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ll seed

검색결과 483건 처리시간 0.023초

과맥의 파성에 대한 생리화학적 연구 III. 파성심도에 따른 유수분화 및 발육과정에 있어서의 유이아미노산의 소장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Chemistry of Spring Habits in Naked Barley III. Variation of Free Amino acids during the Differentiation and Development of Young Spkie with Different Spring Habits)

  • 최선영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0권3호
    • /
    • pp.127-134
    • /
    • 1977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free amino acids during the differentiation and development of young spike in naked barley, a typical spring grain, Wanju, and two winter grains, Sedohadaka and Nonsankwa No. 1-6 differing in their spring habits, were analyzed at different growth stages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In all the varieties 22 ninhydrin positive components were detected at the sowing time of March 5 and 20 components in the sowing plots of March 30. In case of the latter plot, β-alanine was identified only in both Wanju and Sedohadaka, whereas pipecolic acid was detected only in Nonsankwa No. 1-6. Particularly, it is interesting that β-alanine was observed only in the case showing the normal heading independent of the varieties and sowing times. Whether these components are directly related to the physiology of spring habits in barley or not is also a question to be answered. Of the major amino acids, alanine and γ-aminobutyric acid were always detected in appreciably large spots, and serine, leucine, aspartic acid, valine and asparagine were somewhat larger. In the plot of march 30, glutamic acid was also detected in very large spot in both Wanju and Sedohadaka at the stage of spikelet differentiation and in Nonsankwa No. 1-6 at the stage of bract differentiation. Histidine, which showed the only qualitative difference among the varieties during seed germination, cannot be observed at all. Proline observed considerably large spot during seed germination was always detected but very small except that it was observed in large spot at the stage of floret differentiation in Nonsankwa No. 1-6 in the plot of March 5.

  • PDF

트위터를 통한 제조 기업의 부정적 구전 확산: 공급사슬 리스크 관점에서 (Spread of Negative Word-of-mouth of Manufacturing Companies Via Twitter: From the Supply Chain Risk's Perspective)

  • 정의범;유한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79-94
    • /
    • 2021
  • 소셜 미디어상의 부정적 구전에 대한 기업의 공급사슬 리스크의 중요성과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관련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제품의 부정적 구전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어떻게 유통되는지, 부정적 구전의 유통과 확산에 영향을 주는 주체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사회적 교환이론에 기초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트위터를 이용해 미국도로교통안전국(NHTSA)에서 4개 자동차 기업의 자동차 리콜 정보를 수집하였다. 최초 트위터(Seed tweet)를 바탕으로 부정적 구전의 유통과 확산을 살펴보기 위한 RT(Re-tweet) 네트워크를 구조를 분석하여 부정적 구전 네트워크의 특징을 파악하고, 초기 유포자의 특성이 부정적 구전 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정적 구전은 다수 이용자와 연결된 허브 이용자를 중심으로 확산하는 스몰월드 네트워크 구조임을 확인하였으며, 초기 유포자의 영향력이 크고 상호호혜성이 높을수록 부정적 구전 확산의 속도와 규모가 유의미하게 증가함을 발견하였다.

바소프레신과 옥시토신을 동시에 조절 마이크로RNA, miR-24 (MiR-24 Simultaneously Regulates Both Oxytocin and Vasopressin)

  • 이헌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8-122
    • /
    • 2019
  • 옥시토신(Oxt)과 바소프레신(Avp)은 주로 시상하부의 신경세포에서 생성이 되어 뇌하수체 후엽에서 온 몸으로 분비된다. 유전자 구조와 염기서열 연구를 통해 옥시토신과 바소프레신이 진화적으로 발달되는 단계에서 유전자가 염색체 내에 중복된 것으로 추정되어져 왔다. 이전 연구에서 작은 조절자로 알려진 마이크로RNA 중 하나인 miR-24가 옥시토신과 직접 결합한 후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본 연구실에서 발표한 바가 있지만, 바소프레신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지는 확실치 않았다. 본 연구에서 바소프레신을 조절할 수 있는 후보 마이크로RNA를 생물정보학적 방법으로 탐색하였다. 여러 후보 중 miR-24만이 바소프레신과 직접 결합할 수 있음을 형광 리포터 분석과 바소프레신 결합부위의 돌연변이 cDNA 제작을 통해 밝혀내었다. 바소프레신의 miR-24 결합 필수 부위인 "seed" 부분을 돌연변이 시킨 바소프레신의 경우 miR-24와의 결합능이 현저히 떨어지고 miR-24의 저해제 역시 결합능을 감소시키는 것을 보아 miR-24가 바소프레신에 결합하여 조절할 수 있음을 명확히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단일 마이크로RNA가 두 주요한 뇌하수체 호르몬의 조절에 관여한다는 새로운 조절 기전을 제시하여 준다.

