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n layer

검색결과 669건 처리시간 0.027초

스쿠지카섬모충에 중감염된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치어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관찰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fingerlings of Japanes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with severe scuticociliatosis)

  • 이남실;박정희;한규식;허민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1-160
    • /
    • 1994
  • 스쿠지카섬모충(Scuticociliatid) 감염에 따르는 어체조직의 조직학적 손상유형과 심부조직으로의 이행 경로를 규명하기 위하여 중감염된 빈사상태의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치어 18 마리를 대상으로 전 장기 및 조직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피부 및 하부의 골격근조직은 다수의 스쿠지카충의 침입에 기인하여 심한 변성 또는 괴사소견과 함께 대식구의 침윤이 현저하였다. 비교적 초기병변에서는 치밀결합조직인 진피나 골격근섬유의 변성보다 이들을 지지하는 소성결합조직성분이 더욱 심한 변성소견을 보였다. 이들 병변부내 또는 병변부와 격리된 소성결합조직내의 혈관 또는 임파공간내에 수개의 충체가 확인되었다. 신경다발과 신경절내 또는 주위 소성결합조직내에 다수의 충체침입이 확인되었으나 실질의 조직학적 이상은 비교적 경미하였다. 뇌 및 척수의 경막하강에 다수의 충체밀집과 함께 신경실질을 포함한 인접조직은 경도 내지 심한 괴사소견을 보였으며 충체의 침입부위는 피질역에 주로 한정되어 있었다. 각종 아가미관련조직에서 섬모충의 기생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소성결합조직은 다수의 충체침입으로 심한 변성소견을 수반하였으며, 특히 새궁 및 일차새변의 혈관내에서 충체가 인정되었다. 본 병리학적 검사결과에서 넙치치어에서의 스쿠지카섬모충은 어체내 침입 후 실질조직보다 소성 결합조직을 우선적으로 파괴하는 동시에 결합조직내의 혈관 또는 임파관으로 쉽게 이행하여 단시간내에 심부조직으로 확산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어린 숭어(Mugil cephalus)의 염분농도별 성장과 생존을 비교 (Comparison of Growth and Survival Rates of Juvenile Grey Mullets (Mugil cephalus) in Different Salinities)

  • 장영진;이영춘;이복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11-320
    • /
    • 1996
  • 어린 숭어, Mugil cephalus에 대한 저염분 해수 및 담수 사육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장 $4.8{\pm}0.6$ cm, 체중 $1.0{\pm}0.3$ g 및 전장 $13.6{\pm}0.2$ cm, 체중 $20.0{\pm}0.5$ g의 2군을 대상으로 염분농도별 성장과 생존율을 조사하고, 산소소비량 및 피부의 두께 등을 측정하여 생리활성을 서로 비교하였다. 1, 2차 실험 모두에서 $25\~75\%SW$의 저염 분구가 성장과 생존에 있어 $100\%SW$보다 좋은 편이었다. 그러나, 단계적 순치과정을 거치지 않고 $100\%SW$로부터 $0\%SW$로의 급격한 염분변화는 어체의 성장 및 생존율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일간사료섭식률은 $25\%SW$에서 $3.6{\pm}0.8\%$로 가장 높았다. 식욕에 있어서는 $50\%SW$에서 가장 높았다. 일간성장률은 $25\%\;SW$에서 가장 좋았고 ($2.7{\pm}0.9\%$), 다음으로 $50\%SW,\;100\%SW,\;0\%SW$이 순으로 나타났다. 염분에 따른 각 실험구별 어체의 표피와 진피의 두께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지방층은 $0\%SW$의 실험어에서 $50\%SW$$100\%SW$의 숭어 보다 유의하게 두꺼웠다. 숭어의 산소소비량은 염분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유의하게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염분농도별 숭어의 저산소 내성은 $0\%SW$에서 비교적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산돌배나무(Pyrus ussuriensis) 잎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the Fraction Isolated from Pyrus ussuriensis Leaves)

