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among Marital Dissatisfaction, Loneliness and SNS Addiction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

결혼불만족과 외로움, SNS중독의 관계 - 사회자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7.01.11
  • Accepted : 2017.02.07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whether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NS addiction resulting from marital dissatisfaction and loneliness is influenced by gender or size and composition of social capital. 714 married men and women in their 20's to 40'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by online research center with quota sampling based on demographical proportion. To analyze this research model,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utilizing structural equation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verified that the loneliness moderated between marital dissatisfaction and SNS addiction. Sinc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 is insignificant, comparison of competition model was able to determine if mediating effect was fully or partially shown. As a result, the complete mediated model was ultimately chosen because its various goodness-of-fit index including $x^2$ performed fairly well. Second, the mediating effect which moderates social capital size was presented in the mediated model between the marital dissatisfaction, loneliness and SNS addiction. Specifically, It implies that group who recognizes their social capital big recognizes the route and effect size more than that who considers their social capital small.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depending on different type of social capital among the marital dissatisfaction and loneliness and between SNS addiction was substantiated. It implies that disequilibration of SNS social capital in face-to-face sphere and in online acted as a danger fact with respect to the marital dissatisfaction, loneliness and SNS addiction.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proposed.

본 연구는 기혼자의 결혼불만족이 외로움을 통해 SNS중독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연구 대상자가 지각하는 사회자본의 크기 및 구성 장면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지, 즉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20~40대 성인 기혼 남 녀 714명이다. 온라인 전문 리서치회사에 자료 조사를 의뢰해 인구통계학적 비례에 따른 할당 표집을 기본으로 임의 선택의 과정을 거쳐,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을 사용한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절차를 따랐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로움은 기혼 성인의 결혼불만족과 SNS 중독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 관계가 비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나, 매개효과의 완전 혹은 부분 여부를 경쟁모형 비료를 통해 확인한 결과, $x^2$을 비롯한 다양한 적합도 지수가 상대적으로 양호한 완전매개 모형을 최종적으로 채택하였다. 둘째, 결혼불만족과 외로움, SNS 중독 간 매개모형에서 사회자본 크기가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구체적인 경로를 살펴보면, 자신의 사회자본을 상대적으로 크게 인식하는 집단이 작게 인식하는 집단에 비해 외로움에서 SNS중독에 이르는 과정과 결혼불만족에서 SNS중독에 이르는 경로의 효과 크기를 더 크게 인식했다. 이와 함께, 사회자본 형태별로 비중 차이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도 확인했다. 즉, 사회자본의 형태를 면대면 그리고 SNS 장면으로 구분해 각각의 비중 차이에 따라 면대면 우세, SNS우세 집단으로 구분해 매개모형의 다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경로 간 효과크기에 차이가 나타났다. 자신의 사회자본이 면대면 보다는 SNS 온라인 상에 더 편중되었다고 느끼는 집단에서는 외로움이 SNS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면 대 면과 SNS 사회자본 사이의 불균형이 결혼불만족과 외로움, SNS 중독 간의 관계에서 위험요인으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혼 성인들의 SNS 중독에 대처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대응방안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은영.최윤영.최민영.박성화.서영석, 2014, "외로움, 대인민감 및 페이스북 중독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3): 713-738.
  2. 금희조, 2011, "소셜 미디어 시대, 우리는 행복한가? 소셜 미디어 이용이 사회 자본과 정서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25(5): 7-48.
  3. 김교헌.김지환, 1989, "한국판UCLA 고독척도", 충남대학교 학생생활연구, 16: 13-30.
  4. 김광웅.유미숙.이지항, 2004, "인터넷 중독 여부에 따른 온라인 대인관계 성향과대면 대인관계 성향의 차이", 아동학회지, 25(2): 109-120.
  5. 김구, 2010,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회적 자본 형성에 대한 온라인 활동의 영향성 탐색: 대학생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7(4): 5-44.
  6. 김동윤.오소현 역, 2008, 사회자본, Lin, N., 2001, Social Capital: A Theory of Social Structure and Action,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7. 김명희, 2006, "중년기 기혼남녀의 부부친밀감과 부부의사소통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홍수영 역, 2008, 평등해야 건강하다,Wilkinson, R., 2005, The Impact of Inequality: How to Make Sick Societies Healthier, 서울:도서출판 후마니타스.
  9. 박성우, 2014, "SNS 이용의 정서적 만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박웅기, 2014, "대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SNS 중독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27(1): 95-125.
  11. 박정희.박희현, 2014, "아동의 외로움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인터넷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7(2): 179-192.
  12. 서거, 2013, "페이스북(Facebook) 이용 중독이 대학생의 사회성 및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서보경, 2014, "성인 인터넷중독 및 스마트폰 이용 특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 305-317. https://doi.org/10.5392/JKCA.2014.14.01.305
  14. 송경재, 2005, "인터넷 사회자본 연구의 동향과 과제", 정보화정책, 12(4): 3-22.
