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2 seconds

IT프로젝트 관리자의 리더십 역량 : 팀 내 사회적 자본 관점에서 (Leadership Competencies of IT Project Managers : from Team Social Capital Perspective)

  • 이혜정;박준기;이정우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33-147
    • /
    • 2011
  • This study explores the applicability of social capital theory in IT project management. Specifically, an empirical model is developed using different types of leadership competencies (emotional, cognitive, and social) as independent constructs impacting IT project performance. Social capital shared among team members are measured and placed as a mediating construct between leadership competencies and performance. Using PLS analysis of 120 data points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IT project participants in two large electronic manufacturers,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f leadership competencies are explicated. Research results reveal that emotional leadership competency seems to directly influence the project performance but not through team social capital, while social leadership competency seems to indirectly influence the project performance through team social capital but not directly onto the project performance. Cognitive leadership competency is the only leadership competency that maintains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project performance. Total effect of cognitive competency on project performance is almost two times larger than the total effect of emotional leadership competency and six times larger than the total effect of social leadership competency. Implications of findings are discussed at the end, and further studies are suggested.

초등학생들의 사회·정서적 능력 함양을 위한 이론적 토대 연구 (A theoretical foundation study for the promotion of a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of children)

  • 이인재
    • 한국철학논집
    • /
    • 제25호
    • /
    • pp.7-40
    • /
    • 2009
  • 이 논문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사회 정서적 능력 함양을 위한 인성교육의 통합적 방안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세우는 것에 있다. 본 연구는 초등교육의 핵심 목표 중의 하나인 초등학생들의 "바르고 선한 인성(character)"을 어떻게 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함양할 것인가?의 물음에 답하기 위해, 사회 정서적 학습(the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이하 SEL로 약칭) 이론에 근거하여 그 해답의 실마리를 찾고, 인성교육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궁극적으로 초등학생들의 사회 정서적 능력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초등현장에 적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본 논문에서는 정서 지능이 무엇이며, 정서 지능과 관련된 여러 이론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해 보았다. 왜냐하면 본 연구가 기반으로 삼고 있는 사회 정서적 학습은 바로 정서 지능에 대한 핵심 아이디어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이어 개인의 일상생활에서 비롯되는 사회적이고 정서적인 현상을 이해하고 조직하며 표현하는 능력으로서 사회 정서적 능력의 주요 구성 요소인 자기인식, 자기관리, 사회적 인식, 대인관계 기술, 책임있는 의사결정에 대해 살펴보았고, 미국에서 SEL 프로그램이 구체적으로 어떤 효과를 가져왔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다음으로 사회 정서적 학습과 정서 능력 혹은 정서 지능은 어떤 관계에 있는지, SEL과 인성교육은 어떤 관계있는지를 살펴보았으며, 특히 SEL 프로그램의 활용에 있어 인성교육이 주는 시사점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SEL 프로그램을 우리의 초등학생을 위한 통합적 인성교육의 프로그램에 적용할 때 유의해야 할 일반적 원리에 대해 살펴보았다.

가정과 교육과정에 담긴 사회정서학습 요소 및 시사점 (Elements and Implications of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in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 조현섭;최새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5-34
    • /
    • 2023
  • 본 연구는 청소년기 학생들이 자신을 이해하고 타인과 건강한 관계를 맺으며 건강한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이론적 관점으로서 사회정서학습(SEL)에 주목하여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드러난 사회정서학습의 의미와 핵심역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정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교과 역량,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성취기준에 사회정서학습의 핵심역량이 모두 포함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한 시사점은 첫째, 학교 현장에서 따로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을 도입하지 않아도 가정과수업의 명시적 교육을 통해 사회정서학습 핵심역량이 충분히 함양될 수 있다. 둘째, 가정과교육은 실천을 강조하는 교과이기 때문에 사회정서학습의 역량들을 학교 밖에서의 실제적 삶과 연계하여 적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정서학습의 최종목표인 부모와 가정과의 연계를 중시하고 건강하고 안전하며 정의로운 커뮤니티 형성은 가정과교육의 목표와 유사성이 높으므로 가정과교육을 통해 사회정서학습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다.