  • 이창언;김영훈;이병근;이도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6호
    • /
    • pp.885-890
    • /
    • 2010
  • 본 연구는 산돌배나무(Pyrus ussuriensis) 잎에서 추출한 분획물의 항산화능을 조사하여 화장품소재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산돌배나무 잎을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60% acetone-$H_2O$(6:4, v/v)로 추출하고, 아세톤 가용부를 분획하여 동결건조 시켰다. 아세톤 및 물 가용부를 Sephadex LH-20으로 충진한 칼럼에서 메탄올 MeOH을 용출용매로 사용하여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고 또한 MeOH를 전개용매로 사용한 MICgel을 이용했다. 단리된 화합물들은 Silica-gel TLC로 확인하였다. 폴리페놀 함량은 산돌배나무 잎의 아세톤 분획물에서 914 mg/g으로 정량되어 높은 함량이었다. 산돌배나무 잎의 아세톤 분획물을 이용하여 항산화효과를 분석하여 얻은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공여능의 경우 산돌배나무 잎의 아세톤 분획물의 100 ppm농도에서 80%이상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산돌배나무 잎의 아세톤 분획물 중 한 분획물의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활성은 1000 ppm에서 77%의 활성을 보였다. 분획물의 Xanthine oxidase 저해능은 10 ppm에서 38%의 저해률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산돌배나무 잎의 아세톤 분획물은 항산화효과를 가진 천연소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체장애 평가에서 유방의 법적 지위 - 장기 해당 여부, 수유장애, 노동력상실에 대하여 - (The legal status of the breast in assessing physical disability)

  • 김봉겸
    • 의료법학
    • /
    • 제18권1호
    • /
    • pp.265-295
    • /
    • 2017
  • 최근 들어서면서 유방에 대한 수술이 종류가 확대술 축소술 재건술로 대별되고 다양해지면서 이에 따른 원치 않은 수술성과에 대한 분쟁이 증가상태에 있으며, 이로 인한 배보상 문제가 최종적으로 대두되면서, '원치 않은 수술성과'를 '수술 후의 문제점' 보다는 "장애'로 보는 관점이 증가되면서, 신체장애 평가에서 유방의 흉부 장기 해당 여부에 따른 노동력상실률이 직접적으로 거론되기에 이에 대한 견해를 발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법령에서 나오는 용어의 사전적 정의 및 의학적 제반 사항을 살펴보았다. 흉부 장기에 유방 포함 여부의 혼란은 용어 선정 후 그 해석이 시대 변화와 맞물려 유발된 것으로 생각된다. 법령에서의 자구 해석을 살펴보면, 유방은 흉부 장기에 해당되지 못함으로 규정된 것으로 사료되며, 수유장애는 낮은 출산율과 실제로 모유수유하는 경우가 현저하게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다수의 의견이라고 주장 강조함이 약화되고 있으며, 모유수유를 노동으로 볼 수 있는 유모로서의 직업도 현재 존재하는지 조차 모르는 실정이다. 이런 이유로, 유방을 흉복부 장기 해당 여부에 대한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서, 포함시키려면, (1) 법령집의 용어를 교체하거나(흉복부 장기에서 (ㄱ) 흉복부를 '흉복부 및 흉복강'으로 그리고 (ㄴ) 장기를 '장기 및 기관'으로), (2) 여러 법령에서 용어 변경은 어렵기 때문에,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규칙 [별표 제5호] 신체부위별 장해등급 판정에 관한 세부기준(제48조 관련)"에 유방을 예외적으로 포함시키면 될 것이라고 생각해 본다. 그러나 피부부속기관인 유방을 흉복부 기관 혹은 예외적으로 포함시키면, 당연히 다른 피부부속기관도 포함시켜야 하는 모순관계가 도출되는 문제가 있다고 사료된다. 반면 완전히 배제시키려면, (1) '흉복부'를 '흉복강'으로 하거나, (2) "유방은 제외된다"라는 단서 조항만 삽입하면 될 것이라고 생각해 본다. 법 앞에 만인이 평등하다 하지만 만인 앞에 법이 평등하기 위해서는, 즉 새로운 해석과 판결을 위해서는 사회적인 합의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ffect of Hominis Placenta on cutaneous wound healing in normal and diabetic mice

  • Park, Ji-Yeun;Lee, Jiyoung;Jeong, Minsu;Min, Seorim;Kim, Song-Yi;Lee, Hyejung;Lim, Yunsook;Park, Hi-Jo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8권4호
    • /
    • pp.404-409
    • /
    • 2014
  • BACKGROUND/OBJECTIVES: The number of diabetic patients has recently shown a rapid increase, and delayed wound healing is a major clinical complication in diabetes. In this study, the wound healing effect of Hominis placenta (HP) treatment was investigated in normal and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MATERIALS/METHODS: Four full thickness wounds were created using a 4 mm biopsy punch on the dorsum. HP was injected subcutaneously at the middle region of the upper and lower wounds. Wounds were digitally photographed and wound size was measured every other day until the 14th day. Wound closure rate was analyzed using CANVAS 7SE software. Wound tissues were collected on days 2, 6, and 14 after wounding for H/E, immunohistochemistry for FGF2, and Masson's trichrome staining for collagen study. RESULTS: Significantly faster wound closure rates were observed in the HP treated group than in normal and diabetes control mice on days 6 and 8. Treatment with HP resulted in reduced localization of inflammatory cells in wounded skin at day 6 in normal mice and at day 14 in diabetic mice (P < 0.01). Expression of fibroblast growth factor (FGF) 2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HP treated group on day 14 in both normal (P < 0.01) and diabetic mice (P < 0.05). In addition, HP treated groups showed a thicker collagen layer than no treatment groups, which was remarkable on the last day, day 14, in both normal and diabetic mice. CONCLUSIONS: Taken together, HP treatment has a beneficial effect on acceleration of cutaneous wound healing via regulation of the entire wound healing process, including inflammation, proliferation, and remodeling.

