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eep deprivation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1초

수면장애가 구강작열감 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Review about effects of sleep disturbances on Burning mouth syndrome)

  • 임현대;이유미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4호
    • /
    • pp.313-318
    • /
    • 2013
  • 수면은 외부의 자극에 대해 반응하지 않는 상태로 만성통증을 지닌 환자는 수면 장애를 겪고 있으며 수면장애는 통각과 민한 상태를 유발하고 통증인지에 영향을 미친다. 구강작열감 증후군은 구강점막에 화끈거리는 감각을 포함하는 만성 안면통증으로 감각과 통증 역치가 변성되고 신경병증 징후를 보인다. 구강작열감 증후군은 첫 번째로 국소적, 전신적 요인 즉, 흡연, 투약 등 작열감 증상의 원인으로 가능한 요인을 제거하고, 두 번째로는 환자를 안심시키는데 있다. 수면박탈 내인성, 외인성 아편유사제의 진통효과는 수면 계속성 즉, 선택적인 렘수면 박탈은 아편유사제 진통효과를 방해 하고 opioid protein synthesis 억제를 야기하고 ${\mu}$${\delta}$ opioid 수용체 친화력을 감소시킨다. enkephalinase-inhibitor와 MAO-B inhibitor 적용으로 나타나는 아편유사제의 진통상승효과는 렘수면 박탈시에 무효화 된다. 렘수면 박탈후에는 5-HT 와 5-hydroxy indole acetic acid 레벨이 유의하게 감소되고, 아편유사체에 활성에 의해 유발되는 통증억제를 지지하는 세로토닌 체계를 가능하지 않게 한다. 구강작열감 증후군은 설말단 신경섬유에서 추삭변성 변화가 있고 특히, 열자극, 냉자극 및 미각 유해수용성 자극의 인지를 포함한 감각변화가 폐경기후 생식스테로이드의 급격한 감소가 신경활성 스테로이드 생성에 변성을 일으켜며, 이것은 말초성 변성와 중추성 변성이 존재함을 제시한다. 구강작열감 증후군은 기본적으로 가능한 요인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구강작열감의 진행을 방지하고, 만정적인 작열감의 경감을 위하여 증상 경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면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만성수면부족의 사회적 영향 (Effects of Chronic Insufficient Sleep on Society)

  • 이헌정;김린
    • 수면정신생리
    • /
    • 제10권2호
    • /
    • pp.77-83
    • /
    • 2003
  • Industrialization has brought great changes in human life. Human sleep patterns have also been much influenced by industrialization and the invention of electricity and the light bulb. Insufficient sleep is a common problem with considerable health, social, and economical impacts on modern society. In this review, we will outline the present state of insufficient sleep in our society, especially catastrophic accidents related with chronic sleep insufficiency. We will discuss the effect of sleep deprivation on human performance by reviewing the literature. We will also emphasize the role of sleep specialists in this issue and highlight the areas in which the principles of sleep medicine can constructively improve public policy and public health.

  • PDF

The Association Between Weekend Catch-Up Sleep and Depression by Age Group in Korean Adults

  • Na Ryeong, Kim;Jaehyun, Han;Tae Hui, Kim
    • 정신신체의학
    • /
    • 제30권2호
    • /
    • pp.187-195
    • /
    • 2022
  • Objectives : We aimed to explore weekend catch-up sleep (CUS) by age and to find out the association between CUS and depression by the age group and weekday sleep duration (SD). Methods : Using data from the 2016-201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CUS by age of 16,174 subjects was investigated, and the depression data of 11,088 subjects were analyzed. CUS was calculated as the weekend sleep duration minus weekday sleep duration (SD). The mean of CUS and weekday SD in depression group and non-depression group was compared by early, middle, and late adulthood group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US on the depression by age group when weekday SD was insufficient. Results : The CUS tended to decrease continuously with age, the mean of CUS in the late adult group was the shortest. However, the average SD, adjusted for weekend CUS, was the shortest in the middle adulthood group. Overall, the sleep durations were shorter in the depression group than in the non-depression group, but the CUS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significantly only in the middle adulthood. The risk of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weekend CUS was less than 1hour with a short weekday SD of less than 6hours (OR 2.44, 95% CI: 1.78-3.35), and this finding was significant in all adult groups. Conclusions :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hort weekday SD and inadequate weekend CUS are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that CUS is an option to compensate for sleep deprivation and prevent depression.