  15. 송혜진.오세연, 2013, "대학생의 MSNS(Mobile Social Network Service) 중독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0(2): 56-82.
  16. 여지영.강석영.김동현, 2014, "초기 청소년의 애착불안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충동성, 외로움의 매개효과: SNS 집단과 게임 집단의 차이를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22(1): 47-69.
  17. 오영은.이정화, 2015,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 농촌노인의 고독감 관련 변인연구", 한국노년학, 35(4): 1135-1157.
  18. 오윤경, 2012, "SNS 중동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지지의 관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우종필, 2015, "구조방정식모델과 회귀분석을 이용한 매개된 조절모델 및 조절된 매개모델에 대한 고찰: 만족, 신뢰, 의존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상품학연구, 33(4): 45-56.
  20. 유계숙.김은희, 2015, "기혼 성인남녀의 인터넷.스마트폰 과다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심리.부부관계 관련 변인", 한국가족복지학, 20(1): 5-26. https://doi.org/10.13049/kfwa.2015.20.1.5
  21. 유현숙, 2013, "사회불안 및 페이스북 이용동기가 SNS 중독과 페이스북 이용에 따른 심리적 문제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윤명숙.박완경, 2014,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SNS 중독성향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2(3): 208-236.
  23. 이경성, 2001, "이혼의도, 시도 및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6(2): 97-119.
  24. 이상호, 2013, "소셜미디어 사용자의 중독에 관한 정책적 함의 연구: 한국형 SNS 중독지수(KSAI) 제안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1(1): 255-265. https://doi.org/10.14400/JDPM.2013.11.1.255
  25. 이상호.고아라, 2013, "소셜미디어 중독의 영향 요인 연구: 페이스북 이용자의 인식과 몰입을 중심으로", 언론학보, 57(6): 176-210.
  26. 이영훈.유수현, 2012, "중학생의 욕구불만족이 인터넷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0(4): 57-85.
  27. 이정은.양수, 2005, "주부의 인터넷 중독 정도와 부부의 의사소통 및 결혼만족도", 정신간호학회지, 14(4): 428-437.
  28. 이지은.성동규, 2013, "페이스북 이용과 대인네트워크 변화에 대한 한.미 문화간 비교 연구: 자아개념과 자기노출, 대인불안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4(1): 257-281.
  29. 이창호.신나민.하은빈, 2014, "청소년 사이버불링 실태 및 대응방안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
  30. 이현덕.홍혜영, 2011, "중학생의 애착과 인터넷 중독성향간의 관계: 외로움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8(1): 271-294.
  31. 장덕희.장재원.염동문, 2015, "농촌지역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와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문화적응과 사회자본의 이중매개효과", 한국가족복지학, 20(4): 631-649. https://doi.org/10.13049/kfwa.2015.20.4.631
  32. 전호선.장승옥, 2014, "스트레스와 우울이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1(8): 103-129.
  33. 정병완.홍혜영, 2015, " 내현적 자기애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부부공감과 결혼만족도를 매개변인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1): 183-201.
  34. 조민자, 2010,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대한 조절 변인 탐색", 청소년시설환경, 8(3): 29-42.
  35. 조성현.서경현, 2013, "SNS 중독경향성 관련 요인 탐색: 내현적 자기애, 자기제시 동기 및 소외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1): 239-250.
  36. 주정민, 2006, "인터넷 의존유형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련성 연구", 한국언론학보, 50(3): 476-524.
  37. 최승미, 2015, "결혼만족도, 스마트폰 중독 및 외도태도가 인터넷 외도에 미치는 영향: 매개된 조절모형",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1): 55-75.
  38. 한승수.오경수, 2006, "대인관계 유형과 사용경향에 따른 이동전화 중독 성향 연구: 대학생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0(4): 371-405.
  39. 한혜영.현명호, 2006,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부부 조망수용능력과 갈등해결 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4): 935-952.
  40. 홍서호, 2015, "소셜미디어 이용과 온라인 사회자본이 소셜미디어 어플리케이션 중독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을 사용한 트위터와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2013 인터넷중독실태조사".
  42. 국민일보, 2015, "김포 20대 주부 아파트 살인사건 범인은 SNS 채팅남", 2015년 5월 27일.
  43. 세계일보, 2016, "구마모토 지진 피해 현장을 대혼란에 빠뜨린 SNS". 2016년 .4월 27일.
  44. Caplan, S. E., 2007, "Relations among loneliness, social anxiety, and problematic internet use", Cyber Psychology & Behavior, 10(2): 234-242. https://doi.org/10.1089/cpb.2006.9963
  45. Chang, C., 2012, "Examining users' intention to continue using social network games: A flow experience perspective", Telematics and Informatics, 30(4): 311-321. https://doi.org/10.1016/j.tele.2012.10.006
  46. Clayton, R., Osborne, R., and Miller, B., 2013, "Loneliness, anxiousness, and substance use aspredictors of Facebook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9: 687-693. https://doi.org/10.1016/j.chb.2012.12.002
  47. Davis, R. A., 2001, "A cognitive-behavioral model of pathological Internet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7(2): 187-195. https://doi.org/10.1016/S0747-5632(00)00041-8
  48. Eldeleklioglu, J., 2008, "Gender, romantic relationships, internet us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ocial skills as the predictors of loneliness in Turkish, Euras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3: 127-140.