초등학생의 사회인식 및 대인관계 능력 함양을 위한 도덕교육의 통합적인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ntegrative ways of moral education for the building of children's social awareness and relationship skills)

  • 이인재;지준호
    • 한국철학논집
    • /
    • 제29호
    • /
    • pp.375-396
    • /
    • 2010
  • 본 연구는 사회·정서적 학습 이론(the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EL)에 근거를 두고 초등 도덕교육의 목표인 초등학생들의 "바르고 선한 인성(character)"을 어떻게 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함양할 것인가? 의 물음에 답하기 위해, 사회·정서적 능력 중에서도 특히 사회적 인식(social awareness) 및 대인 관계 기술(relationship skill) 함양에 초점을 두고 탐구하였다. 본 연구가 SEL에 토대를 두고자 하는 이유는 초등학생들의 도덕성 발달이란 도덕적 지식(앎)의 발달만으로 가능하지 않고, 도덕적 지식을 행동으로 옮기는데 있어 중요한 가교의 역할(예를 들면, 자동차가 움직이기 위해 연료가 필수적이듯이 일종의 도덕적 에너지의 역할)을 하고 있는 사회·정서적 능력의 발달이 병행될 때 가능한 바, 그동안 우리나라 도덕교육에서는 이러한 사회·정서적 능력 혹은 도덕적 감정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하면서도 이를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교육할 것인가에 대해 구체적인 실천 방안 마련이 미흡하였기 때문이다. 초등학생들의 사회 인식 및 대인 관계 능력 함양의 모색은 도덕과 수업을 통한 방안과 도덕과 수업 이외의 활동을 통한 방안을 중심으로 구안하였다.

J 대학교 재학생의 학습역량 실태조사 (A study on the actual state of learning competences in students at a college)

  • 송경희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21-3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arning competencies of students at a college from September 1 to November 30, 2017,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how to foster learning competencies in college years, which lay the foundation for work and social lives. 1. The learning competencies of the subjects consisted of academic vision, student identity, cognitive regulation, emotional regulation, learning management and creating learning environments. Out of five points, they scored the highest in academic vision and student identity with 3.34, followed by learning management with 3.20, creating learning environments with 3.18, emotional regulation with 3.16 and cognitive regulation with 3.14.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vision according to age, the area of major, the academic credential of their fathers, commuting time, military service experience and career plans.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ent identity and cognitive regulation according to gender, age, the area of major, the academic credential of their fathers, commuting time, military service experience and career plans. 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regulation according to age, the area of major, the academic credential of their fathers, commuting time, career plans and daily mean study hours. 5.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management according to gender, age, the area of major, grade point average, the academic credential of their fathers, career plans and daily mean study hours. 6.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eating learning environments according to gender, age, the area of major, the academic credential of fathers, commuting time, career plans and daily mean study hours. As they were poorest at the cognitive regulation area among the areas of learning competencies,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s that deal with how to study, learning process, how to take notes and arrange them, how to link different pieces of acquired knowledge and how to map out study plans should be developed to give support to students.

Impacts of Emotional Capacity of Managers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havior in Enterprises: A Case Study in Vietnam

  • TRAN, Quang Bach;NGUYEN, Thai Du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10호
    • /
    • pp.201-214
    • /
    • 2022
  •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tyles are seen as key to inspiring employees to embrace change, as well as to build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autonomy at work.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managers' emotional capacity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havior in enterprises in Vietnam. Using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linear structure model (SEM), with survey data of 632 samples who are managers of different levels in the enterpris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emotional capacity of managers has both a direct and indirect impact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havior through the intermediary factors of knowledge sharing at work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for employees. Based on that, the study proposes a number of recommendations to promot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havior in enterpris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demonstrated the importance and impact of managers' emotional capabilities across multiple dimension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havior. These are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 that provide managers with greater insight into their emotional capabilities and the need fo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haviors. At the same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also be an important foundation for further research.

