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ll for gestational age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34초

태아 소장 부분염전에 의한 회장 무공증 (Ileal Atresia Secondary to Intrauterine Segmental Volvulus)

  • 박우현;박상만;최순옥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권2호
    • /
    • pp.177-180
    • /
    • 1995
  • A 2-day-old male (Premie, Large for gestational age(LGA), Intrauterine period(IUP) 33 weeks, birth weight 2,955 gram) was transferred with marked abdominal distention, bilious return via the orogastric tube, respiratory difficulty, and generalized edema (hydrops fetalis). He was born by cesarean section to a 36 year-old mother. Antenatal ultrasonogram at IUP 31 weeks demonstrated multiple dilated bowel loops suggestive of intestinal obstruction. There was no family history of cystic fibrosis. Simple abdominal films disclosed diffuse haziness and suspicious fine calcifications in the right lower quadrant. Barium enema demonstrated a microcolon. Sweat chloride test was not available in our institution. At laparotomy, there noted 1) a segmental volvulus of the small bowel with gangrenous change, associated with meconium peritonitis, 2) an atresia of the ileum at the base of the volvulus, and 3) the terminal ileum distal to the volvulus was narrow and impacted with rabbit pellets-like thick meconium. These findings appeared to be very similar to those of a complicated meconium ileus. In summary, the ileal atresia and meconium peritonitis seemed to be caused by antenatal segmental volvulus of the small intestine in a patient with probable meconeum ileus.

  • PDF

부당 경량아 및 전자간증 산모의 신생아 제대혈관내피세포의 endothelin-1 발현 비교 (Quantification of endothelin-1 in human umbilical venous endothelial cell culture supernatants of small for gestational age and preeclampsia neonates)

  • 조원경;김소영;전정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2호
    • /
    • pp.1194-1199
    • /
    • 2007
  • 목 적 : 본 연구자들은 전자간증, 부당 경량아, 자궁 내 발육지연 등의 질환들이 공통적으로 혈관내피세포의 기능 변화와 어느 정도 관련되어 있을 것으로 추론하였다. 따라서 전자간증 산모의 신생아, 부당 경량아의 제대혈관내피세포를 배양하여 제대의 혈관내피세포에서 발현되는 대표적인 혈관 수축작용 물질인 endothelin-1의 양을 측정한 후 정상 신생아 제대혈관 내피세포의 결과와 비교하여 각 질환에서 태아의 혈관내피세포의 endothelin-1 발현 기능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또한 배양된 정상아 제대혈관내피세포에 전자간증 산모의 신생아와 부당 경량아 및 정상아의 제대혈 혈청을 투여하여 발현된 endothelin-1의 양을 비교하여 혈청 내에 endothelin-1의 발현을 촉진시키는 인자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방 법 : 전자간증으로 진단 받은 산모의 신생아를 전자간증군(n=7), 부당 경량아로 진단받은 신생아를 부당 경량아군(n=8), 정상 신생아를 정상군(n=12)으로 나누었다. 각 그룹에서 태어난 신생아 제대와 제대혈을 모아 제대혈은 그 혈청을 영하 $70^{\circ}C$ 이하에 보관하였다. 전자간증군, 부당 경량아군 및 정상군 신생아의 제대 혈관내피세포를 분리하고 배양하였다. 배양된 각각의 제대 혈관내피세포의 상층액에서 endothelin-1 level을 측정하였다. 다음에는 전자간증군, SGA군 및 정상군의 제대혈 혈장과 정상 신생아 제대 혈관내피세포를 함께 부양하여 그 상층액에서 endothelin-1 level을 측정하였다. 결 과 : 전자간증군, 부당 경량아군 및 정상군의 제대혈관내피세포를 배양하여 발현된 endothelin-1의 양을 측정한 결과 전자간증군과 SGA군의 제대혈관내피세포의 endothelin-1 발현은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배양된 정상아 제대혈관내피세포에 전자간증군과 SGA군의 제대혈 혈청을 투여하여 발현된 endothelin-1의 양은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결 론 : 전자간증 신생아나 부당 경량아의 혈관내피세포의 기능이상을 유발하는 인자가 전자간증과 부당경량아 제대 혈청내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부당 경량아로 출생한 소아들에서 교정성장곡선을 이용한 따라잡기 성장에 대한 연구 (Catch up growth in children born small for gestational age by corrected growth curve)

