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ot blot hybridization assay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Quantitative Detection of Residual E. coli Host Cell DNA by Real-Time PCR

  • Lee, Dong-Hyuck;Bae, Jung-Eun;Lee, Jung-Hee;Shin, Jeong-Sup;Kim, In-Seop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10호
    • /
    • pp.1463-1470
    • /
    • 2010
  • E. coli has long been widely used as a host system for the manufacture of recombinant proteins intended for human therapeutic use. When considering the impurities to be eliminated during the downstream process, residual host cell DNA is a major safety concern. The presence of residual E. coli host cell DNA in the final products is typically determined using a conventional slot blot hybridization assay or total DNA Threshold assay. However, both the former and latter methods are time consuming, expensive, and relatively insensitive. This study thus attempted to develop a more sensitive real-time PCR assay for the specific detection of residual E. coli DNA. This novel method was then compared with the slot blot hybridization assay and total DNA Threshold assay in order to determine its effectiveness and overall capabilities. The novel approach involved the selection of a specific primer pair for amplification of the E. coli 16S rRNA gene in an effort to improve sensitivity, whereas the E. coli host cell DNA quantification took place through the use of SYBR Green I. The detection limit of the real-time PCR assay, under these optimized conditions, was calculated to be 0.042 pg genomic DNA, which was much higher than those of both the slot blot hybridization assay and total DNA Threshold assay, where the detection limits were 2.42 and 3.73 pg genomic DNA, respectively. Hence, the real-time PCR assay can be said to be more reproducible, more accurate, and more precise than either the slot blot hybridization assay or total DNA Threshold assay. The real-time PCR assay may thus be a promising new tool for the quantitative detection and clearance validation of residual E. coli host cell DNA during the manufacturingprocess for recombinant therapeutics.

사염화탄소로 유도된 Cytochrome P-450 활성도의 전환으로 본 Hedera rhombea 잎의 메탄올 추출물의 간독성 감소작용 (Chemoprotective Effect of Methanol Extract of Hedera rhombea Loaves on the Reversal of Cytochrome P-450 Activities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 홍영숙;김형래;배영숙;박상신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권4호
    • /
    • pp.245-250
    • /
    • 1995
  • The carbon tetrachloride($CCl_4$) has been demonstrated to have a hepatotoxic effect in human or many other species. To investigate the enzyme induction of mixed function oxygenases in liver of male Sprague-Dawley rats a single 0.1, 0.5 mι/kg dose of carbon tetrachloride were given. At 24 hr after a single dose of 0.1 mι CC1$_4$/kg weight, methanol extract of Hedera rhombea leaves was administered with 100, 500 mg/kg weight. Assays of 7-ethoxyresorufin-Ο-deethylation(EROD),7-benzyloxyresorufin-Ο-deathylation(BROD),4-nitro-phenol-UDP-glucuronosyltransferase(UDPGT), Western blot and RNA slot blot were used as representatives of the activities of cytochrome P-450 enzymes. The change of the activity of CYP1A1 form measured by EROD assay and Western analysis using 1-7-1 monoclonal antibody was not observed. The activity CYP2B1 form by BROD assay and using 2-66-3 monoclonal antibody was remarkably increased. Elevated level of CYP2B1 mRNA was shown by slot hybridization with 2B1-specific probe. Administration of methanol extract of Hedera rhombea leaves reversed the enzyme activity and the level of mRNA, which suggest the chemoprotective effect of methanol extracts of Hedera rhombea leaves to carbon tetrachloride hepatotoxlcity.

  • PDF

식이 Capsaicin이 마우스의 주요 장기조직에서의 Proto-oncogenes Expression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Capsaicin on Proto-oncogenes Expression in Various in Mice)

  • 김정미;한인섭;김병삼;유리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1024-1030
    • /
    • 1996
  • 매운맛 성분(capsaicin, CAP)이 암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자적인 수준에서의 기초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식이 CAP의 투여가 동물 조직 중 proto-oncogene 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ICR mouse를 4 group으로 분류하여 각각 식이CAP 농도가 0, 5, 20, 100ppm이 되도록 조제한 먹이로 4주 동안 사육하였다. 사육기간 종료 후 동물들의 중요장기를 적출하여 total RNA를 분리하고, proto-oncogene(c-jun, c-myc, H-ras, erbB, p53)의 발현 수준을 slot blot hybridization assay를 통해 살펴 보았다. 이때, control probe로는 18SrRNA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c-jun proto-oncogene의 발현은 각 주요 장기조직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는데, 식이CAP 투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간과 신장에서 그 발현이 증가하며, 위에서는 CAP 20ppm까지는 c-jun의 발현이 증가하다. 100ppm 투여시에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장에서는 식이CAP 투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tumor suppressor gene인 p53의 경우, 간에서만 CAP 20, 100ppm 처리시 약하게 발현되었다. 이들 결과로 보아, 식이 CAP에 의한 proto-oncogene의 발현은 CAP 투여량에 따라 그 정도를 달리하며, 그 발현 정도는 조직 특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된다.