백산차(Ledum palustre var. diversipilosum) 종자의 형태적 특성 및 발아조건 분석 (Analysis on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Germination Conditions of Seeds in Ledum palustre var. diversipilosum)

  • 최영민;조승주;이현지;김명자;성정원;윤정원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23-23
    • /
    • 2023
  • The Hairy labrador tea (Ledum palustre L. var. diversipilosum Nakai) is a evergreen small shrub, belonging to the Ericaceae and mainly distributed along the alpine areas of Hamgyeong-do in North Korea. Through seed physiological research on North Korean plants, we intend to obtain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mass propagation methods and use them for vegetation restoration. The internal and ex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e seed were observ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r stereoscopy, and full seeds were selected through X-ray test. Seeds were cultured on a growth condition at 15/6℃ and 25/15℃ to examine the germination response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the number of germinated individuals was examined every 24 hours to calculate germination percentage and mean germination time. Low-temperature treatment (4℃) and hormone treatment (GA3)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ormancy breaking,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perform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using SAS 9.4. The seeds of the Hairy labrador tea were elliptical-narrow in shape, and the epidermal cell wall pattern was reticulated. The final germination rate (FGP) was the highest at 58.9% under the condition of low temperature treatment at 25/15℃. The average number of days to germination (MGT) was the highest at 25.1 days without treatment at 15/6℃, and the average of the last germination days was confirmed to be about 13 days. As a result of low temperature treat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final germination rate (FGP) increased by 43.3%. The significance of the final germination rate (FGP) was verified according to the pretreatment at 25/15℃.

  • PDF

우리나라 넙치 육종연구에 관한 현황 및 고찰 (Current Status and Consideration of Breeding Research on Olive Flounder in Korea)

  • 박종원;이정호;김현철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5권3호
    • /
    • pp.35-46
    • /
    • 2023
  • It was in the 1982 that artificial seed production research for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arming was first conducted in Korea (Currently,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Fish Breeding Research Center). In 1985, fertilized eggs were obtained from natural olive flounder adapted to land tanks, and artificial seed production technology was established and fertilized eggs were distributed. In the late 1980s, halibut aquaculture began to prosper in land-based tank farming in Jeju Island and Busan's Gijang region, where water temperatures are relatively high in winter. Currently, aquaculture is being carried out all over the country, centering on Jeju Island and Wando, Jeollanam-do. However, olive flounder farming, which started with a small group in the 1980s, reduced genetic diversity through inbreeding over generations, resulting in side effects such as slow growth, reduced resistance to diseas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order to solve these genetic problems of farmed olive flounder in Korea, the Fish Breeding Research Center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introduced a wild-caught parent fish group to the existing aquaculture group from 2003 to 2004. Genetic diversity was secured and KingNupchi with fast growth and improved body shape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breeding technology development of olive flounder, a major aquaculture breed in Korea, is review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소나무 천연집단(天然集團)의 변이(變異)에 관(關)한 연구(硏究)(III) -주왕산(周王山), 안면도(安眠島), 오대산(五臺山) 소나무집단(集團)의 차대(次代)의 유전변이(遺傳變異)- (The Variation of Natural Population of Pinus densiflora S. et Z. in Korea (III) -Genetic Variation of the Progeny Originated from Mt. Chu-wang, An-Myon Island and Mt. O-Dae Populations-)

