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contacts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6초

저소득층 취업모 자기보호 아동의 사회적 능력, 또래관계 및 정서발달 (Social Competence, Peer Contacts, and Emotional Development in Children of Lower SES Employed Mothers)

  • 최경순;정현희
    • 아동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7-119
    • /
    • 1996
  • This study investigated social competence, peer contacts, and emotional development in children of lower SES employed mothers. Instruments were Choi's (1992) questionnaire on social competence, Pettit's (1988) questionnaire on peer contacts, and Kang's (1986) and Kim's (1993) questionnaires on emotional development.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Social class differences were found in children's social capability, leadership and anxiety, in peer contacts, and in emotional disturbance and aggression.

  • PDF

Prospective Diary Survey of Preschool Children's Social Contact Patterns: A Pilot Study

  • Oh, Hyang Soon;Ryu, Mikyung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6권4호
    • /
    • pp.393-401
    • /
    • 2020
  • Purpose: This pilot study aimed to describe children's social contact patterns and to analyze factors related to their social contac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0 children aged ≥13 months to <7 years, whose teachers at childcare centers and parents at home were asked to maintain diaries of their social contacts prospectively for 24 hours.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30, 2018, to January 7, 2019. Results: The 30 participating children were in contact with 363 persons in a 24-hours period (mean, 12.1±9.1). The number of contacts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day of the week (p<.001), number of family members/cohabitants (p=.015), area of residence (p=.003), and type of housing (p=.002). A multiple regression model showed significantly higher numbers of contacts on weekdays (B=10.64, p=.010). Physical versus non-physical types of contac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duration, location, and frequency (p<.001). The duration of contacts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ir location and frequency (p<.001), while the frequency of contact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location (p<.001). Conclusion: This is the first survey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reschool children's social contacts. Further large-scale social contact studies of children should be conducted.

사회복지 시설 여자 노인의 영양 건강상태 -II. 사회적, 심리적, 신체적 건강상태-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Female Elderly Residents in Nursing Home -II. Social,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Status-)

  • 송용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8권11호
    • /
    • pp.1117-1128
    • /
    • 1995
  •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were related to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Food habits, social contacts and psychological the test score were collected from 86 institutionalized elderly women aged 65-96 in Chon-buk area. Social health status was measured by score of social contacts with others. Depression, self-esteem and locus of control were measured to evaluate psychological health status by using Zung DSI(Depression Status Intentory), Rosenberg SES(Self-esteem scale) and Rotter's vs external control, respectively. Social contacts of the total subjects were lowered, and in the group of over 85, contacts with relativ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 to under 85 years of age groups. Psychological health status such as depression and self-esteem were also lowered, but locus of control showed internal control that indicates positive attitude to eating behavior. Most of the nutrients intake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self-esteem scores(p<0.05), but not to nutritional risk index score. Intake of vitamin C was related to social health status as well as psychological health status. Increasing the number of contact with relatives, intakes of carbohydrates, fiber, vit B1, vit C, Ca and P were elevated(p<0.05). As the score of self-esteem increased, intakes of fiber, Fe, vit B1, niacin, vit C, and vit A were increased. It is suggested that social activity and health education programs will be needed to improve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 PDF

Development of a Social Contact Survey Instrument Relevant to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 and Its Application in a Pilot Study Among Korean Adults

  • Oh, Hyang Soon;Yang, Youngran;Ryu, Mikyun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3권2호
    • /
    • pp.106-116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valid social contact survey instrument and to verify its feasibility for use among Korean adults. Methods: The Delphi technique was used to develop an instrument to assess social contacts, which was then applied in a cross-sectional pilot study. A panel of 15 medical professionals reviewed the feasibility and validity of each item. The minimum content validity ratio was 0.49. Thirty participants used the developed measure to record contacts during a 24-hour period. Results: After a systematic review, the survey instrument (parts I and II) was developed. Part I assessed social contact patterns over a 24-hour period, and part II assessed perceptions of contacts in daily life and preventive behaviors (hand hygiene and coughing etiquette). High validity and feasibility were found. In the pilot study, the 30 participants had a combined total of 198 contacts (mean, 6.6 daily contacts per person). The participants' age (p=0.012), occupation (p<0.001), household size (p<0.001), education (p<0.001), personal income (p=0.003), and household income (p<0.001)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contacts. Contacts at home, of long duration, and of daily frequency were relatively likely to be physical. Assortative mixing was observed between individuals in their 20s and 50s. Contact type differed by location, duration, and frequency (p<0.001). Conclusions: The developed social contact survey instrument demonstrated high validity and feasibility, suggesting that it is viable for implementation.