  • PDF

Filter Hybridization과 Solution Hybridization 방법에 의한 백서 Surfactant Protein C mRNA 정량측정의 비교 (Comparative Quantitative Study of Surfactant Protein C mRNA by Filter Hybridization and Solution Hybridization in Rats)

  • 김진호;손장원;양석철;윤호주;신동호;박성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6호
    • /
    • pp.517-529
    • /
    • 2001
  • 연구배경 : Filter hybridization이나 solution hybridization 방법들은 Northern blot나 slot blot에 비하여 빠르며 재현성이 높고 소량의 RNA를 측정할 수 있으며 한꺼번에 많은 시료들을 동시에 측정하는것이 가능하다. 방 법 : 저자들은 쥐를 대상으로 하여 SP-C mRNA를 filter hybridization과 solution hybridization 방법들로 각각 정량측정하여 방법론에 따른 분자생물학적 정도관리에 대한 관찰을 하기 위하여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1) Solution hybridization 방법에 의한 SP-C mRNA의 정량측정을 위한 RNA 검체물의 최소량은 3pg 이상이었다. 2) Solution hybridization에 쓰이는 SP-C sense mRN A input 양과 유전자 cpm과의 Y=6.46 X+244(X=SP-C mRNA 전사체 Y=cpm)였고, 양자간의 상관계수 r은 0.99로 매우 밀접한 상관성을 보였다. 3) Filter hybridization방법에 의한 SP-C mRNA의 정량측정을 위한 RNA검체물의 최소량은 0.1ng 이상이었다. 4) SP-C의 sense 전사체 0, 0.1, 0.5, 1.0, 2.5 및 5 ng에 대한 cpm과의 표준곡선은 Y=2541.6 X+252.7 (X=SP-C mRNA 전사체 Y=CPM) 이고 상관계수 r은 0.99로 매우 밀접한 상관성을 보였다. 결 론 : Solution hybridization 방법은 다른 방법에 비해 RNA input 양을 아주 소량 사용하면서도 주위에 높은 배후 방사성 산란을 보이는 비특이성 DNA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시료의 양이 한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RNA를 분석 검토하는데 매우 유용한 연구방법이며, 뿐만아니라 filter hybridization 방법은 mRNA를 정량 측정하는데 있어서 신속하고 재현성이 높으며, 한꺼번에 많은 시료들을 시행할 수 있고, 사료의 mRNA를 정량측정 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흰쥐 뇌하수체전엽 배양세포에서 GnRH 및 난소호르몬에 의한 $LH{\beta}$ subunit 유전자 발현 조절에 관한 연구 (Regulation of Luteinizing Hormone Release and Subunit mRNA by GnRH and Ovarian Steroids in Cultured Anterior Pituitary Cells)

  • 김창미;박일선;유경자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28
    • /
    • 1994
  • 흰쥐의 뇌하수체 전엽배양세포에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을 처리하였을 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GnRH농도에 비례하여 luteinizing hormone(LH)의 분비가 증가하였으며, 2시간까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GnRH를 처리하였을때 ${\alpha}$ subunit mRNA의 농도는 증가하지 않았으나 $LH{\beta}$ subunit mRNA의 농도는 GnRH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GnRH 처리후 6시간 이후부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특히 최종농도가 $2{\times}10^{-10}M$이 되도록 GnRH를 처리하였을 때 $LH{\beta}$ subunit mRNA 농도가 2.7배 정도 최대로 증가하였다. 또한 estradiol을 단독으로 또는 GnRH와 동시에 처리하였을때 LH분비가 증가하지 않았으나 progesterone을 GnRH와 동시에 처리하였을때 LH분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LH{\beta}$ subunit mRNA의 농도는 estradiol및 progesterone을 단독으로 또는 GnRH와 동시에 처리하였을때 난소호르몬 농도에 의존적으로 $LH{\beta}$ subunit mRNA의 농도가 증가하였다. Estradiol에 의한 $LH{\beta}$ subunit mRNA의 증가양상은 estrogen 길항제인 LY117018에 의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GnRH는 steady state $LH{\beta}$ subunit mRNA 농도에 영향을 미치므로써 LH분비 및 LH subunit 생합성을 조절하며 난소호르몬은 뇌하수체에 직접 작용하여 LH분비 및 LH subunit 생합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