수면박탈에 의한 P300 잠복기 연장과 성격요소와의 연관성 (Correlation Between the Prolongation of P300 Latency during Sleep Deprivation and Personality Variables)

  • 이헌정;전혜연;김용구;서광윤;김린
    • 수면정신생리
    • /
    • 제10권1호
    • /
    • pp.61-66
    • /
    • 2003
  • 목 적:수면박탈은 인지기능의 저하를 가져오며 이는 신 경생리학적 변화인 P300의 잠복기 연장과 진폭의 저하를 가져온다고 보고된다. 또한 이러한 수면박탈에 의한 변화 정도에 개인의 특성이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수면박탈에 의한 P300의 잠복기 연장 정도와 성격 특성의 관련성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18명의 피험자에게 37시간 동안 수면박탈이 시행되었으며, 2일간의 실험기간동안 아침 7시와 저녁 7시에 총 4차례 P300 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첫날 10시경에 MMPI와 STAI-T 검사를 시행하였다. 총 4회의 P300의 변화 중 아침, 저녁의 검사 결과끼리 paired t-test를 시행하였다. 이 결과에 기초하여 수면박탈에 의하여 P300의 잠복기 연장이 심하지 않은 군(n=9)(Group A)과 심한 군(n=9) (Group B), 두 군으로 나누었으며, 두 군의 MMPI의 각 척도 점수와 STAI-T 점수를 t-test 통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수면박탈에 의하여 유의한 P300 잠복기의 연장이 있었다(p<0.005). 그러나 진폭에 있어서는 저녁시간에만 유의한 진폭의 감소가 있었다(p<0.005). 잠복기 연장이 심한 경우(Group B)와 심하지 않은 경우(Group A)를 나누어 MMPI 각 척도 값들을 t-test 시행한 결과, Group B가 Group A에 비하여 Mf척도(t=-2.16, df=16, p=0.046)와 Pa척도(t=-2.61, df=16, p=0.019)에서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으며, F척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는 아니지만 Group B가 Group A보다 점수가 높았다(t=-2.11, df=16, p=0.052). 결 론:MMPI 소척도 중 F, Mf, Pa 척도가 높은 사람이 P300의 변화로 표현되는 수면박탈에 의한 정보처리 효율성의 저하에 취약한 것으로 보인다. 즉, F 상승으로 표현되는 주관적인 심리적 호소가 많음, Mf의 상승으로 표현되는 예민, 수동, 의존적인 면 그리고, Pa척도의 상승으로 나타나는 예민하고 투사 및 외향화하는 성격이 수면박탈에 취약하다고 추정할 수 있겠다.

  • PDF

석류 열수 추출물의 수면박탈을 유도한 Rat 모델에서의 항스트레스 효과 (Anti-Stress Effect of Punica granatum L. Extract against Sleep Deprivation-Induced Impairment)

