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ze fit

검색결과 800건 처리시간 0.038초

포장조건에서 Kinetic Models로부터 산출한 Benfuresate 및 Oxolinic Acid의 토양중 반감기 비교평가 (Comparative Assessment of the Half-lives of Benfuresate and Oxolinic Acid Estimated from Kinetic Models Under Field Soil Conditions)

  • 양재의;박동식;한대성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02-311
    • /
    • 1995
  • Benfuresate 및 oxolinic acid를 공시농약으로 선정하여 포장조건하에서 각각의 농약을 토성이 다른 논 및 밭토양에 시용하여 시기별로 잔류량을 측정한후 6가지 kinetic models을 도입하여 잔류유형을 나타내는 최적(最適) model을 선정하고 각 model로부터 구한 반감기를 비교 평가했다. Benfuresate 및 oxolinic acid의 잔류유형은 6가지 model에 의해 유의성 있게 설명되고 있었으나 $t\frac{1}{2}$ 산출을 위해 Power Function(PF), Elovich(EL), Parabolic(PB)등의 경험식을 적용하는것은 무리가 있었다. 실험식중 결정계수($r^2$), 표준오차(SE) 및 유의성을 기준으로 평가할 때 second-order(SO)>first-order(FO)>zero-order(ZO) kinetic model 순(順)이었다. 그러나 FO model의 경우, single FO kinetics 보다는 빠른 분해단계와 느린 분해단계로 구성된 multiple FO kinetics model이 잔류유형을 더 유의성있게 나타냈고, 이 경우 SO model과 비슷한 $r^2$값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2가지 공시농약의 잔류유형을 나타내는 최적 model은 multiple FO 또는 SO model로 평가되었다. Benfuresate의 경우 single FO model로 산출한 반감기($t\frac{1}{2}$)는 월곡통과 청원통에서 각각 49, 63일로 SO model로부터 구한 $t\frac{1}{2}$인 39, 55일 보다 $20{\sim}13%$가 길었다. Oxolinic acid의 경우 FO model로부터 구한 $t\frac{1}{2}$은 용계통, 이현통에서 각각 25, 26일로 SO model로부터 구한 $t\frac{1}{2}$ 보다 $87{\sim}51%$ 긴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런 결과는 농약의 잔류유형을 나타내는 최적 model이 농약의 종류 및 환경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고 이에 따른 $t\frac{1}{2}$도 변화폭이 크기 때문에 FO model을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대신 최적 model을 선정하고 이로부터 $t\frac{1}{2}$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중년 여성을 위한 한복 저고리의 체형별 원형 연구 (A study model standardization by he body types of Jugori of Hanbok for middle-aged women)

  • 진현선;권미정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3-2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Jugori model compatible with the body types of the middle-aged women especially from 40 to 59 years old. The result is as follows: We decided five items as the necessary items for designing jugori model : the bust girth (the breast & shoulder width), the B.P length, the neck width, the armhole circumference, and Hwa-jang. The breast & shoulder width are the size that comes out if the bust is divided by the breast & shoulder width on the basis of the side line, and Hwa-jang is a length measured with arms stretched out to 0° direction. With each person's physical characteristics considered, the application of the size of each body types and body parts is as follows: 1. The breast & shoulder width (1/4 portion) : We decided B/4+2cm as a standard size and, we adjusted the extra room on the basis of the discrepancy between the breast width and the shoulder width to make it fit well to the each body type. For the breast width (1/2 portion), we bisec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breast width and the shoulder width of the bust, and moved Gut-sup to the center of the Sup and Sup-sun for An-sup. According to the body type, the movement of the Sup for the people with big breasts gets bigger because there should be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breast width and the shoulder width for them, and for the people with small breasts the movement will be relatively smaller. For the shoulder width (1/2 portion), we curved the back center line after we shortened as much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mount of the shoulder width/2+1cm and of B/4+2cm. The movement of back center line will be bigger for a person with leaned-backward body type. 2. The front & back length: We made the front length to B.P length+2.5cm to have Jugori cover the breast point fully around the bust line, which is a vogue nowadays. For an upright body type, we decided the back length as (AH/2.2)+5cm. And for a bent-forward and a leaned-backward body type, we adjusted the calculation formulae differently tak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into account. We decided the back length (A) as (A.H/2.2)+5cm, and the front length (B) as the back length+5cm. So, (A+B) is the sum of the front length and the back length. Going back to the original formula, the front length is B.P+2.5cm. So, we can decide the back length if we subtract B.P+2.5cm from the sum of the front length and the back length. To make well-fit Jugoris, the front & back length are areas t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if we take each person's physical characteristics into consideration. 3. Go-dae (1/2 portion) : We decided Go-dae as the neck width/2+0.5cm. For an upright body type, because the base line which went down vertically from the tragion was straight, we generally decided Go-dae Dalim line as 1.0cm. But we decided Go-dae Dalim line down to 1.5cm for bent-forward type and up to 0.2cm for leaned-backward type because the upper half of the body of them was bent forward or leaned backward from the base line. 4. The armhole : We decided the armhole circumference as A.H/2+2cm with the whole extra room of 4cm. 5. The side line length : We can calculate the side line length to (the back length-the armhole)/2, and, in terms of the trend, 2.5cm will be appropriate.