  • 임경빈;권기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6-63
    • /
    • 1976
  • 1974년(年) 천연(天然)소나무집단(集團)에 대한 유전적변이(遺傳的變異)를 분석(分析)하고져 먼저 경북(慶北) 청송군(靑松郡) 소재(所在) 주왕산(周王山)소나무림(林), 충남(忠南) 서산군(瑞山郡) 소재(所在) 안면도(安眠島) 소나무림(林), 그리고 강원도(江原道) 평창군(平昌郡) 소재(所在) 소나무림(林)을 대상(對象)으로하여 각(各) 집단(集團)에서 되도록 소면적(小面積)의 범위내(範圍內)에 서있는 소나무 개체(個體)를 각(各) 20주(株)씩 총 60주(株)를 택(擇)하여 그 모수(母樹)에 대한 형태학적(形態學的) 특성(特性)등을 조사측정(調査測定)하고 집단간(集團間)에 보이는 차이(差異) 그리고 한 집단내(集團內)에 있는 각개체수목(各個體樹木)의 형질(形質)을 조사보고(調査報告)한바 있다(제일보고문(第一報論文). 1974년(年) 가을에 가계별(家系別)로 종자(種字)을 채취(採取)하여서 가계별(家系別) 및 산지별(産地別)의 차이(差異)를 분석(分析)하고 동시(同時)에 그 종자(種字)를 파종하여서 1-0묘(苗) 및 1-1묘(苗)를 대상(對象)으로 생장인자(生長因子)에 대한 측정(測定)을 하고 그 유전력(遺傳力)을 계산(計算)해 보았다. 그밖에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 또는 monoterpene등의 함량(含量)의 차이(差異)를 분석(分析)해 보았다. 종자(種字)의 형태학적(形態學的) 특성(特性)에 있어서는 집단간(集團間) 또 가계간(家系間)에 유의차(有意差)를 보이지 않는 것도 있었으나 대체(大體)로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었다. 그리고 각형질간(各形質間)의 상관(相關)을 보았는데 구과폭(毬果幅)과 종자익(種字翼)의 폭(幅), 구과장(毬果長)과 종자익(種字翼)의 길이간(間), 그리고 구과(毬果) 생중량(生重量)과 종자중량간(種字重量間)에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보였다. 묘고(苗高)와 근원경(根元徑)의 성장(成長)에 있어서는 가계간(家系間) 그리고 집단간(集團間)에 차이(差異)가 인정되었다. 묘고(苗高)의 유전력(遺傳力)은 집단(集團)의 평균치(平均値)를 가지고 분석(分析)하였다. 즉 집단(集團)에 관계(關係)되는 분산(分散)을 유전분산(遺傳分散)으로 보고서 유전력(遺傳力)을 계산(計算)해 보았는데 1-0묘(苗)의 묘고(苗高)에서는 0.29, 1-1묘(苗)에서는 0.14가 그리고 근원경(根元徑)에 있어서는 1-0묘(苗)는 0.15, 1-1묘(苗)에서는 0.06이였다. 기공열수(氣孔列數)에 있어서는 집단간차이(集團間差異)가 있었으나 거치밀도(鋸齒密度)에는 차이(差異)가 없었다. 침엽(針葉)의 특성(特性)에 관(關)해서는 모수(母樹)와 차대간(次代間)에 상관(相關)이 없었다.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은 집단간차이(集團間差異)는 보였으나 가계간차이(家系間差異)는 없었다. monoterpene의 성분(成分)에 있어서는 myrcene과 ${\beta}$-phellandrene의 함량(含量)으로 집단차(集團差)를 볼 수 있었다.

  • PDF

내병·소립 고수율 나물콩 신품종 "소황" (A New Soybean Cultivar, "Sohwang" for Sprout with Disease Resistance, Small Seed Size and High Sprout yielding)

  • 조상균;오영진;김경호;김영진;김태수;김정곤;박기훈;윤홍태;김현태;한원영;백인열;고종민;김용덕;김동관;황흥구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640-644
    • /
    • 2009
  • "소황"은 양질 내재해 다수성 나물콩 신품종 육성을 목표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한 나물콩 품종으로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황"의 신육형은 유한형, 꽂색은 자색, 엽형은 피침형이며 모용색은 회색이며, 성숙기 꼬투리색은 담갈색이고, 종피색 및 배꼽색은 황색이며, 립형은 구형으로, 꼬투리는 성숙 후에도 잘 터지지 않는다. 2. "소황"의 성숙기는 9월 29일로 대비품종인 풍산나물콩 보다 10일 빠른 중생종이며, 100립중은 8.5 g으로 소립이다. 3. "소황"은 도복에 강하고, 콩 괴저병 및 세균성불마름병과 검은뿌리 썩음병에 강하며, 자반병, 미이라병 등 종자병해에도 비교적 강한 품종이다. 4. "소황"은 풍산나물콩에 비해 종실 조단백질 함량이 높고, 콩나물 기능성분인 아이소플라본 함량이 높은 기능성 나물콩이다 5. "소황"의 콩나물 특성은 풍산나물콩에 비해 경실종자가 없으며, 배축신장성이 우수하여 콩나물 수율이 14% 증수되는 고수율 나물콩이다. 6. "소황"의 10 a당 수량성은 '06~'08년까지 3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결과 평균 수량이 269 kg으로 풍산나물콩 대비 96% 수준으로 다소낮은 남부 이모작 콩 재배지에 적합한 품종이다.