수치해석을 이용한 파형 마이크로파일의 지지거동 분석 (Evaluation of Bearing Capacity of Waveform Micropile by Numerical Analyses)

  • 한진태;김성렬;장영은;이승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906-5914
    • /
    • 2013
  • 최근 국내에서 철도부지 상부에 인공지반을 구축하고, 인공지반 위에 복합주거타운을 건설하는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이에 상부 구조물 및 인공지반을 지지할 수 있는 적합한 기초형식이 요구되는데, 철로와 철로 사이의 좁은 공간에 급속 시공 가능한 기초 형식 중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마이크로파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주기초로 마이크로파일이 사용될 경우 기초 시공비가 크게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파일의 경제성 및 지지력을 향상시키면서 철도상부 인공지반에 적합한 신개념 마이크로파일을 제안하였다. 신개념 마이크로파일은 지반을 Jet Grouting 공법을 이용하여 지반의 일정 영역을 고결시킨 뒤 강봉을 시공하는 방법에 Jet Grouting 시 말뚝체를 파형(waveform)의 형상으로 시공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기존 마이크로파일 대비 말뚝의 전체 길이를 줄여 경제성을 높이고자 한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 축대칭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이러한 파형 마이크로 파일의 지지거동을 분석하였다. 해석 결과 파형 마이크로파일은 일반 마이크로파일에 비해 길이가 15% 정도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설계하중에서 변위가 감소하여 지지력 및 경제성 측면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파형 마이크로파일의 요철에 의한 주면 마찰력 증가효과는 상대적으로 연약한 토층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다.

A Multicenter Noncomparative Clinical Study on Midface Rejuvenation Using a Nonabsorbable Polypropylene Mesh: Evaluation of Efficacy and Safety

  • Pak, Chang Sik;Chang, Lan Sook;Lee, Hobin;Jeong, Jae Hoon;Jeong, Jinwook;Yoon, Eul-Sik;Heo, Chan Yeong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2권5호
    • /
    • pp.572-579
    • /
    • 2015
  • Background Facial rejuvenation can be achieved using a variety of techniques. Since minimally invasive procedures for face lifting have become popular because of their convenience and short operating time, numerous minimally invasive surgical procedures have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a nonabsorbable polypropylene mesh is introduced as a new face lifting instrument, with the nasolabial fold as the main target area. In this paper, we report the efficacy and safety of a polypropylene mesh in midface rejuvenation. Methods Thirty-three subjects with moderate-to-severe nasolabial folds were enrolled from two medical institutions for a noncomparative single-sample study. A mesh was inserted above the superficial muscular aponeurotic system layer, reaching the nasolabial folds through a temporal scalp incision. After 3 weeks, the temporal end of the mesh was pulled to provide a lifting effect. Then, the mesh was fixed to the deep temporal fascia using nonabsorbable sutures. To evaluate efficacy, we compared the scores on the Wrinkle Severity Rating Scale and a visual analog scale for patient satisfaction between the baseline and 7 weeks postoperatively. In addition, we evaluated safety based on the incidence of adverse events. Results The treatment was deemed effective at improving wrinkles in 23 of 28 cases, and patient satisfaction improved significantly during the study period. There were seven cases of skin or subcutaneous tissue complications, including edema and erythema, but there were no suspected serious adverse events. Conclusions Face lifting using a nonabsorbable mesh can improve nasolabial folds without serious adverse effects. Thus, this technique is safe and effective for midface rejuvenation.