  • PDF

구면 콘택트렌즈의 피팅에 따른 각막 부착력 해석 (Analysis on the Depressing Force to the Cornea by Fitted Spherical Contact Lens)

  • 김대수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7-106
    • /
    • 2011
  • 목적: 구면 콘택트렌즈(렌즈)가 각막에 피팅되는 경우 렌즈가 각막을 누르는 힘(압력, 부착력)을 tight 및 flat 피팅 별로 이론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Tight 및 flat 피팅 상태에서 렌즈의 각막 부착력을 계산할 수 있는 방정식 및 수치해석 프로그램(모델)을 수립하였다. 이 모델에 근거하여 BC, 직경, 두께, 모서리 형상 등 제반 렌즈변수와 각막형상(각막의 장축/단축 비, p) 변화에 수반되는 렌즈의 각막부착력을 tight 또는 flat 피팅 별로 예측/해석하였다. 결과: 각막의 p값이 증가할수록 각막부착력은 증가한다. p 값 증가에 따른 부착력 상승은 flat 피팅 경우가 tight에 비해 월등히 크다. 렌즈의 BC가 증가할수록 각막부착력은 flat 피팅에서는 큰 폭으로 감소하는데 반해 tight 피팅에서는 그 증가가 미미하다. 렌즈 직경이 증가할수록 각막부착력은 tight/flat 피팅 모두에서 미미하게 감소한다. 렌즈의 모서리형상(모서리각도 ${\Psi}$)과 렌즈두께는 tight 피팅에서만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다. Tight 피팅된 렌즈가 각막을 누르는 힘은 모서리 각도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Tight 피팅 렌즈는 두께가 증가할수록 렌즈가 각막을 누르는 각막부착력은 두께에 반비례로 감소한다. 결론: 피팅상태의 렌즈가 각막을 누르는 힘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2 가지 요소는 각막의 만곡도와 렌즈의 BC이다.

관절염 환자의 수중운동 지속에 관한 구조 모형 (A Structural Model for Aquatic Exercise Adherence of Patients with Arthritis)

