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TV

검색결과 450건 처리시간 0.03초

무선 USB 기술을 활용한 무선웹캠 구현 및 적용방법 (Wireless Webcam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Utilizing Wireless USB Technology)

  • 채정식;반태학;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69-575
    • /
    • 2014
  • 최근 들어 스마트 TV나 안드로이드 셋톱박스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기존 컴퓨터에서 구동되던 Skype등 인터넷 전화를 스마트TV나 셋톱박스를 통해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한 다양한 화상 교육 프로그램이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웹캠을 활용하게 되면, 사용자는 스마트TV나 셋톱박스 앞으로 이동하여 사용 해야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환경 변화에 따른 기존 웹캠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기술은 기존 컴퓨터 앞이 아닌 거실처럼 사용자와 TV간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경우 사용이 가능한 무선 웹캠 구현에 관한 기술이다. 실험결과 다소 거리의 문제에 대한 단점은 존재하였으나, 거실과 같은 근거리 사용상에서는 높은 신뢰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fluence on the Use Intention of User's Traits in China Market

  • Lee, Jong-Ho;Wu, Runze;Fan, Linlin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7권2호
    • /
    • pp.21-29
    • /
    • 2017
  • Purpose -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smartphone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mart TV programs are filled with various contents and applications. This study included additional individual variables like innovativeness and self-efficacy, and characteristics of smart TV are both user-interface and function as exogenous factors based on TAM model. So, this study focuses on identifying the influencing factors of continuous use intention of smart TV traits and user ones and analyzing how they make influences on them in China marke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otally 182 samples were adopted as appropriate ones for analysis in this study. They were collected from 20 February 2016 to 10 March 2016. Results -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unction has positive influence on perceived usefulness. Second, innovation and user-interface make affirmative influences on perceived easiness. Third, perceived easiness has affirmative influence on perceived usefulness. Fourth, the perceived easiness and perceived usefulness make positive ones on continuous use intention. Fifth, perceived ease of use affects significantly on perceived usefulness.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y (smart TV traits and user traits), influencing on continuous use intention, are possible to give significant implications on persistent development in China smart TV market.

Community Model for Smart TV over the Top Services

  • Pandey, Suman;Won, Young Joon;Choi, Mi-Jung;Gil, Joon-Mi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2권4호
    • /
    • pp.577-590
    • /
    • 2016
  • We studied the current state-of-the-art of Smart TV, the challenges and the drawbacks. Mainly we discussed the lack of end-to-end solution. We then illustrated the differences between Smart TV and IPTV from network service provider point of view. Unlike IPTV, viewer of Smart TV's over-the-top (OTT) services could be global, such as foreign nationals in a country or viewers having special viewing preferences. Those viewers are sparsely distributed. The existing TV service deployment models over Internet are not suitable for such viewers as they are based on content popularity, hence we propose a community based service deployment methodology with proactive content caching on rendezvous points (RPs). In our proposal, RPs are intermediate nodes responsible for caching routing and decision making. The viewer's community formation is based on geographical locations and similarity of their interests. The idea of using context information to do proactive caching is itself not new, but we combined this with "in network caching" mechanism of content centric network (CCN) architecture. We gauge the performance improvement achieved by a community model. The result shows that when the total numbers of requests are same; our model can have significantly better performance, especially for sparsely distributed communities.

스마트 TV 환경에서 키넥트 센서를 이용한 사진 검색 시스템 (Photo Retrieval System using Kinect Sensor in Smart TV Environment)

  • 최주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3호
    • /
    • pp.255-261
    • /
    • 2014
  •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폰, 타블렛과 같은 스마트 기기의 대중화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사진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양이 빠르고,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다. 사진 검색 방법은 키워드 기반의 검색 방법, 예제 기반의 검색 방법, 시각화 질의 기반의 검색 방법의 세 가지 분류될 수 있다. 이전에 연구된 사진 검색 기법은 일반 PC 환경에 최적화되었기 때문에 최근에 등장한 스마트 TV 환경에서 사진 검색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은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TV 환경에서 키넥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사진 검색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 키넥트 센서를 사용하여 마우스의 컨트롤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으며, 제안하는 시스템의 검색 결과는 임계값이 0.7일 때, 평균 재현율과 평균 정확도는 각각 81%, 80%의 성능을 보였다.

