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de of angle

검색결과 1,338건 처리시간 0.034초

깔때기 경사충격파를 고려한 환형 분사 초음속 이젝터 이론해석 (Theoretical Analysis of Annular Injection Supersonic Ejector with a Simple Funnel Shock Wave Model)

  • 김세훈;권세진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3-29
    • /
    • 2006
  • 환형 분사 초음속 이젝터에서는 초음속의 주유동이 벽면을 타고 분사되므로 주유동 노즐 출구(혼합 챔버 입구)에서 혼합챔버의 수축각에 의한 깔때기(funnel) 모양의 경사충격파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차원(Wedge) 경사충격파와 원뿔(Cone) 경사충격파를 이용하여 간단한 깔때기 경사충격파 모델링(Modeling)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모델링을 이용하여 기존의 이차원 경사충격파를 이용한 이론해석 보다 부유동 압력을 보다 정확히 예측할 수 있었다. 같은 해석 방법을 이용하여 유량비에 대한 초음속 이젝터의 압축비와 단열 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효과적인 웹 기반 원격교육 시스템 구현을 위한 주요 성공 요인 (Primary Success-Factors in Realizing Remote-Education System Based on the Web)

  • 신창운;권영직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31
    • /
    • 2002
  • 교육에 있어서 질이란 쉽게 정의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마찬가지로 원격교육에서도 그 질의 문제는 이야기하는 사람과 그의 관심사에 따라 조금씩 다른 각도에서 정의되고 다양한 성공요인을 제시한다. 인터넷의 확산으로 원격교육 시스템 구축과 활용은 점차적으로 매우 중요한 전략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국내적으로 원격교육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편이다. 그러나 대체로 기술적인 면에 치중해 있으며, 성공적인 원격교육 시스템 구축을 위한 성공요인에 대한 연구가 아직은 미비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웹기반 원격교육 시스템 구현을 위한 주요 성공요인을 마련하여 원격교육 시스템에서 사용자 성과를 효과적으로 극대화시키고자 하였다.

  • PDF

설계점 및 탈설계점에서의 rotor-stator 상호작용에 의한 비정상 천이 경계층의 수치해석적 연구 (Unsteady Transitional Boundary Layer due to Rotor Stator Interaction at Design and Off Design Operations)

  • 강동진;전현주
    •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7-30
    • /
    • 1999
  • The unsteady transitional boundary layer due to rotor-stator interaction was studied at two operation points, the design and one off design points. The off design point leads to lower blade loading and lower Reynolds number. A Navier-Stokes code developed in the previous study was parallelized to expedite computations. A low Reynolds number turbulence model was used to close the momentum equations. All computations show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al data. The wake induced transitional strip on the suction side of the stator is clearly captured at design point operation. There is no noticeable change in shape and phase angle of the wake induced strip even in the laminar sublayer. The wake induced transitional strip at off design point shows more complex structure. The wake induced transitional strip is observed only in the turbulent layer, and becomes obscure in the laminar sublayer and buffer layer. This behavior is probably consequent upon that the transition is governed by both wake induced strip and natural transition mechanism by Tollmien-Schlichting wave.