  • 강현숙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26
    • /
    • 2001
  •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at regular aquatic exercise can lead to improvement of health for patients suffering from arthritis. In spite of these benefits, the adherence rate has shown as few as 26% of patients with arthritis who had completed the aquatic exercise education program. Moreover, when patients with arthritis begin an aquatic exercise, 47% withdraw within the first 6 month. No study has been found that constructs model to explain aquatic exercise adherence of patients with arthrit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exercise adherence and to construct and test a structural model to explain aquatic exercise adherence of patients with arthritis. Hypothesized model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Bandura's social cognitive theory and literature review. Exogenous latent variables included in this model are group cohesion and barrier, endogenous latent variables are self-efficacy, outcome expectancy and self-evaluation. Empirical data used was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 structural questionnaire on 249 patients with arthritis who had completed the 6-week aquatic exercise education program of Korean Rheumatology Health Professionals Academy. The interviews were performed from September 6, 1999 through October 8, 1999. A model tested by the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with LISREL 8.12a program an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with SAS 6.12 pr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ypothesized model showed a good fit to the empirical data. In the modified model added one new path showed a much better fit. Second, group cohesion had a direct, indirect positive effects, self-efficacy and self evaluation had a direct positive effects on exercise adherence. Barrier had a direct, indirect negative effects on exercise adherence. Outcome expectancy had a direct negative effect, indirect positive effects through self-evaluation on exercise adherence, but total effects was not significant. Total effect size of the variables were group cohesion, self-efficacy, barrier and self evaluation in order. All variables accounted for 54% of the total variance of exercise adherence in the model. In conclusion, this model confirmed to be proper in explaining of aquatic exercise adherence. Group cohesion, self-efficacy, outcome expectancy, self-evaluation, barrier contributed to the aquatic exercise adherence of patients with arthrit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improvement of group cohesion, self-efficacy and self-evaluation, motivation of outcome expectancy through self-evaluation, and reduction of the barrier should be included in the strategy of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aquatic exercise adherence of patients with arthritis.

  • PDF

Evaluation of the Femoral Stem Implant in Canine Total Hip Arthroplasty: A Cadaver Study

  • Cho, Hyoung Sun;Kwon, Yonghwan;Kim, Young-Ung;Kang, Jin-Su;Lee, Kichang;Kim, Namsoo;Kim, Min Su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3-61
    • /
    • 2019
  • Total hip arthroplasty (THA) is a successful surgical treatment for both patients with chronical lameness and dogs who are nonresponsive to medical treatments, providing excellent joint function for returning dogs to the normal gait in 80% to 98% of hip dysplasia (HD) patients. The THA surgical implant system manufactured by BioMedtrix and Kyon are today widely accepted. When comparing the BioMedtrix biological fixation (BFX) system to the BioMedtrix cemented fixation (CFX) system, the many advantages of BFX, which include longer potential implant life, decreased risk of postoperative or later infection, and better implant stability, become evident. However, BFX implies a greater risk of femoral fracture during reaming and requires a more precise surgical technique to achieve good implant fit, given the press-fit nature of cementless THA.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both describe the mistakes and complications during stem implantation for beginner surgeons with both the BFX and the CFX systems and to document the initial result of 12 implantations in canine cadavers. Given the detailed evaluations of 3 specialists, who are Diplomate American College of Veterinary Surgeons (DACVS), only 3 of 11 stems were appropriately sized. Specifically, 6 stems were anteverted rather than being retroverted; further, although 7 stems were coaxial with the femoral long axis in the frontal plane, the other stems were in the varus at the frontal plane, with the proximal medial stem adjacent to the medial femoral cortex. Moderate angulation from the cranial to the caudal directions was found in 4 cases in the sagittal plane. Additionally, 1 case of femoral fissure and 1 case of perforated femoral cortex were reported. It is not easy for surgeons performing cementless THA for the first time to achieve a good result, even though they completed an educational course about it and given that catastrophic complications often occurred during early surgical clinical cases. Therefore, ex-vivo studies are sincerely required to get an expertise by rehearsing the preparation of the femoral envelop in isolated bones.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achieve both highly accurate implant size and correct orientation during the preoperative planning. Additionally, surgeons' learning curve should be examined in future investigations.

최적 교통분포를 고려한 해상교량의 안전 통항 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Navigational Width of Bridges Across Waterways Considering Optimal Traffic Distribution)

