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eletal class 3 malocclusion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23초

Comparative evaluation of molar distalization therapy using pendulum and distal screw appliances

  • Caprioglio, Alberto;Cafagna, Alessandra;Fontana, Mattia;Cozzani, Maur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171-179
    • /
    • 2015
  • Objective: To compare dentoalveolar and skeletal changes produced by the pendulum appliance (PA) and the distal screw appliance (DS) in Class II patients. Methods: Forty-three patients (19 men, 24 women) with Class II malocclusion were retrospectively selected for the study. Twenty-four patients (mean age, $12.2{\pm}1.5years$) were treated with the PA, and 19 patients (mean age, $11.3{\pm}1.9years$) were treated with the DS. The mean distalization time was 7 months for the PA group and 9 months for the DS group. Lateral cephalograms were obtained at T1, before treatment, and at T2, the end of distalization. A Mann-Whitney U 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comparisons of the two groups between T1 and T2. Results: PA and DS were equally effective in distalizing maxillary molars (4.7 mm and 4.2 mm, respectively) between T1 and T2; however, the maxillary first molars showed less distal tipping in the DS group than in the PA group ($3.2^{\circ}$ vs. $9.0^{\circ}$, respectively). Moreover, significant premolar anchorage loss (2.7 mm) and incisor proclination ($5.0^{\circ}$) were noted in the PA group, whereas premolar distal movement (1.9 mm) and no significant changes at the incisor ($0.1^{\circ}$) were observed in the DS group. No significant sagittal or vertical skeletal changes were detected between the two groups during the distalization phase. Conclusions: PA and DS seem to be equally effective in distalizing maxillary molars; however, greater distal molar tipping and premolar anchorage loss can be expected using PA.

20년전 악교정수술을 받았던 환자의 심한 전치부 반대교합의 해결을 위한 임플란트 치료 증례 (Implant treatment on anterior cross-bite of a patient who had orthognathic surgery 20 years ago)

  • 박광만;이성복;이석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45-253
    • /
    • 2019
  • 골격성 3급 부정교합의 악교정 수술로 구강기능과 안모를 개선할 수 있다. 악골부조화가 클수록 술전 교정치료에 의한 치아 이동량이 더욱 커지기 때문에 치주조직에도 큰 변화를 줄 수 있는데, 특히 하악 전치부 치주조직의 파괴가 주로 발생된다. 이 보고는 20년전 골격성 3급 부정교합과 하악전돌로 악교정수술을 받은 후 하악 전치부의 심한 동요 및 반대교합의 해결을 위해 내원한 49세 여성환자의 증례로, Face Hunter, Plane System 및 ARCUS digma II를 이용하여 Top-Down concept의 개인 맞춤형 분석으로 치료계획을 수립하였다. 하악 전치부 발치를 동반한 순측 치조골 성형술과 임플란트 식립 후 즉시임시치관에 의한 즉시부하를 시행하였다. 최종 보철물은 CAD/CAM에 의한 Zirconia 수복물로 제작 후 구강 내에서 나사유지형으로 장착하였다. 6개월이 경과한 현재까지 보철물의 파절과 동요 등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기능 및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구조적 대응체 분석법에 의한 골격성 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악교정 수술전후의 비교 (A Comparison of pre and post-surgical characteristics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using counterpart analysis)

  • 손병화;경승현;김범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3-107
    • /
    • 2004
  • Enlow의 구조적 대응체 분석법은 다수의 평균에 의한 정상치와 비교하는 분석법과는 달리 개개인에서 두 개안면의 구성양상이 발달되어온 해부학적, 발육학적 특징의 복합체를 설명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악교정 수술을 시행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 80명(남자 40명, 여자 40명)을 대상으로 구조적 대응체 분석법을 이용하여 수술 전후를 비교하고, 정상교합자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술에 의해서 주로 하악지 전후방 길이(B3)가 감소되어 상하악의 전후방적 부조화가 해소되었다. 2. 수술에 의해서 하악지의 배열(R3, R4)이 후방으로 재배열되었으며 교합평면(R5)은 후하방으로 회전되었다. 3. 수술후와 정상교합자의 비교결과 수술후에 골격성 III급 양상은 해소되었으나 두개저수준(R1, R2)에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4. 수술방법에 따른 비교결과 양악수술은 상악골의 길이(A4), 하악지의 배열(R3, R4), 교합평면의 각도(R5)에서 하악수술과 차이를 보였으나 두 그룹간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한국인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특징을 살펴본 지난 연구에서 골격적 원인은 두개저의 후상방회전, 상악골의 후방위치, 하악지의 전방경사, 하악골체부의 길이증가였는데 본 연구 결과 실제 수술에서 개선되는 요소는 주로 하악지의 전후방 길이 감소, 상악골의 전진이기 때문에 상대적인 개선으로 골격성 III급 양상이 해소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실제적인 수술부위가 상악골과 하악골의 일부에 국한되기 때문이다.