  • PDF

THEMIS 위성의 플라즈마 입자 관측을 이용한 방사선 벨트 경계 조건 결정

  • 신대규;이대영;황정아;김경찬;김진희;조정희
    • 천문학회보
    • /
    • 제37권1호
    • /
    • pp.91.1-91.1
    • /
    • 2012
  • 지구 자기권의 입자분포는 지구 자기권의 상태와 태양풍의 물리적 상황에 따라 다르다. 가령, 정지궤도에서 고에너지 입자의 flux가 낮아지는 것이 관측된다. 이러한 flux dropout 기간은 대부분 storm main phase에 해당된다. 반면 태양풍의 속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HSS(high speed stream)기간 동안에는 대부분 정지궤도에서의 고에너지 입자 flux가 높아지며 radiation belt의 고에너지 입자들의 seed electron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OSE 11 위성의 electron flux data와 태양풍의 속도를 이용하여 HSS, quiet time, flux dropout 기간을 정의 하였다. 또한, 지구로부터 7~8Re 떨어진 night side지역을 radiation belt의 trapping boundary 바로 바깥 경계지역과 같다고 가정하였다. 그리고 각 기간 동안 이 경계지역에서 입자들의 분포와 관련된 물리적 조건을 결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는 방사선 벨트 내부에서의 역학적 진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007년 6월부터 2010년 8월까지 이러한 경계지역에 THEMIS 위성이 위치했을 때 ESA와 SST의 omni-directional flux를 이용하여 에너지에 대한 입자플럭스 분포 함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각 기간에 평균한 분포 함수를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해석적 함수를 도출하였다. 추가로, 경계지역에서의 입자들의 pitch angle 분포 패턴도 결정 하였다. 이 결과는 방사선 벨트의 전산모사에서 실질적인 경계 조건으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Rosenberg View 검사를 위한 보조기구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Usefulness of Assist Device for Rosenberg View Test)

  • 공창기;송종남;김인수;한재복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29-138
    • /
    • 2020
  • Rosenberg Method 특성상 환자는 일정한 시간 동안 자세 유지가 필요하고 무릎 골곡 각도에 따라 관절공간이 다양한 형태로 관찰이 되어 검사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보조기구를 자체 제작하여 보조기구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화질을 평가하였다. 하지 Phantom을 이용한 보조기구의 유·무에 대한 SNR과 CNR 그리고 보조기구 자체에 대한 각도의 비교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 < 0.05). 보조기구 유·무로 오른쪽과 왼쪽의 내측과 가장자리 사이 거리를 측정한 결과, 보조기구 사용 무(96.00±40.6 mm), 보조기구 유( 134.86±17.68 mm),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 < 0.05). 대퇴골과 경골에 대한 aLDFA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보조기구 유·무를 통해 오른쪽과 왼쪽의 aLDFA을 측정하였고, 오른쪽 aLDFA 보조기구 무 (74.63°±4.87), 보조기구 유(78.91°±3.12),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p < 0.05), 왼쪽 aLDFA 보조기구 무 (76.39°±4.62), 보조기구 유(79.64°±3.65),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 < 0.05). 그러나 보조기구 유·무로 오른쪽과 왼쪽의 몸쪽 정강종아리관절과 외측과의 겹친 부위의 거리를 측정한 결과, 오른쪽과 왼쪽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결론적으로 자체 제작한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무릎과 무릎 사이의 간격이 일정한 진단적으로 가치 있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대퇴골과 경골의 aLDFA의 관계를 통해 각도가 작을수록 내측과가 JSW에 겹침을 알 수 있었고, 보조기구를 사용으로 aLDFA의 Normal Range 값에 유사한 값을 도출되어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몸쪽 정강종아리관절과 외측과의 겹친 부위의 거리 평가로 내회전, 외회전에 주의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부정교합(不正咬合)의 치아부정양상(齒牙不正樣相)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IRREGULARITIES OF TEETH IN MALOCCLUSION)