Social Contact Patterns Associated With Tuberculosis: A Case-control Study in Southwest Iran

  • Amoori, Neda;Cheraghian, Bahman;Amini, Payam;Alavi, Seyed Mohammad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5권5호
    • /
    • pp.485-491
    • /
    • 2022
  • Objectives: Tuberculosis (TB) is a major public health concern worldwide. Social contact patterns can affect the epidemiology and risk of airborne diseases such as TB.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social contact patterns associated with TB. Methods: In this case-control study, groups of participants with and without TB were matched by age and sex. Participants reported the nature, location, frequency, and average duration of social contacts over 1 month. The duration and number of social and spatial contacts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using the chi-square test and the t-test. Odds ratios (ORs) with 95% confidence intervals (CIs) were used to qua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ntact time and TB status.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a version 11 statistical software. A p-value of <0.05 was considered to indicate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In this study, 80 patients with TB and 172 control participants were included, and a total of 3545 social contacts were registered. Social contact with family members (OR, 1.72; 95% CI, 1.10 to 2.40), contact with a person with TB (OR, 1.53; 95% CI, 1.16 to 2.01), and contact at the participant's home (OR, 1.42; 95% CI, 1.19 to 1.82)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B status. Conclusions: The duration of long-term social contact, rather than the number of contacts, may be the main contact-related factor associated with TB transmission in this population. The focus of contact-tracing efforts should be on finding and treating both family members and long-term contacts in non-household settings.

감염병의 사람 간 전파의 주요 수단인 사회적 접촉 연구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Systemic Review of Social Contacts of Person to Person Spread of Infections)

  • 오향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85-93
    • /
    • 2020
  • 현대 의학의 눈부신 발전에도 불구하고 감염병의 유행 발생과 전파는 지속적으로 인류를 위협하고 있으며, 이러한 감염병의 사람 간 전파는 사회적 접촉에 의한다. 그러나 사회적 접촉에 관한 국내 연구는 초기 단계다.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서 각국의 사회적 접촉의 실태를 파악하여 국내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문헌 선정기준은 2000년 이후부터 2017년 12월까지 영어로 발표된 전국적인 규모의 사회적 접촉 논문 12편을 최종선정하였다. 후향적 접촉일지(7건, 58.3%), 무작위 추출법(9건, 75%)을 연구방법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었으며, 접촉자 수는 4.9명-17.7명/일, 주중에 주말보다 더 많았으며, 매일 만나는 관계에 있는 사람과 주로 접촉하였고, 신체적 접촉은 가정 내에서 빈번하였다. 접촉 빈도가 가장 높은 연령은 5-19세로 감염병 유행 발생 시에는 이 연령층에 의한 감염전파가 우려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동질성혼합(assortative mixing)은 5-20세 군에서 높아 이 연령층은 동일한 연령대와의 접촉으로 인한 감염전파 가능성이 큼을 시사하므로 이 연령층에 대한 감염 예방대책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러므로 국내에서도 새로운 감염병 또는 재유행 감염병의 발생이나 관리의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 국내 기반의 사회적 접촉양상을 파악하여, 이를 기초로 국내 감염병 유행 발생의 예측과 감염 예방대책 수립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학생의 다문화 접촉경험과 다문화 역량의 관계: 조망수용과 편견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s and Multicultural Competency: Mediating Effects of Perspective Taking and Prejudice)

  • 최가희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9권3호
    • /
    • pp.341-359
    • /
    • 2023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다문화 접촉경험이 다문화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조망수용과 편견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다문화 접촉은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였고, 접촉의 양과 질 각각이 조망수용과 편견을 통해 대학생의 다문화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총 642명의 대학생이 접촉, 일상의 다문화 역량, 조망수용, 편견 등을 포함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분석 결과, 접촉의 양과 질 모두가 다문화 역량에 유의미하게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접촉의 질적인 측면이 양적인 측면에 비해 다문화 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망수용과 편견은 접촉의 질과 다문화 역량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접촉의 양과 다문화 역량의 관계는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집단과의 교류가 친밀하고 긍정적일 때 조망수용 증진과 편견 감소를 통하여 다문화 역량 함양이 이루어짐을 보여 주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대학생의 다문화 역량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은 교류의 질적인 측면에 집중하여 조망수용 증진과 편견 감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