  49. Grant, K. E., Compas, B. E., Stuhlmacher, A. F., Thurm, A. E., McMahon, S. D., and Halpert, J. A., 2003, "Stressors and child and adolescent psychopathology: Moving from markers to mechanisms of risk", Psychological Bulletin, 129: 447-466. https://doi.org/10.1037/0033-2909.129.3.447
  50. Griffiths, M., 1997, "Does Internet and computer addiction exist?: Some case study evidenc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ference of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1. Hawkley, L. C., Hughes, M. E., Waite, L. J., Masi, C. M., Thisted, R. A., and Cacioppo, J. T., 2008, "From social structural factors to perceptions of relationship quality and loneliness: The Chicago health, aging, and social relations study",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3(6): S375-S384. https://doi.org/10.1093/geronb/63.6.S375
  52. Kim, J., LaRose, R., and Peng, W., 2009, "Loneliness as the cause and the effect of problematic Internet us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us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yber Psychology & Behavior, 12(4): 451-455. https://doi.org/10.1089/cpb.2008.0327
  53. Kraut, R., Kiesler, S., Boneva, B., Cummings, J., Helgeson, V., and Crawford, A., 2002, "Internet paradox revisited", Journal of social issues, 58(1): 49-74. https://doi.org/10.1111/1540-4560.00248
  54. Kuss, D. J. and Griffiths, M. D., 2011,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addiction: A literature review of empirical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Public Health, 8: 3528-3552. https://doi.org/10.3390/ijerph8093528
  55. Lemmens, J. S., Valkenburg, P. M., and Peter, J., 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ame addiction scale for adolescents", Media Psychology, 12(1): 77-95. https://doi.org/10.1080/15213260802669458
  56. Norton, A. M., and Baptist, J., 2014, "Couple boundaries for social networking in middle adulthood: Associations of trust and satisfaction. Cyber psychology", Journal of Psychosocial Research on Cyberspace, 8(4): article 2. doi: 10.5817/CP2014-4-2.
  57. Orford, J., 2001, "Addiction as excessive appetite", Addiction, 96(1): 15-31. https://doi.org/10.1046/j.1360-0443.2001.961152.x
  58. Oldmeadow, J. A., Quinn, S., and Kowert, R., 2013, "Attachment style, social skills, and facebook use amongst adul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9(3): 1142-1149. https://doi.org/10.1016/j.chb.2012.10.006
  59. Ozad, B. E., and ygarer, G., 2014, "Attachment needs and social networking sites",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42(Supplement 1 to Issue 1): 43S-52S. https://doi.org/10.2224/sbp.2014.42.0.S43
  60. Pelling, E. L. and White, K. M., 2009,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pplied to young people's use of social networking web sites", Cyber Psychology & Behavior, 12: 755-759. https://doi.org/10.1089/cpb.2009.0109
  61. Peplau, L. A., and Perlman, D., 1982, Loneliness: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New York: Wiley Interscience.
  62. Pinquart, M., 2003, "Loneliness in married, widowed, divorced, and nevermarriedolder adult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20: 31-53. https://doi.org/10.1177/02654075030201002
  63. Putnam, R. D., 2001,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New York: Simon and Schuster.
  64. Shaffer, H. J., La Plante, D. A., La Brie, R. A., Kidman, R. C., Donato, A. N., and Stanton, M. V., 2004, "Toward a syndrome model of addiction: Multiple expressions, common etiology", Harvard review of psychiatry, 12(6): 367-374. https://doi.org/10.1080/10673220490905705
  65. Stevens, N., and Westerhof, G. J., 2006, "Marriage, social integration andloneliness in the second half of life: A comparison of Dutch and Germanmen and women", Research on Aging, 28: 713-729. https://doi.org/10.1177/0164027506291747
  66. Valenzuela, S., Halpern, D., and Katz, J. E., 2014, "Social network sites, marriage well-being and divorce: Survey and state-level evidence from the United Stat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6: 94-101. https://doi.org/10.1016/j.chb.2014.03.034
  67. Williams, D., 2006, "On and off the net: Scales for social capital in an online era", Journal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11(2): 593-628. https://doi.org/10.1111/j.1083-6101.2006.00029.x
  68. Wilson, K., Fornasier, S., and White, K. M., 2010, "Psychological predictors of young adults' use of social networking sites", Cyber 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3(2): 173-177. https://doi.org/10.1089/cyber.2009.0094
  69. Zhou, M., 2005, Ethnicity as Social Capital: Community-based Institutions and Embedded Networks of Social Relations, Ethnicity, Social Mobility and Public Policy: Comparing the US and UK. New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