  • 손우주;문지하;구정민;조익순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03-312
    • /
    • 2022
  • 해상교량은 선박의 통항 안전성 관점에서 가항수역을 줄이는 간섭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의 안전한 통항을 위해 최적 통항분포에 기반한 안전 통항폭을 분석하였다. 해상교량을 통항하는 선박의 안전 통항 폭에 대한 분석을 위해 AIS data에 기반한 선박교통분포를 조사하여 K-means clustering을 통해 선박을 크기에 따라 분류하였다. 군집화된 데이터에 대하여 최적분포 분석을 한 결과, 인천대교와 부산항대교에서는 대수정규분포, 목포대교와 마창대교에서는 정규분포가 최적분포에 가까운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수정규분포와 정규분포를 기준으로 선박 안전 통항 범위를 신뢰구간의 95%로 가정하여 분석한 결과, 인천대교의 경우 정규분포와 대수정규분포 간의 차이가 64~97m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소 차이는 10m로 마창대교에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인천대교의 경우에는 정규분포보다 대수정규분포로 안전 통항 폭을 제시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타 교량의 경우에는 정규분포와 대수정규분포 간의 통항 폭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둘 중 어떤 분포를 사용해도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 결과를 토대로, 해상교량의 안전통항 범위를 제시한다면 선박의 안전한 운항 및 사고 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다.

선형가속기 ML-15MDX의 각 Applicator에 대한 전자선 출력선량 계수 결정 (Determination of Electron Beam Output Factors of Individual Applicator for ML-15MDX Linear Accelerator)

  • Park, Tae-Jin;Kim, Ok-Bae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5권1호
    • /
    • pp.87-99
    • /
    • 1994
  • 목적 : 선형가속기 ML-15MDX의 전자선에너지 대한 출력선량계수가 Applicator크기에 따라 결정되도록 하며 각 Applicator에서 정방형조사면과 직사각형조사변에 대한 출력선량계수는 측정값으로 부터 다항식을 이용하여 결정되었다. 방법 : 실험에서, 출력선량의 측정은 전자선에너지 4, 6, 9, l2MEV대해 2$\times$2$cm^2$에서 20$\times$20$cm^2$까지 이루어졌다. 출력선량계수는 각 아프리케이터의 조사면중심선속의 최대선량에 대한 임의 조사면의 최대선량의 비로 얻어졌고 각 아프리케이터의 출력선량계수는 기준 아프리케이터(10$\times$10$cm^2$)와 비교되었다. 전자선조사면의 차폐는 모든 실험에너지 영역에서 균등하게 10mm 두께의 Lipowitz(밀도 9.4g/$cm^2$)를 사용하였으며, 조사면크기 및 모양 결정이 용이하도록 고안하여 사용되었다. 임의의 전자선조사면에 대한 출력선량계수는 조사면의 한변을 고정한 직사각형의 출력선량 계수를 이용한 1-Dimension방법에 의한 다항식으로 부터 구하였다. 결과 : 직사각형의 전자선조사면에 대한 출력선량계수는 4$\times$4$cm^2$에서 20$\times$20$cm^2$의 범위에서는 2%이내의 불확실성을 보였으며, 이들 보다 작은 직사각형조사면에서는 약 3%의 오차를 보였다. 결론 : 전자선에너지의 정사각형 및 직사각형조사변에 대한 출력선량계수가 실험자료를 이용한 다항식으로 부터 실제값에 매우 근사한 예상값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금강사지 출토 대형 토기의 보존 - 대형 토기접합에 사용된 순간 접착제에 대한 연구 - (Conservation Process of Large-earthen ware in Geumgangsa Temple Site - A Study on the Cyanoacrylate Adhesive Used for Large-earthen Ware Joining -)

  • 이다혜;황현성;신민경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3권
    • /
    • pp.1-11
    • /
    • 2012
  •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수장고에 보관 중이던 미등록 유물들을 연차적으로 등록하는 사업을 진행하던 가운데 복원 작업이 시작된 금강사지 출토 대형 토기편을 설명하고 전반적인 보존처리과정을 소개하고자한다. 대형 토기는 총 600여점을 40여개의 유물상자에 파손된 상태로 별도 보관하고 있었으며 형태나 크기, 사용 용도, 그리고 몇 개의 토기인지를 전혀 파악할 수 없는 상태였다. 수 많은 토기 조각과 토기 무게로 인해 우선 재질별, 토기 두께와 표면 색감, 그리고 유약 광택도 등 가시적 특징만으로 크게 6개의 토기 편으로 가분류하였으나, 가접합 해 본 결과, 실제로는 한 개의 토기 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번 복원 과정에서는 매우 크고 무거운 기형의 토기를 접합할 때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순간접착제가 과연 안전한지를 알아보고자 먼저, 예비 실험을 통해 저점도~고점도별 접착속도와 접착강도, 그리고 용해속도를 조사하여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접합 후 결손된 부분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여 복원하였으며 저부가 편평하지 않고 동그란 형태여서 제대로 서있지 않아 유물을 안정하게 보관하면서도 전시에 바로 사용하도록 전시받침대까지 제작하였다.