  • 나주련;김선오;조아라;배동혁;오교녀;김용재;이유현;전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1호
    • /
    • pp.1533-1543
    • /
    • 2016
  • 수면은 하루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며, 중추신경계의 항상성 회복, 에너지 저장, 체온조절, 불필요한 기억의 제거, 면역 기능, 에너지 보존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생리현상이다. 이러한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삶의 질 저하뿐만 아니라 다양한 증상 및 질병이 야기된다. 현대인은 학업, 직장 등 다양한 요소로 인한 과도한 정신적 스트레스, 불안 또는 육체적 피로 등의 이유로 일시적 또는 장기적 수면장애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렇게 많은 현대인들이 겪는 수면장애를 예방 및 개선하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전남 비교우위 특산자원인 석류의 수면, 특히 수면박탈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in vivo 및 in vitro 상에서 확인하였다. 석류(Punica granatum L.)는 부처꽃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인도, 페르시아가 원산지이다. 석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항통증, 항염증, 에스트로젠 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 석류 추출물을 전처리한 SH-SY5Y 세포에 $H_2O_2$/corticosterone에 의한 신경세포독성을 유발하여 보호 효과를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와 lactate dehydrogenase로 측정한 결과, 유의적인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수면박탈 동물모델에서 생존율, 몸무게, 꾸벅임에서 수면박탈군과 비교하여 모두 유의적인 보호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류 추출물의 수면박탈 스트레스에 대한 행동학적 보호 효과는 스트레스의 강도에 따라 행동학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운동능력 및 인지능력은 수면박탈이 지속되어도 보호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통각 효과는 hot hyperalgesia test를 통해 스트레스가 지속될수록 무뎌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Y maze는 변경행동력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석류 추출물 투여군들의 움직임이 수면박탈군에 비하여 활발함을 확인하였다. 생화학적 변화를 확인한 결과 코티졸, 세로토닌 및 도파민, 테스토스테론 및 growth factor I의 함량은 수면박탈 스트레스에 의하여 증가하다가 석류 추출물 및 카페인에 의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항산화 관련 인자인 catalase, glutathione, superoxide dismutase를 측정한 결과, 수면박탈군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석류 추출물에 의하여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석류의 항스트레스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동물실험에서는 석류 추출물에 의하여 수면박탈 스트레스가 지속됨에 따라 감소하는 행동학적 결과들을 방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석류의 항스트레스 효과는 항산화적 측면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한민국 공군 조종사의 일일 활동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Air Force Pilot's Daily Activities)

  • 임정구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5-20
    • /
    • 2013
  • Pilots' fatigue is one of the most serious threat to flying safety. Fatigue is influenced by many factors like sleep deprivation, daily activities, aging, stress, etc.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military pilots' daily activities. 20 pilots' daily activity was monitored by activity monitor, Fitbit(R), and the survey about sleep time and flight time was conducted. They placed Fitbit(R) on their waist for 5 days. During flight, they removed Fitbit(R) that had been used for checking their steps and walking distances.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sleep time is 6.7 hours for fighter pilots. It was a little shorter than average sleep time for adults, 8 hours. Average steps per day was 6,838 which is more than sedentary worker's but less than active worker's. Their daily activities were not as high as we had expected. But their sleep time was very short. Flight surgeons should recommend them to take a rest and get sleep during rest period.

주기성 사지운동장애와 사망률 (Periodic Limb Movement Disorder and Mortality)

  • 최재원
    • 수면정신생리
    • /
    • 제30권1호
    • /
    • pp.3-8
    • /
    • 2023
  • Periodic limb movement disorder (PLMD) is a sleep-related movement disorder characterized by involuntary, rhythmic limb movements during sleep. While PLMD itself is not considered life-threatening, its association with certain underlying health conditions raises concerns about mortality risks. PLMD has been found to be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The fragmented sleep caused by the repetitive limb movements and associated arousals may contribute to sympathetic activation, chronic sleep disruption, sleep deprivation, and subsequent cardiovascular problems, which can increase mortality risks. The comorbidities and health factors commonly associated with PLMD, such as obesity, diabetes, and chronic kidney disease, may also contribute to increased mortality risks. PLMD is often observed alongside other neurological disorders, including restless legs syndrome (RLS) and Parkinson's disease. The presence of PLMD in these conditions may exacerbate the underlying health issues and potentially contribute to higher mortality rate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lucidate the specific mechanisms linking PLMD to mortality risks and to develop targeted interventions that address these risks.