구내 장치 종류에 따른 facemask의 효과 비교 : bonded expander와 Hyrax (Facemask Effects in Two Types of Intraoral Appliances : Bonded Expander vs. Hyrax)

  • 박찬영;박기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45-5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3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facemask를 이용한 악정형치료 시, 고정원으로 사용하기 위해 장착되는 구내 장치의 종류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3급 부정교합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악정형치료를 평균 12개월 동안 시행하였으며, 이 중 9명은 구내 장치로 bonded expander를, 9명은 Hyrax를 사용하였다. 치료 시작 전, 그리고 치료 직후에 측면 두부방사선사진을 촬영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고정원 소실 정도를 조사하고, 장치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악정형치료 효과에서는 두 군 모두 뚜렷한 개선을 보였고,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각 구내 장치 모두 어느 정도의 고정원 소실량은 존재하였지만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Facemask는 성장기 3급 부정교합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며, 구내 장치로 사용된 bonded expander와 Hyrax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Multiscale Clustering and Profile Visualization of Malocclusion in Korean Orthodontic Patients : Cluster Analysis of Malocclusion

  • Jeong, Seo-Rin;Kim, Sehyun;Kim, Soo Yong;Lim, Sung-H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43권2호
    • /
    • pp.101-111
    • /
    • 2018
  • Understanding the classification of malocclusion is a crucial issue in Orthodontics. It can also help us to diagnose, treat, and understand malocclusion to establish a standard for definite class of patient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k-means algorithms have been emerging as data analytic methods for cephalometric measurements, due to their intuitive concepts and application potentials. This study analyzed the macro- and meso-scale classification structure and feature basis vectors of 1020 (415 male, 605 female; mean age, 25 years) orthodontic patients using statistical preprocessing, PCA, random matrix theory (RMT) and k-means algorithms. RMT results show that 7 principal components (PCs) are significant standard in the extraction of features. Using k-means algorithms, 3 and 6 clusters were identified and the axes of PC1~3 were determined to be significant for patient classification. Macro-scale classification denotes skeletal Class I, II, III and PC1 means anteroposterior discrepancy of the maxilla and mandible and mandibular position. PC2 and PC3 means vertical pattern and maxillary position respectively; they played significant roles in the meso-scale classification. In conclusion, the typical patient profile (TPP) of each class showed that the data-based classification corresponds with the clinical classification of orthodontic patients. This data-based study can provide insight into the development of new diagnostic classifications.

OVERBITE와 안두개 복합체의 골격성 요소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SHIP BETWEEN OVERBITE DEPTH AND SKELETAL FACTORS OF CRANIOFACIAL COMPLEX)

  • 이태준;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79-289
    • /
    • 1985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find out the factor highly correlated to the depth of overbite among the skeletal factors of the craniofacial complex using lateral roentgenocephalograms. The subjects cconsited of fifty normal occlusions, sixty Class I malocclusions, sixty Class II division I malocclustions and sixty Class III malocclus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ns-Go-Me angle and lower genial angle showed high correlation to the depth of overbite in the total malocclusion sample. 2. The mean values of Ans-Go-Me angle and lower goinal angle for the normal sample were $49.8^{\circ}\;and\;75.6^{\circ}$, respectively. 3. Ans-Go-Me angle above $56^{\circ}$ or lower gonial angle above $84^{\circ}$ indicated a tendency toward an openbite. Conversely, Ans-Go-Me angle below $48^{\circ}$ or lower goinal angle below $73^{\circ}$ indicated a tendency toward a deepbite.

  • PDF

상악 중절치 결손을 동반한 골격성 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치험예 (THE CASE REPORT OF THE SKELETAL ANGLE'S CLASS II MALOCCLUSION WITH THE UPPER CENTRAL INCISOR MISSING)

  • 조명숙;김종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5-153
    • /
    • 1989
  • The causes of the missing teeth are classified as congenital missing, trauma and extraction due to dental caries, variable problems are occured clinically by the missing teeth. The missing of the upper incisors especially would assume a serious aspect, and could be treated by three methods of orthodontic treatment, prosthodontic treatment and autotransplantation of the premolar teeth. The patient of this report had the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with the left upper central incisor missing, and have been treated with the fixed appliance after extraction of the right upper central incisor and both lower second premolars.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Treatment was done for 1 year 6 months. 2. Normal overbite and overjet were achieved. 3. Cuspal interdigitation was obtained normally. 4. Space problem was resolved with resin restoration of the upper lateral incisors. 5. The upper canines were used as the upper laterals after cuspal contouring. 6. Retention would be required with adequate retainers for a long time to prevent relapsing after treatment.