  • 정명기;송지은;양승;황일태;이혜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9호
    • /
    • pp.984-990
    • /
    • 2009
  • 목 적 : 부당경량아는 소아기 저신장의 주요한 이유 중의 하나이다. 유전적 요소는 부당경량아의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고 알려져 있다. 일반 소아와 유전적 요소사이의 관계에 대한 몇몇 보고가 있다. 하지만 부당경량아와 유전적 요소사이의 관계에 대한 보고는 많지 않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부당경량아의 성장과 부모중간키의 측정에 의한 유전적 요소 사이의 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리고 IGF-I, IGFBP-3 그리고 유전적 요소가 반영된 출생 후 성장과의 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방 법 : 1989년부터 2002년까지 한림의대 강동성심병원에서 태어난 신생아로 출생체중이 10백분위수 미만인 부당 경량아 300명 중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아의 부모중간키를 최종 평균값으로 하는 새로운 개인별 교정성장곡선을 구해 해당 연령의 표준편차를 적용하여 cHtSDS를 계산하였다. cHtSDS${\geq}0$ (n=35)인 1군, cHtSDS<0 (n=14)인 2군으로 나누고 두 군 간에 IGF-I과 IGFBP-3를 비교하였다. 결 과 : 1군과 2군의 HtSDS와 cHtSDS는 $0.28{\pm}1.05$, $-0.95{\pm}0.85$ (P=0.000), $0.78{\pm}0.93$, $-0.46{\pm}0.67$ (P=0.000)이었다. 또한 IGF-I SDS는 각각 $2.82{\pm}3.69$, $0.23{\pm}2.42$로 1군이 2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더 높았다(P=0.012). 전체 cHtSDS ($0.42{\pm}1.03$)는 HtSDS ($-0.22{\pm}1.10$)보다 더 높았고(P=0.000), cHtSDS는 IGF-I SDS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졌다(P=0.016). 결 론 : 본 연구 결과로 볼 때 cHtSDS는 HtSDS와 유의하게 차이가 났다. 현재의 일률적인 표준성장곡선에 의한 성장평가는 유전적 요소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 진정한 성장상태의 평가는 부모중간키 같은 유전적 요소를 반영한 개인별 교정성장곡선의 사용에 의해 가능할 것이다. 비록 cHtSDS를 계산하는 방법론상의 문제가 아직 있지만, cHtSDS는 부당경량아의 성장평가에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

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자궁 외 성장 지연 (Ex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 김은선;손진아;이은희;최은진;이현주;이진아;최창원;김이경;김한석;김병일;최중환
    • Neonatal Medicine
    • /
    • 제17권1호
    • /
    • pp.53-63
    • /
    • 2010
  • 목 적 : 극소 저체중 출생아(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VLBWIs)의 자궁 외 성장지연(ex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EUGR)은 NICU에서 중요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고, 향후 성장과 뇌신경발달 이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단일 기관에서의 NICU에서 EUGR의 빈도와 위험요인들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교정이 가능한 요인들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5년 11월부터 2009년 4월까지 만 3년 6개월간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출생하여 서울대학교 NICU에 입원하였던 출생 체중 1,500 g 미만이면서 출생 시재태 주령이 32주 이하인 VLBWIs의 의무기록지를 후향적인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퇴원시의 체중이 그 시점의 자궁 내 재태 주령에 해당하는 체중에 비해 10백분위 수 미만일 때 EUGR로 정의하였다. 결 과:전체 대상 환아 중 EUGR은 67% (111/166)였고, EUGR과 관련된 요인들을 다변량 분석을 하였을 때 SGA여부가 EUGR의 가장 큰 위험요소였고(OR 9.9, P=0.000), 출생 체중과 생후 첫 28일까지 kg당 하루평균 체중 증가가 적은 것도 EUGR의 독립적인 위험요소였다(P=0.034, P=0.003). SGA가 아닌 환아들의 56% (64/114)에서 EUGR이 되었기 때문에 non-SGA 그룹에서도 EUGR의 예측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Non-SGA 그룹에서 적은 출생 체중과 호흡곤란증후군, 저혈압, 패혈증과 같은 질병 이환이 EUGR과 관련된 위험요인들이었고, 다변량 분석하였을 때, non-SGA 그룹에서 도 생후 첫 28일까지 kg당 하루 평균 체중 증가가 적은 것이 독립적인 EUGR의 위험요인이었다(P=0.001). 결 론:극소 저체중아에서 EUGR의 유병률은 높았고, SGA 여부가 EUGR의 가장 중요한 위험 요소였다. Non-SGA 환아들의 반 이상에서도 EUGR이 발생하였고, 생후 첫 28일간 kg당 하루 평균 체중 증가가 적은 것이 중요한 예측 요인이어서 생후 초반에 적절한 성장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이후에 따라잡기 성장이 힘든 것을 알 수 있었다. 극소 저체중아의 생후 초반기는 임상적으로 불안정한 시기여서 영양 공급과 성장의 문제가 뒷전에 놓일 수 있지만, EUGR의 발생과 관련하여 초기 영양 공급의 적절성에 대한 모니터 및 교정이 좀 더 적극적으로 필요하다.