  • 노태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9-65
    • /
    • 197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irregularities of teeth in various malocclusion groups. The subjects consist of 803 out-patients (355 males, and 448 females) in department of Orthodontics of S.N.U. Hospital, Yonsei University, and Kyunghi University Hospita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roportions of subjects on the basis of Angle's Classification were 39.2% (42.2% male, and 57.8% fomale) in class I malocclusion, 29.0% (44.6% male, and 55.4% female) in class II. div. 1., 3.5%(46.4% male, and 53.6% female) in class II. div. 2., 28.3%(46.3% male, and 53.7% female) in class III. 2. Considering all the subjects, the percentage of teeth crowding was 67.8% (45.0% male, and 55.0% female). In class I malocclusion, the percentage of Crowding was 70.8%(43.5% male, and 56.5% female) with higher frequency in upper anterior teeth than in lower anterior. 3. The percentage of Maxillary anterior diastema was 25.6% (45.6% male, and 54.4% female) on the whole. In class II. div. 1. malocclusion, the percentage was 28.8% (46.3% male, and 53.7% female) and in class III, the percentage was 19.8% (46.7% male, and 53.3% female). Thus, frequency of maxillary anterior distema, was comparatively higher in class II. div. 1. than in class III. 4. The percentage of high canine was 25.1% (53.2% male, and 46.8% female) on the whole, and was 86.0% male and 76.6% female in right side, 73.0% male and 72.3% female in left side. In calss II. div. 2., the percentage was 53.6% (46.7% male, and 53.3% female ). In class II. div. 1., the percentage was 16.7% (46.2% male, and 53.8%) with higher frequency in class II. div.2. 5. The percentage of deep overbite was 23.0% (43. 2% male, and 56.8% female) on the whole. Ia class 11. div. 2., and in clas sll. div. 1., its were 89.3%(48.0% male and 52.0% female), 54.5% (40.9% male, and 59.1% female) respectively. This result can be considered as one of the characterics of Angle's class 11 malocclusion group. 6. The percentage of spacing was 23.0% (36.8% male, and 63.2% female) on the whole, In class II. div. 1., and in class II. div. 2., its were 26.1% (44.3% male, and 55. 7% female), 7.1% (50.0% male, and 50.0% female) respectively. 7. The percentage of open bite was 14.3% (42.6% male, and 57.4% female) on the whole with higher rate on the anterior part. It rated 17.6%(50. 0% male, and 50.0% female) in class III, but none in class II. div. 2. 8. The percentage of crossbite was 22.5% (55.8% male, and 44.2% female) on the whole, with higher frequency on the anterior part than on the posterior part. In Angle's class III, it rated as much as 55.1% (57.6% male, and 42.4% female). 9. The percentage of edge-to-edge bite was 20.4% (47.6% male, and 52.4% female) with higher frequency on anterior part than on posterior part. 10. The percentage of irregularities of teeth in various malocclusion groups, was 21.5% (24.8% maxillary, and 18.1% mandible) in crowding, 20.8% (23.5% maxillary, and 18.0% mandible) in rotation, 10.7% (10.6% maxillary, and 10.8% mandible) in cross bite, 9.5% (11.8% maxillary, and 7.3% mandible) in spacing, 8.5% (8.5% maxillary, and 8.5% mandible) in edge-to-edge bite, 8.1% (8.3% maxillary, 7.8% mandible) in open bite. Crowding teeth, spacing teeth, and rotating teeh were more prevalent in anterior part than in posterior part. Cross bite teeth and edge-to-edge bite teeth were more prevalent in class III malocclusion than in another.

  • PDF

Cone beam CT 영상과 석고모형 레이저 스캔 영상의 결합을 이용한 안면비대칭자의 치성보상 평가 (The assessment of dentoalveolar compensation in facial asymmetry individuals: integration of cone beam CT and laser scanned dental cast images)