매체를 통한 노인접촉경험이 연령주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규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How Indirect Contacts of Older Adults through Media Influence Ageism: Investigating the Mediating Role of Attitudes toward Older Adults and Social Norm)

  • 안순태;이선영;정순둘
    • 한국노년학
    • /
    • 제37권3호
    • /
    • pp.763-781
    • /
    • 2017
  • 본 연구는 성인들이 대중매체를 통해 노인에 대한 프로그램에 노출되는 정도와 이러한 노출로 인해 전달받은 노인에 대한 이미지를 살펴봄으로써 노인에 대한 간접적 접촉과 연령주의 행동의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더불어 노인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규범이 매체를 통한 간접적 접촉과 노인에 대한 회피와 차별과 같은 연령주의 행동의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지도 살펴보았다. 온라인 설문을 통해 만 18세 이상 65세 미만의 일반인 25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매체를 통한 노인접촉 빈도가 낮을수록 부정적 태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체를 통한 노인이미지가 부정적일수록 노인에 대해 더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체를 통한 노인접촉 정도가 낮을수록 부정적 규범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체를 통한 노인이미지가 부정적일수록 노인에 대한 부정적 규범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노인에 대한 회피행위에만 영향을 미치는 반면, 노인에 대한 부정적 규범은 노인에 대한 회피뿐 아니라, 노인에 대한 차별행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정적 태도의 매개효과는 매체를 통한 노인 접촉이 노인에 대한 회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만 유의미했으나, 부정적 규범의 매개효과는 노인에 대한 간접적 접촉에서 연령주의 행동의도로 이어지는 모든 경로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에 대한 함의와 논의점이 본문에 제시되었다.

포괄적 이동성 모델을 적용한 노인운전자의 운전중단 예측요인 연구 (Predictors of Driving Cessation among Older Adults in Korea-Using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Mobility-)

  • 이성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41-358
    • /
    • 2015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redictors of driving cessation among Korean elderly. Data from 2011 Elderly Survey conducted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were used for the analysis. Based on Webber, Porter, Menec(2010)'s comprehensive theoretical framework for mobility, the model of this study tests five major determinants of driving cessation including financial, psychosocial, environmental, physical and cognitive factors.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economic status, marital status, contacts with relatives and friends, residential location, taking medication, muscle strength, age, gender, and job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driving cessation of older drivers. Specifically, lower economic status, unmarried status, less contacts with relatives and friends, living in the city, taking medication, weaker muscle strength, older age, female, non-working status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driving cessation. Practical implications in light of study findings were discussed.

한국인 대학생의 외국인 유학생과의 접촉이 다문화 역량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도와 현실갈등인식의 매개효과 (Effects of Korean College Students' Contacts with International Students on Multicultural Competencies: Mediating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and Realistic Conflict Perception)

  • 최가희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5권4호
    • /
    • pp.279-303
    • /
    • 2019
  •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과의 접촉이 한국인 대학생의 다문화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삶의 만족도와 현실갈등인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국인 대학생의 외국인 유학생과의 접촉은 접촉의 수, 접촉의 빈도, 접촉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의 출신 지역 다양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한국인 대학생의 다문화 역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일상의 다문화 역량 척도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총 384명의 대학생이 접촉, 일상의 다문화 역량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 현실갈등인식 등을 포함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접촉 수는 문화적 자기효능감과 문화적 지식에, 접촉 다양성은 문화적 개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삶의 만족도는 문화적 공감을 제외한 다문화 역량의 세 개 하위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실갈등인식은 다문화 역량의 문화적 지식을 제외한 다문화 역량의 세 개 하위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와 현실갈등인식을 각각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여 접촉과 다문화 역량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삶의 만족도만이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점점 그 구성원이 다양화되고 있는 대학 문화 내에서 한국인 대학생의 다문화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