Adverse pregnancy outcomes with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in non-obese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a case-control study

  • Han, Ae-Ra;Kim, Hye-Ok;Cha, Sun-Wha;Park, Chan-Woo;Kim, Jin-Yeong;Yang, Kwang-Moon;Song, In-Ok;Koong, Mi-Kyoung;Kan, Inn-S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8권2호
    • /
    • pp.103-108
    • /
    • 2011
  • Objective: To investigate adverse pregnancy outcomes in non-obese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compared with obese-PCOS and control groups. Methods: Women with PCOS who underwent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from August, 2003 to December, 2007, were considered. A total of 336 women with PCOS were included in the study group and 1,003 infertile women who had tubal factor as an indication for ART were collected as controls. Th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 non-obese PCOS group, obese-PCOS group, non-obese tubal factor group, and obese tubal factor group, with obesity defined by a body mass index over 25 kg/$m^2$, and reviewed focusing on the basal characteristics, ART outcomes, and adverse pregnancy outcomes.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groups' the clinical pregnancy rate or live birth rate. Regarding adverse pregnancy outcomes, the miscarriage rate, multiple pregnancy rate, and prevalence of preterm delivery and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four groups. The incidence of small for gestational age infant was higher in the PCOS groups than the tubal factor groups ($p$ <0.02). On the other hand, the morbidity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was not high in the non-obese PCOS group but was in the obese groups. And in the obese PCOS group, the newborns were heavier than in the other groups ($p$ <0.02). Conclusion: Non-obese PCOS presents many differences compared with obese PCOS, not only in the IVF-parameters but also in the morbidity of adverse pregnancy outcomes, especially in GDM and fetal macrosomia.

지연 분만이 신생아의 사망률과 이환율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Delayed Interval Delivery on Neonatal Mortality and Morbidity)

  • 이은희;손진아;이주영;최은진;이진아;최창원;김이경;김한석;전종관;김병일;최중환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1호
    • /
    • pp.111-116
    • /
    • 2011
  • 목적: 다태임신에서 지연 분만이 신생아 사망률과 이환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6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지연 분만 방법으로 출생한 아기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고찰을 하였다. 결과는 신생아 사망률과 이환율로 하였으며, 이환율을 조사한 질병에는 뇌실 내 출혈,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기관지폐 형성 이상, 뇌실 주위 백색질연화증, 자궁 외 성장지연 등을 포함하였다. 다태아 중 이후에 출생한 아기들의 결과를 처음 출생한 아기들, 그리고 재태주령과 출생체중이 비슷한 아기들로 이루어진 대조군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 총 4쌍의 쌍둥이, 5쌍의 세 쌍둥이가 있었으며, 처음 출생한 아기들(그룹 1)은 9명, 이후에 출생한 아기들(그룹 2)은 14명이었다. 그룹 1의 재태주령은 22주 6일-27주 5일, 그룹 2의 재태주령은 24주 6일-28주 0일이었다. 첫 분만과 지연 분만 사이간격의 평균은 10일이었으며, 모든 세 쌍둥이 가운데 둘째와 셋째 아기 사이의 지연 분만은 없었다. 부당 경량아는 그룹 2보다 그룹 1에서 많았다(그룹 1: 66.7%, 그룹 2: 21.4%, P=0.03). 그룹 1과 2 사이에 사망률의 차이가 있었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그룹 1: 33.3%, 그룹 2: 7.1%, P=0.106). 그룹 2에 대한 대조군은 28명이었고, 그룹 2와 대조군 사이에 신생아기 사망률과 이환율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 대상수가 적기는 하지만, 다태임신에서 지연 분만으로 남아 있는 태아의 부당경량아 빈도는 줄일 수 있으며 재태 기간연장으로 인해 출생 후에 나쁜 영향을 끼치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 자연유산에 의한 수태산물 핵형분석에서 관찰된 염색체 이상의 발생율과 유형: 6년(2005-2010)간 수태산물 470예 분석 (Incidence and Spectrum of Chromosomal Abnormalities associated with Spontaneous Abortions in Korea: 470 Products of Conception over a Period of 6 Years (2005-2010))