  • 송효경;손우성;박수병;김성식;김용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373-38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CBCT 영상파 석고모형 레이저 스캔 영상의 결합하여 안면비대칭자의 치성보상을 3차원적으로 계측하고 비교하였다. 안면비대칭자 30명과 정상교합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CBCT 영상에서 두개악안면 골격에 대한 기준 좌표계를 설정하고 석고모형 레이저 스캔 영상에서 견치와 제1대구치의 3차원적 위치와 각도를 계측하여 그 차이(dev.-ndev.)를 구하였다. 두 집단을 비교 분석하고 이부 편위랑과의 상관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안면비대칭군의 편위측 상악 견치는 비편위측에 비해 $2.73{\pm}4.07\;mm$ 협측에 위치하였고, 편위측 상악 제1대구치는 비편위 측에 비해 $3.83{\pm}0.12\;mm$ 협측에 위치하였으며, $8.26{\pm}6.82^{\circ}$ 협측 경사되어 있었다. 비편위측 상악 제1대구치의 협측교두는 편위측에 비해 $1.76{\pm}0.11\;mm$ 정출되어 있었다. 편위측 하악 제1대구치는 비편위측에 비해 $6.01{\pm}0.14\;mm$ 설측에 위치하였고, 비편위측에 비해 $8.31{\pm}7.07^{\circ}$ 설측경사되어 있었다 (p < 0.01). 안면비대칭자는 이부 펀위량이 증가할수록 상악 제1대구치는 비편위측에 비해 편위측에서 협측 경사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하악 제1대구치는 편위측에서 설측 경사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상악 제1대구치의 모든 교두와 하악 제1대구치의 근심설측 교두의 수직적 위치는 비편위측에서 더 정출되는 경향을 보이며, 하악 견치와 제1대구치의 횡적 위치도 편위측에서 좀 더 설측으로 위치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안면비대칭군에서 편위측의 견치와 대구치가 비편위측에 비해 횡적으로 기울어져 있고, 수직적 위치 및 각도의 차이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소형 어로 크레인의 동적 거동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ynamic Behavior Characteristics of a Small Fishing Crane)

  • 이원섭;이대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7권3호
    • /
    • pp.163-173
    • /
    • 2001
  • 연근해 어업의 조업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소형 어로 크레인을 설계, 제작하고, 크레인 암(arm)의 앙각 및 선회 조작에 따른 부하의 전후 및 좌우 흔들림과 부하장력의 변동을 측정하여 크레인의 동적 응답특성을 분석,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설계, 제작한 어로 크레인의 능력은 2 T-M. 최대 작업 반경은 3.7m이고, 조작 방식으로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한 수동 및 원격조작, 비례제어밸브에 의한 수동 및 비례조작, 컴퓨터에 의한 제어조작이 가능하여 어로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 크레인의 앙각 제어 실린더(lifting control cylinder)의 단위 스트로크(stroke) 변화에 대한 크레인 암의 앙각 변화량은 약 $1.2^\circ$/cm이었고, 측정치와 계산치는 일치하는 경향 나타내었다. 3. 크레인 암의 전방에 위치한 부하를 솔레노이드 밸브 조작에 의해 수직으로 인양할 때, 맨 처음 나타나는 부하의 전후방향에 대한 흔들림 주기와 각도 변동폭은 각각 3.0sec, $\pm17.2^\circ$이었다. 또한, 크레인 암에 현수되어 있는 부하를 솔레노이드 밸브 조작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시킬 때. 맨 처음 나타나는 부하의 좌우방향에 대한 흔들림 주기와 각도 변동폭은 각각 2.9 sec, $\pm11.0^\circ$이었다. 4. 크레인 암에 현수되어 있는 부하를 솔레노이드 밸브 조작에 의해 동시에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시킬 때, 크레인 암의 상승속도 및 선회속도는 각각 $4.46^\circ$/sec, $6.4^\circ$/sec이었다. 5. 크레인 암의 전방에 위치한 부하를 비례제어밸브 조작에 의해 수직으로 인양할 때, 맨 처음 나타나는 부하의 전후방향에 대한 흔들림 주기와 각도 변동폭은 각각 2.9sec,$\pm8.4^\circ$이었다. 또한, 크레인 암에 현수되어 있는 부하를 비례제어밸브의 조작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시킬 때, 부하의 전후 및 좌우방향에 대한 흔들림이 거의 없어 비례제어밸브의 조작 변위량과 조작 속도를 적절히 조절하면 부하의 흔들림 현상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측두하악관절내장 환자의 진단분류에 따른 하악운동 특성의 분석 (Analysis of the Mandibular Movements in Patients with Internal Derang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ccording to Diagnostic Subgroups)