심자도용 접선성분자장 측정방식 스퀴드 센서열 설계 (Design of a SQUID Sensor Array Measuring the Tangential Field Components in Magnetocardiogram)

  • 김기웅;이용호;권혁찬;김진목;김인선;박용기;이규원
    • Progress in Superconductivity
    • /
    • 제6권1호
    • /
    • pp.56-63
    • /
    • 2004
  • We consider design factors for a SQUID sensor array to construct a 52-channel magnetocardiogram (MCG) system that can be used to measure tangential components of the cardiac magnetic fields. Nowadays, full-size multichannel MCG systems, which cover the whole signal area of a heart, are developed to improve the clinical analysis with high accuracy and to provide patients with comfort in the course of measurement. To design the full-size MCG system, we have to make a compromise between cost and performance. The cost is involved with the number of sensors, the number of the electronics, the size of a cooling dewar, the consumption of refrigerants for maintenance, and etc. The performance is the capability of covering the whole heart volume at once and of localizing current sources with a small error. In this study, we design the cost-effective arrangement of sensors for MCG by considering an adequate sensor interval and the confidence region of a tolerable localization error, which covers the heart. In order to fit the detector array on the cylindrical dewar economically, we removed the detectors that were located at the corners of the array square. Through simulations using the confidence region method, we verified that our design of the detector array was good enough to obtain whole information from the heart at a time. A result of the simulation also suggested that tangential-component MCG measurement could localize deeper current dipoles than normal-component MCG measurement with the same confidence volume; therefore, we conclude that measurement of the tangential component is more suitable to an MCG system than measurement of the normal component.

  • PDF

결혼불만족과 외로움, SNS중독의 관계 - 사회자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among Marital Dissatisfaction, Loneliness and SNS Addiction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

  • 김남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1호
    • /
    • pp.223-254
    • /
    • 2017
  • 본 연구는 기혼자의 결혼불만족이 외로움을 통해 SNS중독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연구 대상자가 지각하는 사회자본의 크기 및 구성 장면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지, 즉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20~40대 성인 기혼 남 녀 714명이다. 온라인 전문 리서치회사에 자료 조사를 의뢰해 인구통계학적 비례에 따른 할당 표집을 기본으로 임의 선택의 과정을 거쳐,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을 사용한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절차를 따랐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로움은 기혼 성인의 결혼불만족과 SNS 중독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 관계가 비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나, 매개효과의 완전 혹은 부분 여부를 경쟁모형 비료를 통해 확인한 결과, $x^2$을 비롯한 다양한 적합도 지수가 상대적으로 양호한 완전매개 모형을 최종적으로 채택하였다. 둘째, 결혼불만족과 외로움, SNS 중독 간 매개모형에서 사회자본 크기가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구체적인 경로를 살펴보면, 자신의 사회자본을 상대적으로 크게 인식하는 집단이 작게 인식하는 집단에 비해 외로움에서 SNS중독에 이르는 과정과 결혼불만족에서 SNS중독에 이르는 경로의 효과 크기를 더 크게 인식했다. 이와 함께, 사회자본 형태별로 비중 차이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도 확인했다. 즉, 사회자본의 형태를 면대면 그리고 SNS 장면으로 구분해 각각의 비중 차이에 따라 면대면 우세, SNS우세 집단으로 구분해 매개모형의 다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경로 간 효과크기에 차이가 나타났다. 자신의 사회자본이 면대면 보다는 SNS 온라인 상에 더 편중되었다고 느끼는 집단에서는 외로움이 SNS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면 대 면과 SNS 사회자본 사이의 불균형이 결혼불만족과 외로움, SNS 중독 간의 관계에서 위험요인으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혼 성인들의 SNS 중독에 대처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대응방안을 제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