Multi-Modal Controller Usability for Smart TV Control

  • Yu, Jeongil;Kim, Seongmin;Choe, Jaeho;Jung, Eui S.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17-528
    • /
    • 2013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multi-modal controller type for Smart TV Control. Background: Recently, many issues regarding the Smart TV are arising due to the rising complexity of features in a Smart TV. One of the specific issues involves what type of controller must be utilized in order to perform regulated tasks. This study examines the ongoing trend of the controller. Method: The selected participants had experiences with the Smart TV and were 20 to 30 years of age. A pre-survey determined the first independent variable of five tasks(Live TV, Record, Share, Web, App Store). The second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type of controllers(Conventional, Mouse, Voice-Based Remote Controller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preference, task completion time, and error rate. The experiment consist a series of three experiments. The first experiment utilized a uni-modal Controller for tasks; the second experiment utilized a dual-modal Controller, while the third experiment utilized a triple-modal Controller. Results: The first experiment revealed that the uni-modal Controller (Conventional, Voice Controller) showed the best results for the Live TV task. The second experiment revealed that the dual-modal Controller(Conventional-Voice, Conventional-Mouse combinations) showed the best results for the Share, Web, App Store tasks. The third experiment revealed that the triple-modal Controller among all the level had not effective compared with dual-modal Controller. Conclusion: In order to control simple tasks in a smart TV, our results showed that a uni-modal Controller was more effective than a dual-modal controller. However, the control of complex tasks was better suited to the dual-modal Controller. User preference for a controller differs according the Smart TV functions. For instance, there was a high user preference for the uni-Controller for simple functions while high user preference appeared for Dual-Controllers when the task was complex. Additionally, in accordance with task characteristics, there was a high user preference for the Voice Controller for channel and volume adjustment. Furthermore, there was a high user preference for the Conventional Controller for menu selection. In situations where the user had to input text, the Voice Controller had the highest preference among users while the Mouse Type, Voice Controller had the highest user preference for performing a search or selecting items on the menu.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tilized in the design of a controller which can effectively carry out the various tasks of the Smart TV.

모바일 운영체제와 스마트 TV 동향 분석 (Trend analysis of Smart TV and Mobile Operating System)

  • 배유미;정성재;장래영;박정수;경지훈;성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40-743
    • /
    • 2012
  • 초기의 운영체제 역할은 컴퓨터와 사용자간의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하드웨어 및 프로세스를 관리하고, 사용자가 컴퓨터 시스템을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운영체제가 서버나 개인용 컴퓨터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및 태블릿 같은 모바일 기기에 탑재되어 모바일 운영체제를 탄생시켰다. 모바일 운영체제는 다양한 기기의 등장, 클라우드 서비스와 결합, 사용자들의 높은 욕구 등으로 인하여 단순한 임베디드 운영체제가 내장되어 작동하던 TV나 자동차까지 영역을 확대해 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운영체제, N-스크린, 스마트 TV에 대해 알아보고, 주요 스마트 TV 분석을 통하여 앞으로 모바일 운영체제의 동향에 대해 알아본다.

  • PDF

System Design and Service Scenario for the Second Screen Service

  • Park, Joo Hyun;Lim, Soon-Bum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3권4호
    • /
    • pp.111-118
    • /
    • 2016
  • Today, the proliferation of various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 brought changes in the existing TV viewing behavior. People use smart devices as secondary device while watching TV. Researches on a wide range of services linked with second-screen devices around the smart TV in the home network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While there exist several Web-related technologies for connections between devices, specialized techniques for a second screen service are quite insufficient. There are still some problems related to the display of contents from multiple devices and the efficient transfer of these content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broadcasting systems In this study, we focus on a second screen service that permits a dynamic transfer of contents by connecting a television (TV) with mobile devices. Here, we propose a second screen service model to enable the personalization of TV contents by combining the existing broadcasting and Web-related techniques.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TV 셋톱박스의 효과적 파일 시스템 복구 방법에 관한 연구 (Reserach for Filesystem Recovery in Android based SMART TV Settop)

  • 김병준;한경식;손승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73-775
    • /
    • 2012
  • 모바일 시스템에 비해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TV 셋톱박스의 경우 직접 전원 연결을 통한 시스템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전원차단으로 인한 메모리기반 파일시스템의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init의 중복 실행을 통해 스마트TV OS 프레임워크가 시작되기 전에 해당 파일 시스템의 손상 유무를 판단하여 시스템 체크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 PDF

Smart TV 기술 및 표준화 동향

  • 김경호;홍호택;이현재;김진필
    • 방송과미디어
    • /
    • 제16권1호
    • /
    • pp.40-53
    • /
    • 2011
  • 인터넷의 발달과 웹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로 Internet Connected TV가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 늘어나고, 스마트폰의 선풍적인 인기와 시장의 영향으로 디지털 TV에도 Smart TV의 바람이 불고 있다. Smart TV의 기술을 수신기 관점에서 살펴보았을 때, 방송과 웹이라는 두 가지 분야의 기술과 표준을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방송 분야에 대해서는 북미 ATSC 2.0, ATSC PT-3, 유럽 HbbTV 와 DVB-IPTV, 그리고 한국의 OHTV를 표준 관점에서 서비스 및 기술을 서로 비교하고, 다음으로 웹에 대한 기술과 표준화는 W3C의 HTML5, Web and TV 그리고 MPEG에서의 DASH를 살펴보기로 한다.

기계학습을 이용한 영화 주제 분류 (Movie subject classification using Machine Learning)

  • 이무훈;조준면;유정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64-1067
    • /
    • 2013
  • 정보검색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검색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스마트TV와 같은 장치에서 동영상 콘텐츠를 검색하는데 있어서 콘텐츠의 타이틀과 같은 정형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검색뿐만 아니라, 콘텐츠 주제와 같은 비정형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검색도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검색 요구사항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주제와 같은 비정형 메타데이터가 구축되어 있어야만 가능하다. 콘텐츠의 주제는 사람의 이해와 분석을 통해서 수작업으로 구축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수작업만으로 구축 가능한 콘텐츠의 주제를 기계학습을 기반으로 자동화 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고, 제안한 기법의 실험을 통하여 타당성을 검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