  • 한성희;안정욱;양영호;김영진;조한익;이경률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8권1호
    • /
    • pp.44-52
    • /
    • 2011
  • 목적: 자연 유산에 대한 세포유전학적 분석은 유산의 원인을 규명하여 부모에게 정확한 유전상담을 위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그 분석결과를 통해 염색체 이상의 빈도와 유형을 알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재발 위험도를 산정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한국인에서는 자연유산에서 관찰되는 염색체 이상에 대해 몇몇의 보고들이 있으나 그 대상군의 수가 적다. 이에 저자들은 자연유산에 의한 수태산물 470예에서 관찰되는 염색체 이상의 발생 빈도와 종류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부터 2010년까지 국내 병원이나 개인 산부인과에서 서울의과학연구소에 염색체 분석이 의뢰된 자연유산에 의한 수태산물 470예를 대상으로 염색체 핵형 결과와 함께 유산시 임신 주수와 산모나이에 따른 염색체 이상의 종류와 발생빈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470예의 자연 유산에 의한 수태산물의 염색체 핵형을 분석한 결과 염색체 이상 빈도는 54.3% (255/470)였다. 그 중 수적 이상이 89.3% (228/47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는데, 수적 이상 중에는 상염색체의 삼염색체가 67.0%였고, 단일염색체 X가 12.5%, 다배수성은 8.2%, 삼염색체X가 0.8%, 상염색체의 단일염색체가 0.8%였다. 구조적 이상은 10.7% (27/470)으로 균형전좌가 3예, 불균형전좌는 24예이었다. 남녀 성비는 정상핵형과 비정상핵형 모두 0.58과 0.65으로 여아에서 높게 나타났다. 상염색체의 삼염색체는 1번, 3번, 19번 염색체를 제외하고 모두 관찰되었는데, 16번 삼염색체가 19.9%로 가장 많았으며, 22번 염색체가 13.5%, 21번 염색체가 12.3%, 15번 염색체가 9.9%, 13번과 18번 염색체가 각각5.3% 순으로 관찰되었다. 염색체 이상의 빈도는 임신 주수가 낮을수록, 산모나이가 많을수록 높았는데, 산모나이가 많을수록 삼염색체와 수적이상과 구조적 이상이 같이 있는 염색체 이상의 빈도가 높았다. 결론: 본 연구는 최근 6년간의 자연유산에 의한 수태산물 470예에 대해 세포유전학적 결과를 분석하였고, 이는 국내 자연유산 환자에게 적절한 산전유전상담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Successful Ultrasound-Guided Gastrografin Enema for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with Meconium-Related Ileus