Research on the Multi-electrode Plasma Discharge for the Large Area PECVD Processing

  • Lee, Yun-Seong;You, Dae-Ho;Seol, You-Bin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2년도 제42회 동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478-478
    • /
    • 2012
  • Recently, there are many researches in order to increase the deposition rate (D/R) and improve film uniformity and quality in the deposition of microcrystalline silicon thin film. These two factors are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fabrication of the thin film solar cell, and for the purpose of that, several process conditions, including the large area electrode (more than 1.1 X 1.3 (m2)), higher pressure (1 ~ 10 (Torr)), and very high frequency regime (VHF, 40 ~ 100 (MHz)), have been needed. But, in the case of large-area capacitively coupled discharges (CCP) driven at frequencies higher than the usual RF (13.56 (MHz)) frequency, the standing wave and skin effects should be the critical problems for obtaining the good plasma uniformity, and the ion damage on the thin film layer due to the high voltage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bulk plasma might cause the defects which degrade the film quality. In this study, we will propose the new concept of the large-area multi-electrode (a new multi-electrode concept for the large-area plasma source), which consists of a series of electrodes and grounds arranged by turns. The experimental results with this new electrode showed the processing performances of high D/R (1 ~ 2 (nm/sec)), controllable crystallinity (~70% and controllable), and good uniformity (less than 10%) at the conditions of the relatively high frequency of 40 MHz in the large-area electrode of 280 X 540 mm2. And, we also observed the SEM images of the deposited thin film at the conditions of peeling, normal microcrystalline, and powder formation, and discussed the mechanisms of the crystal formation and voids generation in the film in order to try the enhancement of the film quality compared to the cases of normal VHF capacitive discharges. Also, we will discuss the relation between the processing parameters (including gap length between electrode and substrate, operating pressure) and the processing results (D/R and crystallinity) with the process condition map for ${\mu}c$-Si:H formation at a fixed input power and gas flow rate. Finally, we will discuss the potential of the multi-electrode of the 3.5G-class large-area plasma processing (650 X 550 (mm2) to the possibility of the expansion of the new electrode concept to 8G class large-area plasma processing and the additional issues in order to improve the process efficiency.

  • PDF

화장품에 사용되는 백색분체의 미세구조와 실리카의 특성 (Property of Silica and Fine Structure of Cosmetic White Powders)

  • 전명옥;장병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42권2호
    • /
    • pp.87-93
    • /
    • 2012
  • 본 연구는 색조화장품에 사용되는 실리카, 이산화티탄, 탈크, 카올린과 BB크림 화장품에서 분리한 혼합물의 미세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카올린은 판상의 다각형 구조로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고 있었고 가장자리는 탈크의 경계면과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모양을 하고 있었다. 또한 여러 겹의 층으로 형성된 덩어리에서 각 층의 두께는 약 $0.1{\mu}M$로 측정되었다. 탈크는 아주 얇은 박편상으로 이들 박편들이 층을 이루고 있는 덩어리 형태로 관찰되었다. 이들 얇은 판상의 탈크 경계면은 뾰족하거나 각이진 형태로 관찰되었으며 박편두께는 약 600 nm로 관찰되었다. 카올린과 탈크의 박편두께를 비교하였을 때 카올린 박편의 두께가 두꺼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산화티탄은 직경이 0.2~0.3 ${\mu}M$로 측정되었고 입자 표면이 부드러운 입방형의 형태를 하고 있었다. 실리카는 구형의 형태로 크기가 200 nm에서부터 $15{\mu}M$까지 아주 다양한 크기로 관찰되었다. BB크림 화장품에서 무기안료들을 관찰한 결과 실리카는 균질하게 분산되어 있었고 이들 사이에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탈크, 카올린, 이산화티탄, 산화철 등이 채워져 있었다. 결론적으로 색조화장품에서 실리카는 피부에 화장막을 형성하는 최소한의 두께로 작용한다.

대식세포 내에서의 홍화자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arthamus tinctorious Seed Extracts in Raw 264.7 cells)

  • 김동희;황은영;손준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5-6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홍화자 추출물이 항염증에 대한 실험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것에 착안하여 LPS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로부터 유도되는 염증반응에 대한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홍화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 염증에 대하여 연구를 하였다. 산화질소와 cytokine의 생산은 면역세포의 대표적인 염증인자이다. 세포는 LPS 처리 후 한 시간 뒤에 홍화자 추출물을 처리를 하였다.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농도인 5, 10, 25 및 50 ${\mu}g/ml$를 사용하였다. 홍화자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NO, $PGE_2$, TNF-${\alpha}$, IL-$1{\beta}$, IL-6, iNOS, COX-2의 생성을 저해 시켰다. $PGE_2$는 50 ${\mu}g/ml$의 농도에서 60%에 가까운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iNOS와 COX-2 역시 ${\mu}g/ml$의 농도에서 각각 54%, 65%가 저해가 되었다. 게다가 홍화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alpha}$, IL-$1{\beta}$, IL-6의 생성을 감소 시켰다. 이러한 결과로 홍화자 추출물은 염증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