강활(羌活)의 묘(苗)크기가 추대(抽臺) 및 수양(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eedling Size on Bolting and Yield of Ostericum koreanum (MAX.) KITAGAWA)

  • 서종식;정병찬;손서규;김기식;김동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14-120
    • /
    • 1994
  • 최근 생약의 수요 및 재배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약초의 재배기술 확립이 요청 되고 있는바 추대로 인한 수량감소와 품질저하가 크다고 알려진 강활에 대하여 파종방법별로 육묘기 생육과 묘크기에 따른 추대 및 수량성을 구명하고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파종방법별 출아율은 파종량이 적고 산파했을 경우에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묘크기에 있어서는 파종량간에 대차 없었으나 파종방법간에는 조파구에서 생장량이 많은 경향이었다. 2. 묘 분포비율은 중묘>소묘>대묘의 순으로 많았는데 소묘생산을 위해서는 산파로서 밀파$(8l\;/33m^2)$ 하는 것이 유리 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묘크기에 따른 정식후 생육은 묘의 근경이 굵을수록 개화가 빨라지는 경향이었고 지상부 생육은 조파 소묘 정식이 좋은 경향이었다. 4. 묘크기에 따른 추대율은 대묘 89.6%, 중묘 64.4%, 소묘 36.9% 로 묘가 클수록 높았다. 5. 묘크기에 따른 근비대는 미추대근이 추대근에 비하여 많았고 조파묘보다 산파 묘가 좋았다. 6. 생근수량은 산파 소묘 정식구에서 853kg/10a 으로 가장 증수하였다.

  • PDF

장미 교배 효율 증대를 위한 화분 임성 검정 (An Increment of Crossing Efficiency with Consideration of Pollen Viability Analysis in Rose)

  • 황윤정;송창민;권민경;김성태;김원희;한윤열;한태호;임기병
    • 화훼연구
    • /
    • 제18권3호
    • /
    • pp.193-200
    • /
    • 2010
  • 현재 재배되고 있는 장미 재배종은 오랜 기간 동안 종간교잡과 종내교잡을 통해 선발되어 온 것으로서 대부분이 이형잡종의 게놈으로 구성되어 있어 발아율이 저조한 편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교배를 위해서는 화분의 활력 검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염색액과 발아배지를 이용하여 7품종의 화분 임성율과 발아율 검정하고 이들 결과를 토대로 화분의 크기, 배수성 및 교배조합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화분 임성율은 '스칼렛미미'가 82%로 가장 높았으며 '피노키오'가 39%로 가장 낮았다. 발아율 관찰 결과 '스칼렛미미'가 41%로 가장 높았으며 '미니로사'가 1%로 가장 낮았다. 화분의 크기를 관찰한 결과 화분은 큰 화분과 작은 화분으로 구분되었으며 화분의 직경은 각각 $41.3-45.4{\mu}m$$30.7-37.4{\mu}m$로 관찰되었으며 화분의 크기는 10-40% 정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분의 크기와 염색체 전체 길이의 합을 비교한 결과 염색체 크기와 화분의 크기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배조합 검정 결과 착과율과 발아율은 화분 발아율, 임성률 및 배수성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Regional Adaptation of the Genus Cypripedium in Korea and Micropropagation with Seed

  • Lee, Joung Kwan;Kwon, Young Hee;Kim, Hee Kyu;Kim, Kyung Ok;Park, Jae Seong;Jeong, Mi Jin;Son, Sung Won;Suh, Gang Uk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3-23
    • /
    • 2019
  • Cypripedium is an orchid genus of over 50 species widely distributed in the northern temperate zone, with a few taxa extending central America and the Himalayas and the southwesternmost tip of China in Asia. Of the known species approximately two thirds are found in China. In Korea, 4 species were reported to find with rare popularity ; C. macranthos, C. guttatum, C. japonicum, and C. calceolus. The seed has a firm brown fusiform testa with an opening at one end where the micropyle of the ovule was situated. Cypripedium has small, fusiform, wind-dispersed seeds that weigh about $1{\sim}2{\mu}g$ and range from 0.1 to 2 mm long and 0.07 to 0.4 mm across. The germination of Cypripedium was previously thought to be hard to cultivate in one's garden and impossible to propagate artificially, nowadays lab-propagated seedlings are readily available in EU or United States. We had already reported the successful micropropagation of lady's slipper orchids with green pod sowing methods. The collected Cypripedium species and hybrids were planted in Korea National Arboretum (KNA) on Oct. 2018. The 11 species including C. candidum and the 31 hybrids such as C. Ingrid were introduced from Germany with CITES certification. The lady's slipper orchids bloomed on May to June, and the flowers were pollinated in the same species or hybrids to get seeds for in vitro germination on 2~3 days after fully flowering. The green pods were collected after 49~70 days after pollination. The 6 species of Cypripedium seeds were easily germinated on the POM within 70 days after sowing, and the 12 hybrids PLBs were observed with small roots. We had established the scheme of lady's slipper orchids germination in 3 months with green pods, and get the possibility of seedling in 10 months of sowing in vitro.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