  • 김병연;기우천;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3권1호
    • /
    • pp.21-36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se the mandibular movements in patients with internal derang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ccording to diagnostic subgroups. The author classified patients with internal derang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into 4 diagnostic subgroups by means of the magnet resonance imagings, and evaluated the clinical signs and the mandibular movements with Mandibular Kinesiograph(MKG) in each subgroups. The mandibular movements, measured in this study, were the types of movement in frontal and sagittal plane, velocities in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velocity pattern. The data were compared between the 5 groups including the normal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Pain was more frequently observed in the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group than in the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 reduction group. Sound of joint was more frequently observed in the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 reduction group, and limitation of mandibular opening movement was more frequently observed in the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group. Duration of the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group was significantly short compared to that of the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 reduction group, and duration of the unilateral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group was shortes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frequency of Angle's classifications had not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2. Active and passive range of the opening movement, maximum protrusive movement, maximum lateral movement toward left sid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nge of the maximum lateral movement toward right side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 groups. In unilateral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group, the range of maximum lateral movement toward unaffected sid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nge of the maximum lateral movement between toward affected side and toward unaffected side. 3. Maximum opening velocity, maximum closing velocity, average opening velocity, average closing velocity and maximum velocity of terminal tooth contac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s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ximum opening velocity and maximum velocity of Terminal tooth contact between the subgroups of the experimental group each other,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maximum closing velocity, average opening velocity and average closing velocity between the subgroups each other. 4. In the frontal plane of the MKG, the frequency of complex deviation type(F-2)patter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 out reduction group compared to the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 reduc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sagittal plane, the frequency of coincident type(S-1)was decreased in the same group. 5. In the maximum opening velocity pattern, the frequency of no-peak type (OV-3)in the unilateral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 reduction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frequency of 1-peak type (OV-1) and 2-peak type (OV-2) was decreased in the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 out reduction group, but the frequency of no-peak type (OV-3)was increased in the same group. In the maximum closing velocity pattern, the frequency of no-peak type (CV-3)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group. Compared to the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 reduc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frequency of 1-peak type (CV-1) and 2-peak type (CV-2) in the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 reduction group was decreased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 PDF

파동에 의한 모형정치망의 형상변화와 어류대망행동 - 파동에 의한 모형정치망의 형상과 장력변화 - (Shape of the model pound net affected by wave and fish behavior to the net - Shape and tension of the model pound net affected by wave -)

  • 이주희;권병국;윤일부;김삼곤;유제범;김부영;김병수;이혜옥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3권2호
    • /
    • pp.101-115
    • /
    • 2007
  • The pound net fishery is very important one in Korean coastal fishery and it need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t affected by many factors. It is considered that the structure and the shape of the pound net can be changed by the direction and speed of current, wave height, depth and conditions of sea bed. However, most of all, the speed of current and wave height influence more upon the pound net than any other factors to deform and flutter. In this study, author carried out the experiments with a model of double one-side pound net made by the similarity law as 1:100 scales at a real experimental area, and additionally the model net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circulating water channel i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The author analyzed the data of transformation of shape and tension of the model pound net to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and wave acting on it.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flow affecting on the fish court net or bag net, the deformed angle and depth to the side panel and bottom of box nets becomes bigger as the wave gets higher and the period of wave is faster. The tension in both upward or downward tends to be changed by the speed of wave. Those value of changes occurred similarly in either fish court net or bag net. Generally, when bag net is located at upward of flow, the value of tension was bigger 10% than any other location or nets. Regardless of the setting direction, the tension of the pound net is increased in proportion to flow speed, wave height and period of wave, and it becomes bigger about 15-30% at upward to flow than downward. Where the flow is upward in the court net, the tension in the wave increased to 37% compared to the one in the flow only in the condition of flow of 0.1-0.3m/s. Where the flow is upward in the bag net, the tension in the wave increased to 52% in the flow of 0.1m/s, and the tension increased to 48% in the flow of 0.2-0.3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