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mulated teaching practic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예비 교사의 과학 교수-학습 역량 지표 요인 검증과 모의 수업 실연이 역량에 미치는 효과 (Validation of Indicators for Science Teaching-Learning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and the Effect of Simulated Teaching)

  • 이현동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3권4호
    • /
    • pp.476-492
    • /
    • 2024
  • 이 연구는 예비 교사들의 과학 교수-학습 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의 요인 구조를 검증하고, 모의 수업 실연이 예비 교사들의 과학 교수-학습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과학 교수-학습 역량 지표의 요인 구조 검증에 175명의 예비 교사들의 응답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모의 수업 실연에 따른 과학 교수-학습 역량에 미치는 효과에는 3개 학과 73명이 응답한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과학 교수-학습 역량의 요인 구조 검증을 위한 분석은 현장 초등교사 5인의 내용 타당도 지수 산출과 사교회전(프로맥스)을 활용한 주축 요인 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모의 수업 실연에 따른 과학 교수-학습 역량 비교는 대응 표본 t-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학 교수-학습 역량 지표는 5요인 30문항으로 수정·보완하였으며 내용 타당도 지수는 .94로 분석되었고, 탐색적 요인 분석에서는 30개 문항이 모두 의도한 요인에 적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표의 신뢰도는 .953 (.829~.918)로 분석되었다. 대응 표본 t-test 결과에서는 모의 수업 전과 후 예비 교사들의 과학 교수-학습 역량에는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모의 수업 실연이 예비 교사들의 과학 교수-학습 역량에 미치는 유의미한 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으며, 예비 교사 교육과정에서 학교 수업 현장성 반영을 위해 앞으로도 모의 수업 실연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교수-학습 역량 측정과 관련하여 자기 보고식 척도 외에 타자 평가용 척도의 개발 필요성도 제안한다.

탐구 기반 모의 수업 실연이 예비 교사들의 과학적 자기 효능감, 과학 내재 동기에 미치는 영향 (Enhancing Science Self-efficacy and Science Intrinsic Motivation through Simulated Teaching-learning for Pre-service Teachers)

  • 이현동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2권4호
    • /
    • pp.560-576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교원양성 과정에서 예비 교사들이 수행하는 과학과 탐구 기반 모의 수업 실연에 대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 예비 교사들이 개선 방안이 반영된 모의 수업을 실연하면서, 모의 수업 전과 후 과학적 자기 효능감에 따른 과학 내재 동기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현직 초등과 중등 교사 5인이 탐구 기반 모의 수업 실연 개선 방안 도출에, 교육대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과학 내재 동기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탐구 기반 모의 수업 실연 개선 방안 도출에는 전문가 협의회에 계층분석과정(AHP)을 적용하였으며, 모의 수업 실연 전과 후 과학적 자기 효능감에 다른 과학 내재 동기 차이 분석에는 이원분산분석과 MANOVA 명령문을 통한 사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탐구 기반 모의 수업 실연 개선에는 디지털·생태 소양과 민주 시민 의식 함양을 위한 활동과 과학과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과학 탐구·학생 활동 중심의 수업·소집단 활동이 포함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개선 사항을 반영하여 예비 교사들이 초등학교 과학의 '지구와 우주' 영역에서 7차시에 걸쳐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하고 모의 수업을 실연하였다. 과학 내재 동기의 경우 모의 수업 전과 후, 과학적 자기 효능감의 모든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모의 수업 실연 여부와 과학적 자기 효능감과의 상호작용 효과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과학적 자기 효능감이 낮은 집단에서 모의 수업 실연에 따른 과학 내재 동기에 차이가 크게 나타난 것을 도출할 수 있었다. 학교 현장의 학생들의 과학 성취와 정의적 영역 향상을 위해서는 교사의 과학적 자기 효능감과 내재 동기 함양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예비 교사 교육과정에서부터 학교 현장성을 반영한 탐구 기반 모의 수업 실연을 실시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한다.

효과적 이러닝 실습전략을 위한 온라인 시뮬레이션 구현방법 및 학습활동 분류 (Classification of Online Simulation Content for Effective Engineering E-Learning Courses)

  • 황석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77-83
    • /
    • 2010
  • 공학교육에서의 이러닝 실습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은 온라인 시뮬레이션이 포함된 콘텐츠의 내용 구성방법과 완료된 콘텐츠의 활용방법이다. 공학분야에서 실습을 온라인으로 구현하려는 교수자는 실습 시뮬레이션을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온라인 실습을 효과적으로 실행하도록 다양한 학습활동을 구성해야 한다. 실습을 지도하는 교수자도 온라인 시뮬레이션의 효과를 담보하는 교수학습활동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즉, 공학교육의 모든 교수자는 이러닝 콘텐츠에서 온라인 실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어떠한 교수학습 활동 및 전략이 필요한지를 파악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온라인 실습의 개발 유형을 구분하며 이 유형에 따른 교수학습활동을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고 교수학습활동을 교육 이론과 비교, 검토하여 온라인 실습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교수방법 및 전략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구성주의에 기반한 모의수업 활동이 예비 생물교사의 인식론적 신념, 과학 교수 효능감 및 교수 동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mulated Instruction Activities through a Constructivist Lens on Preservice Biology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and Teaching Motivation)

  • 김선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157-1168
    • /
    • 2012
  • 본 연구는 구성주의에 기반한 모의수업 활동 후 예비 생물교사들의 인식론적 신념, 과학 교수 효능감, 그리고 교수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예비 생물교사들은 과학교수 개혁안의 목표를 반영하고 있는지 보기 위한 평가척도인 RTOP을 토대로 수업을 구상하고 시연하도록 하였으며, 동료평가의 기회를 가졌다. 수업처치 후 예비 생물교사들은 지식의 단순성 영역에서 인식론적 신념이 향상되었으며(p<.05), 과학 교수 효능감 또한 향상되었다(p<.01). 교수동기에 있어서 예비 생물교사들은 외재적 교수 동기는 감소하였으나(p<.05) 내재적 교수 동기는 증가하지 않았다(p>.05). 또한 피어슨 상관관계 결과, 과학 교수 자기 효능감과 외재적 동기는 부적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p<.05). 구성주의를 강조한 모의수업 활동 후 학생들은 이상적인 과학수업과 과학교사의 자질로 탐구, 토론 및 참여라는 단어를 선택하여, 본 연구에서의 수업처치를 통해 예비 교사들은 구성주의가 지향하는 교수학습 방법을 인식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판단된다.