미래 역량 분석을 통한 초등 정보교과 구성 방향성 탐색 (A Study on the Elementary Informatics Curriculum Design Through Future Competency Analysis)

  • 최은선;박남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249-264
    • /
    • 2021
  • 세계 각국은 급변하는 시대의 발전 및 개혁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미래에 필요한 핵심역량을 기준으로 정보교과과정을 설계하고 시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핵심역량을 비교 분석하여 초등 정보교육 핵심역량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으며, 초등 정보교과 구성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각 국가 및 기관에서 제시한 역량 중 사회적-감정적 역량, 의사소통, 창의력, 책임감, 문화와 윤리, 문제 해결 능력, 협력, 추상 역량이 중첩되었으며, 국내 중·고등학교 정보 교과에서는 컴퓨팅 사고력과 정보기술 활용 능력을 중시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향후 초등 정보교과에서 제안된 핵심역량 프레임워크를 교과 구성에 반영하며, 사회적 책임감을 강화하고 융복합적 소양을 함양하여 문제해결력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편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을 통하여 2022년 개정 교육과정에 핵심역량을 반영한 초등 정보교과 편성의 필요성이 확대되기를 바란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 석윤희;변진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349-362
    • /
    • 2024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사회정서역량과 전공만족도,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23년 12월 5일부터 2024년 1월 3일까지 S시, C도와 K도에 위치한 대학의 간호대학생(2~4학년) 197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사후분석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사회정서역량과 전공만족도, 진로준비행동은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년, 진로 프로그램 참여, 사회정서역량과 전공만족도가 있었으며,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0.3%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년별 사회정서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며,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과 핵심역량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lege Adaptation and Core competencies of Students in Post Corona Era)

  • 이경아;손희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39-254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 이전과 이후,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과 핵심역량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호남권 등의 대학생 171명이다. 언택트 설문조사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 기술통계, 빈도분석, T-test,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코로나 이전에는 '정서적 적응'의 어려움이, 코로나 이후에는 '학업적응'의 어려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의 핵심역량은 '대인관계역량', '문제해결역량', '정보통신역량'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핵심역량요소와 대학생활 적응간의 연관성 분석결과, 코로나 이전, 이후 모두 사회적 적응의 어려움이 나타났다. 코로나 이후에는 학업적응의 어려움과 새로운 기술습득에 대한 어려움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는 비대면 상황에서의 대인관계역량 강화, 학업적응 촉진을 위한 정보통신역량 강화, 그리고 새로운 기술습득역량 강화 등을 위한 대학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사회정서학습 기반의 학교 밖 STEAM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Out-of-school STEAM Programs Based on Social-Emotional Learning)

  • 이현주;이수영;정재은;이새별;최은혜;곽이랑;김영화;장혜원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4호
    • /
    • pp.740-753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 소외계층 저학년을 위한 사회정서학습기반의 학교밖 STEAM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정서학습(Social Emotional Learning, SEL) 기반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에는 전통적인 STEAM 학습요소와 SEL 요소를 통합하여, 마음 챙김 명상-상황제시-창의적 설계-감성적 체험-성찰과 같은 일관된 구성 체계로 설계하였다. 둘째, 초등학생들이 일상생활 속 문제상황에서 수학적 사고와 과학적 탐구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셋째, 각 STEAM 프로그램별 세부 주제를 스토리텔링 문제 상황과 놀이 및 교감 중심 활동으로 구성하여 교육 소외계층 아동들의 학습 요구를 반영하였다.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총 33차시의 5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전국 16개 지역아동센터의 16명의 교사와 354명의 초등 저학년 학생에게 시범 적용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TEAM 프로그램에 대한 전체 학생의 만족도는 4.16이었으며, 학생 성별에 따른 STEAM 만족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전체 학생의 STEAM 태도의 하위 영역 중 흥미와 자아효능감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학생 성별에 따른 STEAM 태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셋째, 전체 학생의 전체 사회정서학습 역량의 향상이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관계 기술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학생 성별에 따른 사회정서학습 역량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소외계층을 위한 학교 밖 STEAM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논의와 함께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