  • Shin, Jaeho;Jeon, Ga Won
    • Neonatal Medicine
    • /
    • 제25권1호
    • /
    • pp.37-43
    • /
    • 2018
  • Purpose: Meconium-related ileus is common in preterm infants. Without proper management, it can cause necrotizing enterocolitis and perforation requiring emergent oper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the efficacy and safety of ultrasound-guided Gastrografin enema at bedside for preterm infants with meconium-related ileus. Methods: Between March 2013 and December 2014, this study enrolled preterm infants with birth weight <1,500 g, who were diagnosed with meconium-related ileus requiring ultrasound-guided Gastrografin enema refractory to glycerin or warm saline enemas. Gastrografin was infused until it passed the ileocecal valve with ultrasound guidance at bedside. Results: A total of 13 preterm infants were enrolled.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were 28.6 weeks (range, 23.9-34.3 weeks) and 893 g (range, 610-1,440 g), respectively. Gastrografin enema was performed around postnatal day 8 (range, day 3-11). The success rate was 84.6% (11 of 13 cases). Three of these 11 infants received a second procedure, which was successful. Among 2 unsuccessful cases, one failed to pass meconium while the other required surgery due to perforation. The time required to pass meconium was $2.8{\pm}1.5hours$ (range, 1-6 hours). The time until radiographic improvement was $2.8{\pm}3.4days$ (range, 1-14 days) after the procedure. Conclusion: Ultrasound-guided Gastrografin enema at bedside as a first-line treatment to relieve meconium-related ileus was effective and safe for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We could avoid unnecessary emergent operation in preterm infants who have high post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This could also avoid transporting small preterm infants to fluoroscopy suite.

미숙아와 신생아의 동맥과 개존증에 대한 수술요법(소개흉 결찰술과 흉강경 보조하의 clipping과의 비교)

  • 장지원;한재진;원용순;원태희;안재호;박영식;최수승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1호
    • /
    • pp.26-31
    • /
    • 2000
  • Background: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preoperative conditions post-operative results indication and methods of surgical closure of patent ducturs arterio년 in prematures low birth weight infants and neonates. Patient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two groups of patients (prematures group and neonates group) who underwent surgical closure of the patent ductus arteriosus between March 1995 and June 1998. Results: The premature group consisted of 9 patients(3 males and 6 females) Their mean gestational period was 30.7 weeks(ranging from 26 weeks to 33 weeks) mean age 27.8 days(11 days to 55 days) and mean body weight 1.56 kg. Prominent preoperative symptoms were dependency on mechanical ventilation generalized edema and hepatomegaly. We performed PDA ligation via thoracotomy in all premature patients. The neonate group consisted of 16 patients and their mean body weight was 3.75 kg. Major symptoms of this group was tachypnea and intercostal retraction resistant to medical treatment. We performed video-assisted PDA clipping to them all. There were no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r operation-related mortality in both groups. Comparing the ratio of size of PDA(mm)/body weight(kg) the ratio of premature group (ligation through thoracotomy) was higher than that of neonate group ( video-assisted clipping) that is 3,89:1.21(p=0.03)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the surgical closure of PDA can be a safe method of treatment for prematures low birth weight infants and neonates with compromised general conditions. Choice of surgical technique depends on the surgeon's preference but there was a tend-ency to choose the ligation method through thoracotomy for patients with small body weight and large PDA.

  • PDF

고위험신생아의 저체온증 현황 및 관련요인 (Hypothermia and Related Factors in High-Risk Infants)

  • 안영미;손민;김남희;강나래;강승연;정은미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505-514
    • /
    • 2017
  • Purpose: Maintaining body temperature is a key vital function of human beings, but little is known about how body temperature of highrisk infants is sustained during early life after birth.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hypothermia in high-risk infants during their first week of life and examine demographic, environmental, and clinical attributors of hypothermia. Methods: A ret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was done from January 1, 2013 to December 31, 2015. Medical records of 570 high-risk infants hospitalized at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NICU) of a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 were examined. Body temperature and related factors were assessed for seven days after birth. Results: A total of 336 events of hypothermia (212 mild and 124 moderate) occurred in 280 neonates (49.1%) and most events (84.5%) occurred within 24 hours after birt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phototherapy (aOR=0.28, 95% CI=0.10-0.78), Apgar score at 5 minute (aOR=2.20, 95% CI=1.17-4.12), and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or small for gestational age (aOR=3.58, 95% CI=1.69-7.58)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tributors to hypothermia. Conclusion: Findings indicate that high-risk infants are at risk for hypothermia even when in the NICU. More advanced nursing interventions are necessary to prevent hypothermia of high-risk inf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