고 활용되기 위해서는 장소기억이 수집되어 관리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개인의 생애서사를 중심으로 장소기억을 수집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안동역과 청주연초제조창 수집사례를 이용하여 생애서사를 사건으로 분해하였으며, 이를 장소기억으로 재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산업유산 장소 아카이빙 실행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은 기존의 방법론을 보완할 수 있다는데 의미를 가진다.

『조선보건사』를 통해 살펴본 북한의 전통의학 인식 - 근대 이전 의학사를 중심으로 - (North Korea's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in Joseonbogeonsa[History of Public Health in Joseon Korea] - Focusing on Premodern Medical History -)

  • 辛相元;金鍾鉉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7-87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the 『Joseonbogeonsa』 by examining North Korea's perspective in its documentation of the history of medicine, and to further understand North Korea's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Methods : The focus of examination was on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description as shown in the first chapter of the 『Joseonbogeonsa』. Its unique features were made clear through comparison with historical texts of medicine of South Korea such as the 『History of Medicine in Korea』, and the 『History of Korean Medicine』. In order to grasp the current of historical research in North Korea, various Traditional Medicine related dictionaries and academic journals of North Korea along with the 『Joseontongsa』 were examined. Results & Conclusions : The historical views of the 『Joseonbogeonsa』 could be categorized as nation-focused, materialistic, and nationalistic. These are core elements that make up North Korea's self-reliance ideology, which influenced the interpretation of medical facts. While the text is valuable in that it introduced new historical material along with its interpretation, and argued for a more independent development of Traditional Medicine, its limitation of interpreting historical material from a conclusive, pre-determined standpoint cannot be overlooked. The North Korean 'Goryeo Medicine' is defined by its historical nature rather than academic characteristics, and its significance is determined by its clinical efficacy rather than theoretical value.

상권활성화에 있어서 상업자의 역할에 관한 연구 (The Roles of Shop Owners in Boosting Conventional Markets)

  • 박승제
    • 유통과학연구
    • /
    • 제9권4호
    • /
    • pp.93-102
    • /
    • 2011
  • 도시의 얼굴로서 발전하여온 중심시가지와 상점가는 빈점포의 증가, 공터의 증가, 유동인구의 감소 등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중심시가지가 쇠퇴의 일로에 있다. 상점가의 이용감소, 주거지의 교외화, 공공시설의 교외 이전, 집객시설의 이전 등으로 인하여 중심지는 더욱 쇠퇴해 지고 있다. 상업자는 상업의 본연의 기능으로서의 매매, 교환의 기능을 가짐은 물론 상업자의 외부성으로서 지역과의 커뮤니티성, 지역의 사회성을 지니고 있다. 상점가는 지역의 생활기반이면서 지역성을 결정짓는 지역의 얼굴이기도 하며 지역문화의 전승, 창조하는 공간이며 지역의 휴식과 지역 주민과의 정보 교류의 장으로서 공공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한편으로 지역에 진출하는 대형점이나 체인점들은 대부분 스크랩앤드빌드 및 균질화 매장으로 기능으로 지역에 대한 공헌성이 부족하나 도심 상점가는 지역의 공공적 요소로서 지역에 공헌하는 기능을 갖는다. 궁극의 소매상업자는 결국 상업 본연의 매매, 거래 기능을 가지면서 지역과 공존하여야 하는 사회성도 동시에 지니고 있는 특징을 가진다.

  • PDF

캐나다 거시평가 제도의 운영현황 연구 (A Study on Practice of Canadian Macro-Appraisal System)

  • 나영선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9-104
    • /
    • 2008
  • 캐나다 거시평가제도의 궁극적인 목표는 당대의 사회상을 기록을 통해 형성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기록물이 생산되는 그 시대의 사회구조 속에서 기록물이 갖게 되는 의미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렇게 사회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받는 조직체는 '정부'라는 유기체로 파악하고, 이를 문서화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기능분석을 강조한다. 따라서 거시평가 제도는 기능분석을 통해서 가장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서인 OPI를 식별하는 것이 핵심이다. 또한 국가와 시민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거버넌스 연구를 진행한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비로소 거시평가 가설이 형성되고, 기록을 통해서 이를 검증하는 단계가 거시평가의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현대 평가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거시평가 방법론에 주목하여, 캐나다에서 실제로 실행되고 있는 거시평가의 제도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캐나다 국립기록청에서 발행한 정부기록처분프로그램 관련 문건과 논문을 분석함으로서, 실제로 평가가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한국의 평가 제도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밝히고, 캐나다의 평가제도에서 벤치마킹할 수 있는 부분을 도출하였다.