  • PDF

FR-III를 이용한 3급 부정교합 환자의 치험례 (THE TREATMENT OF CLASS III MALOCCLUSION USING FR-III)

  • 곽아람;박재홍;최성철;김광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45-350
    • /
    • 2008
  • 반대교합은 교두간섭이나 유구치의 조기상실 등에 의해 하악이 기능적인 전방위로 위치된 기능성 반대교합과 하악골의 과성장, 상악골의 열성장 또는 양자가 복합된 골격성 반대교합, 구치부의 관계는 1급이나 전치부의 치축경사가 조화를 이루지 못해 발생되는 치성 반대교합으로 분류된다. 1970년 Rolf Frankel에 의해 소개된 Functional regulator(FR)의 한 종류인 FR-III는 상악의 열성장을 동반한 반대교합을 개선하기 위해 유치열기, 혼합치열기, 및 초기 영구치열기에 사용되고 있다. 이 장치는 비정상적인 근육력을 차단하여 구강내 치열 및 악궁에 대한 힘의 불균형 상태를 개선하고, 구강주위의 근육을 훈련시켜 새로 형성된 힘의 균형에 의해 이차적으로 악안면골의 크기와 형태를 변화시킨다. 본 증례는 상악 중절치가 맹출하기 전에 미약한 상악 열성장과 전치부의 깊은 교합을 동반한 전치부 반대교합을 FRIII로 치료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수직적 안면골격형태와 교합평면과의 관계 (Interrelationships between occlusal plane angle and vertical skeletal patterns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ndividuals)

  • 정우준;손우성;김용덕;김성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60-271
    • /
    • 2007
  • 본 연구는 악교정 수술을 필요로 하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두개안면형태와 교합평면이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악교정 수술을 시행하기로 계획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90명의 초진 시 측모 두부 방사선계측사진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다. 전치부 피개량에 따라서 positive overbite (PO) group, edge to edge bite (EO) group, negative overbite (NO) group의 세 군으로 분류를 하였으며, 각 군의 골격관계와 상하악 제1소구치와 제1대구치의 교두의 접촉점을 연결한 기능교합평면과의 관계에 대한 항목을 계측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각 군 간의 분류와 상관없이 전치부 피개 교합의 변화에 대해서 saddle angle, articular angle, Y axis, AFH, SN-FH, SN-Mn, FH-Mn 항목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특히, 상악 전치부는 기능교합평면에 대한 각도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하악 전치부는 FH 평면에 대한 각도에서 각 군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안면 골격 계측 항목과 상하악골에 대한 기능교합평면의 각도 항목들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상하악골의 이개 정도를 나타내는 Mx-Mn 항목이 모든 군에서 유사한 정도로 기능교합평면 각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를 이용하여 Mx-Mn 항목의 변화에 따라서 FH-Occ, Mx-Occ, Mn-Occ 항목이 어느 정도의 변화를 일으키는지를 알아보고자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결정계수가 각각 0.714, 0.560, 0.677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기능교합평면의 형성은 상하악골의 골격적인 수직이개 정도와 깊은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 부정교합 환자의 분포양상 (Distribution of Pediatric Malocclusion Patient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 이소피아;송지수;신터전;김영재;김정욱;장기택;현홍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40-150
    • /
    • 2021
  • 이번 연구는 2017 - 2019년에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교정 진단을 받은 5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 연구는 소아치과에 내원하는 교정환자의 골격 형태를 측모두부방사선 분석으로 파악하고 골격 형태와 관련된 임상적 특징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골격 형태에 따라 행해진 치료방법에 대해 조사하여 임상의가 교정치료 계획 수립시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연령분포는 7세 연령군이 교정진단을 받은 환자 중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하였다. 골격분포는 골격성 1급 부정교합이 54.2%로 가장 많았고 2급은 22.2%, 3급은 23.6%를 차지하였다. 골격성 1급의 경우 상하악 모두 후퇴인 환자가 34.4%, 골격성 2급의 경우 상악은 정상범주이나 하악이 후퇴인 경우가 39.5%, 골격성 3급의 경우 상악 후퇴 및 하악 전돌이 35.0%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수직적 골격형태는 brachyfacial type이 55%으로 가장 많았고 mesofacial type은 31.9%, dolichofacial type은 13.1%로 나타났다. 전체 환자 중 43.3%가 전치부 반대교합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