Goal-based Scenario를 활용한 간호시뮬레이션 수업설계 및 적용 (Design and Application of Nursing Simulation using Goal-based Scenario for Nursing Students)

  • 박수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24-235
    • /
    • 2017
  • Purpose: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design according to Goal-based Scenario constituent elements such as educational goals, mission, cover story, role, scenario operation, resources, and feedback in simulation training.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0 nursing students in their senior year who enrolled in the simulation exercise I course. They were divided into a total of 10 groups in which less than 20 students were assigne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imulation training through Goal-based Scenario instructional design, a design of non-equality control group was carried ou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Critical thinking (t=1.81, p=.073)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1.79, p=.076), course satisfaction (t=8.61, p<.001) and academic performance (t=5.48, p=.001) were supported. Conclusion: This study applied a Goal-based Scenario simulation program to present clear objectives for simulating training and to advance learning methods that are appropriate to the current education environment. In addi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presenting an instructional model for various simulated practice education and can be used as useful basic data related to simulated training education.

Debriefing in pediatrics

  • Cho, Su Ji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8권2호
    • /
    • pp.47-51
    • /
    • 2015
  • Debriefing is a conversational session that revolves around the sharing and examining of information after a specific event has taken place. Debriefing may follow a simulated or actual experience and provides a forum for the learners to reflect on the experience and learn from their mistakes. Originating from the military and aviation industry, it is used on a daily basis to reflect and improve the performance in other high-risk industries. Expert debriefers may facilitate the reflection by asking open-ended questions to probe into the framework of the learners and apply lessons learned to future situations. Debriefing has been proven to improve clinical outcomes such as the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after cardiac arrest and the teaching of teamwork and communication in pediatrics. Incorporating debriefing into clinical practice would facilitate the cultural change necessary to talk more openly about team performance and learn from near misses, errors, and successes that will improve not only clinical outcome but also patient safety.

반성방법의 차이가 예비 지리교사의 수업전문지식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Reflective Thinking Methods on Improvement of Pre-service Geography Teacher's Teaching Knowledge)

  • 이소영;오정준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59-476
    • /
    • 2011
  • 본 연구는 반성방법의 차이에 따른 예비 지리교사의 수업전문지식 변화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l차 모의수업 결과를 토대로 통일한 수준에 있는 데 명의 예비교사들을 선정한 후, 각각 상이한 반성을 거쳐 2차 모의수업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이 때 각각의 수업에 대한 동료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예비교사들의 수업전문지식 구비정도를 파악했고, 1차 및 2차 수업 간의 점수를 비교함으로써 반성방법의 차이에 따른 수업전문지식의 변화 양상을 파악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1차와 2차 모의수업을 비교해본 결과 모든 예비교사의 평균점수가 상승했지만, 반성하지 않거나 자기반성을 행한 예비교사에 비해 전문가와의 협력적 반성을 행한 예비교사의 점수가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 다음으로 자기반성을 통해 반성적 성찰지를 작성한 예비교사의 경우 반성적 사고는 가능했지만 반성적 실천으로 이어지는 데에는 한계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내용지식의 향상은 전문가와의 협력적 반성을 행한 예비교사에게만 나타났다. 특히 영역과 학습자에 대한 이해 영역에서 유의미한 통계 값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내용이나 상황영역 부문은 예비교사 스스로의 자기반성 및 반복적 수업 실연을 통해서도 향상될 수 있지만, 영역과 학습자에 대한 이해 영역은 조력자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었다.

  • PDF

중환임상중독환자의 상황 인지와 대처 방법에 대한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연구 (Implementing Best Practice in Critically Ill Organophosphate Poisoned Patient Through Simulation-Based Learning Program)

  • 이지환;정성필;정현수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1-39
    • /
    • 2017
  • Purpose: Despite the clinical and socio-economic impact of acute poisoned patients, many of the treatments are not standardized in Korea. Moreover, no formal training that is specifically focused on clinical toxicology exists. Rather, training and education are conducted case by case in various institu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tandardized simulation-based clinical toxicology training curriculum for healthcare providers. This program will focus on specific assessment and treatment of critical toxicology patients, specifically those who have been poisoned with organophosphate. Methods: The study was performed using a pre- and post-design to determine the effects of implementation of this program. The study was conducted at eight different urban teaching hospitals in a simulated room in the clinical area. The study was targeted to 19 groups composed of emergency residents and nurses. Simulation-based learning was conducted for each group. Results: All 19 groups achieved the minimum passing score of 75%.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led to improved performance rates for overall management and cooperative moods competency (p<0.01). Inter-rater agreement between the two evaluators was excellent. In general, the participants thought the program was realistic and were able to recognize and improve the competencies needed to care for organophosphate poisoned patients. Conclusion: Simulation-based learning is an effective educational strategy that can be applied to improving and understanding proper care for rare but critical patients. This program was effective at improving team performance and cooperative moods when managing an organophosphate poisoned patient in the Emergency Depar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