고고학에서 영상의 필요성과 영상고고학 (The Necessity of Video Recording in Archaeology and the Visual Archaeology)

  • 최성락;조우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3호
    • /
    • pp.88-104
    • /
    • 2009
  • 영상매체의 변화는 사회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지난 20세기의 대표적인 영상이 사진이라면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21세기의 대표적인 영상은 동영상이다. 영상매체의 변화는 고고학 기록 수단의 변화를 가져왔다. 현장조사를 통해 물질적 자료를 획득하는 고고학의 특징으로 볼 때 신뢰성 있는 자료를 획득할 수 있는 동영상의 활용은 앞으로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고고학의 발굴과정은 하나의 콘텐츠로 볼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유적이나 유구의 입지적 환경, 불가피한 개발로 인한 경관 보존의 기록 수단으로서 혹은 인류의 기록 유산으로서 영상은 탁월한 효용성과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영상은 고고학이 지닌 사회적 학문적 기능을 충실히 하기 위한 대중고고학으로의 전환에 있어서 새로운 접근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한다면 고고학에서 시각자료의 기록과 보존을 위한 연구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대비가 있어야 할 것이다. 그 적극적인 대안으로 영상고고학을 제창한다. 영상고고학은 고고학의 관점에서 연구되어야 한다. 영상고고학의 연구 방향은 크게 두 가지로 압축할 수 있다. 첫째는 조사과정의 영상기록과 영상아카이브(기록관리)에 관한 연구이다. 둘째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인 미디어로서의 연구이다.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는 고고학 이론과 방법의 영역에서 심도 있게 다뤄져야 할 것이다.

과거사 집단기억과 '아카이브 정의' 진실화해위원회 아카이브의 동시대적 재구성 (Past Affairs-Related Collective Memories and the Archival Justice : The Contemporary Rebuilding of the Archive on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ttee)

  • 이경래
    • 기록학연구
    • /
    • 제46호
    • /
    • pp.5-44
    • /
    • 2015
  • 이 논문은 무엇보다도 '아카이브 정의'(archival justice)의 개념적 이론적 관점을 정립하고 국가 통치 폭력의 피해당사자들을 주축으로 한 진실화해위 아카이브의 체계적 재구성을 고민한다. 이는 국내 기록학계에서 집단 기억을 구현할 수 있는 기록관리 프레임의 부재가 진실화해위원회 아카이브라는 집단 기억의 장을 또다시 기존의 지배체제 중심적이고 공공 아카이브 등의 주류 시스템에 그대로 병합되는 영역으로 남겨두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한다. 다음으로 이 글은 기존의 집단기억 복원에 대한 제도적 정책적 접근법과 달리 인문학적인 이론 프레임을 접목함으로써 과거사 기록화의 이론적 지평을 확장하고자 한다. 이 두 가지 주요 목적을 위해서, 이 논문은 먼저 과거사위원회 아카이브 구축에 있어 피해당사자가 중심이 되는 아카이브 구축을 '아카이브 정의'로 보고, 이에 입각한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이론적 프레임을 '후기식민주의 아카이브'와 '공동체 아카이브'의 최근 이론적 논의들에서 추출해낸다. 이어서 이들 지적 자원에 기반하여 과거사위원회 아카이브의 현실 상황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자 한다. 즉 피해 당사자 중심의 동시대적 기록관리 모델링을 제안하고 있다.

공동체 아카이브를 위한 기록평가론의 재조명 (Revisiting Archical Appraisal Theories for their Application to Community Archives)

  • 설문원;김영
    • 기록학연구
    • /
    • 제48호
    • /
    • pp.210-252
    • /
    • 2016
  • 공동체 아카이브는 공동체가 생산하거나 수집한 기록이며, 축적된 기록은 공동체의 역사를 기억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자원이 된다. 이러한 기록 중 어떠한 기록을 남길지는 평가를 통해 결정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그 사회가 어떤 기억을 남길지를 정하는 정치적인 행위의 성격을 지니게 된다. 동일한 역사적 경험을 하였다고 해도 관점이나 입장에 따라 이에 대한 기억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공동체는 자신들의 기록이 자신들의 관점에서 남겨지기를 원한다. 이 연구는 기존의 기록평가론이 공동체 아카이브의 평가에 있어서 갖는 의미와 한계는 무엇인지 분석하고 공동체 아카이브를 위한 평가 방향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공동체가 자신들의 기록의 수집하고 보존하는 목적은 무엇인지, 공동체가 아카이브가 공동체는 물론 사회적으로는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제시하기 위하여 정체성, 기억투쟁, 가치의 개별성, 기억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공동체와 사회에서 공동체 아카이브의 의미 설정은 기록평가의 방향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다음에는 기록평가론의 흐름을 패러다임별로 살펴보았다. 기존의 기록평가론이 대부분 정부기록, 공식조직의 기록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접근법이 비공식조직 및 개인이 주로 생산하는 공동체 아카이브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 숙고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공동체 아카이브 평가론이 어떻게 전개되어야 하는지, 평가론의 흐름상 어떤 지점에 위치하게 될지를 생각해본다는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중 사회적 접근법을 응용하되 공동체 아카이브를 위한 새로운 평가모형을 평가의 목적과 대상, 원칙과 기준, 주체와 협력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평가의 목적을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는 두 개의 국면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다양성을 중심으로 원칙을 제시하였으며, 평가 주체와 관련하여 공동체와 주류 문화기관의 협력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는 '로컬리티 기록화'를 통해 축적된 다양한 소규모의 '공동체에 관한 아카이브'들을 '공동체 아카이브' 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기록관리 전문가집단과 공동체 구성원들이 어떻게 협력해야 할지를 모색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