Sleep deprivation induces structural changes in the adult rat testis: The protective effects of olive oil

  • Fatemeh Karimi;Ali Noorafshan;Saied Karbalay-Doust;Maryam Naseh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50권1호
    • /
    • pp.19-25
    • /
    • 2023
  • Objective: Sleep deprivation (SD) is a common problem in today's stressful lifestyle and have physiological consequences, including reproductive dysfunction and infertility. As an antioxidant, olive oil may be effective in reducing testicular and spermatological damage by decreasing the production of free radicals.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olive oil on sperm quality and testicular structure using stereological methods to assess rats with SD. Results: When comparing SD group to grid floor+distilled water (GR) group, we found that the sperm count and motility, as well as the percentage of slow progressive sperm was significantly lower in SD group (p<0.05), but the percentage of immotile sperm was higher (p<0.01). However, no improvement was observed in sperm count or motility after concomitant treatment of SD group with olive oil. Stereological examinations revealed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total volumes of the seminiferous tubules, interstitial tissue, and germinal epithelium in the study groups. Conversely, the total number of testicular cell types was significantly lower in SD group than in GR group. Although the total number of Sertoli and Leydig cell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 +olive oil group than in the untreated SD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number of other testicular cell types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SD potentially induced structural changes in testis that affected sperm count and motility. However, olive oil only improved the total number of Sertoli and Leydig cells in the animals with SD and did not improve sperm count and motility.

기질적 뇌병변에 의한 간질환자에서 수면이 간질파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 통상적 뇌파 분석 (Effect of Sleep on Epileptiform Discharges in Epileptic Patients with Structural Lesion : Based on Routine EEG)

  • 이세진;하정상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107-118
    • /
    • 2007
  • 기질적 뇌병변에 의한 부분 간질환자에서 수면이 간질파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기질적 뇌병변에 의한 부분 간질환자 16명과 뇌병변이 없는 34명을 대상으로 50% 수면박탈 후에 통상적인 각성뇌파와 수면뇌파를 동시에 기록하였다. 각성 간질파 지수, 수면 간질파 지수 및 수면에 의한 간질파 지수의 증가율을 구한 후에 기질적 병변의 유무, 발작 및 간질의 종류, 야간 수면 발작의 유무, 이차적 전신성 발작의 유무, 항경련제의 복용 여부, 환자의 나이 및 간질의 발병 연령과 유병 기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1. NREM 수면 기간에 간질파의 발생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기질적인 뇌병변의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p<0.05). 2. 수면 기간 중 간질파의 증가는 이차적 전신발작의 빈도, 간질 및 발작의 종류, 야간 수면 발작의 빈도, 항경련제 복용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전체 50명 가운데 13명(26%) 에서는 수면 상태에서만 간질파가 관찰되었고, 1명(2%) 에서는 각성 상태에서만 간질파가 관찰되었다. 4. 대상 환자 50명 가운데 44명(88%)에서 수면 간질파 지수가 높았고, 5명(10%)에서는 각성 간질파 지수가 높았다(p<0.01).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기질적 뇌병변을 가진 부분 간질환자에서 통상적인 외래 뇌파검사의 진단율을 높이고 간질파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수면박탈 후에 각성 상태뿐만 아니라 NREM 수면 상태의 뇌파를 기록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일부 중·고등학생 수면의 질 및 관련요인 (Related Factors of Sleep Quality among Som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안치영;김은영;홍지영;김현수;이무식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3-56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sleep quality and related factors among som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one metropolitan city, Korea. Methods: The subjects were 480 high school students and 350 middle school students. Survey questions are based on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to measure the quality of sleep and also includ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sleep. PASW Statistics 20.0(Korean version) was used to carry out analysis. Results: Noise and stress show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s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sleep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vidual characteristics was related to quality of sleep in only high school student.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noise and stress had a great correlation with the quality of sleep. Social consciousness and policies were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sleep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