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rub layer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27초

지심도 상록활엽수목의 생태학적 연구 (An Ecological Study o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of Jisimdo)

  • Kim, Joon-Ho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7권2호
    • /
    • pp.51-60
    • /
    • 1984
  • Jisimdo is an island wher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are well preserved. Soil environments and forest structures of Jisimdo were investigated, and an actual vegetation map and profile diagrams were drawn out. The natural vegetation of Jisimdo was divided into two stand units, one was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and the other was Pinus thunbergii forest. 26 species were identified as evergreen broadoeaved trees, and among them, Camellia japonica was the dominont of the tree layer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Profile diagram shows that Camellia japonica, with average height of 7∼8m, formed lower tree layer, and laurels like Cinnamomum japonicum, Machilus thunbergii, and Neolitsea sericea formed upper tree layer. In Pinus thunbergii forest, plants of shrub and herb layers were abundant because of much light penetrated into the forest floor, and these layers were largely composed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This fact shows the possibility of succession from Pinus thunbergii forest into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Jisimdo is geographically adjacent to Jangseungpo and Okpo, and this increases the economic value of Jisimdo as a place of public resort. It will be necessary from being destroyed by land development and human interferences.

  • PDF

일본 특별천연기념물 녹나무군락의 특성 분석 (The Characteristics of Cinnamomum japonicum Community in Japan's Special Natural Monument Area)

  • 심항용;박석곤;최송현;이상철;유찬열;성찬용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2-63
    • /
    • 2019
  • 일본 특별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후쿠오카현(福岡?) 카스야군(粕屋郡) 다치바나산(立花山) 일원의 녹나무군락지를 대상으로 식생구조 특성을 분석했다. 본 조사지의 녹나무는 교목층(수고 약 30m, 평균흉고직경 92.79cm)에서 우세했으나,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는 출현하지 않았다. 아교목층과 관목층에는 녹나무의 경쟁종이자 난온대 천이 후기종인 구실잣밤나무 후박나무 참식나무 생달나무 등이 주로 분포했다. 또한 이곳은 종다양성이 전반적으로 낮아, 전형적인 상록활엽수림과 다른 식생구조를 보였다. 이는 과거 귀한 가치가 있던 장뇌(樟腦)를 생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녹나무를 조림하여 보호 육성했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이곳은 장뇌 원료를 채취하지 않으면서 90년 동안 인위적 관리가 없었는데도 독특하게 식생천이가 진행되지 않았다. 이는 녹나무가 수관층을 압도적으로 우점하여 숲틈이 발생되지 않아 식물종의 유입이 제한되고, 녹나무의 타감효과로 인해 치수 발아가 방해된 것이 원인으로 생각된다.

일본 고베시(神戶市) 포트아일랜드 가로녹지 구조 유형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e Style of Street Green Spaces on Port Island, Kobe, Japan)

  • 곽정인;한봉호;노태환;곽남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62-74
    • /
    • 2015
  • 본 연구는 일본 고베시(神戶市) 해안 매립도시인 포트아일랜드 가로녹지의 지형구조별 도로 유형, 주변 토지이용, 식재구조를 조사 분석하여 녹지량이 풍부한 가로녹지 식재기법 사례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포트아일랜드(총면적 826ha)는 일본 내에서도 최초의 인공섬으로 항만시설과 본격적인 도시기능시설을 겸비한 해상문화도시이다. 연구대상지내 $55{\sim}285m^2$ 면적의 조사구 11개소를 설정하여 조사 한 결과, 가로녹지의 지형구조는 마운딩형, 사면형, 사면+평지형, 평지형의 4개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인접한 도로의 폭에 따라 지형구조가 변화하였다. 인접한 도로의 차선이 많아서 소음, 공해물질 등 영향을 많이 받는 지역은 마운딩형, 사면형, 사면+평지형 등의 지형구조와 광폭의 다층구조 녹지대를 조성하였고, 도로차선이 적은 지역인 경우, 평지형의 지형구조와 화관목 위주의 관목을 식재하여 가로띠녹지를 조성하였다. 인접한 토지이용은 공공기관, 공동주택지, 주상복합지, 상업업무지 등이었고, 식재개념은 중로(4차선)의 경우 완충+경관기능, 소로(2차선)의 경우 경관기능이었다. 식재종은 대만풍나무, 녹나무, 조구나무, 참죽나무, 담팔수, 은행나무, 벚나무, 느티나무, 종가시나무, 향나무, 목련, 철쭉류, 동백나무, 꽃댕강나무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식재밀도는 교목층 0.02~0.08(0.04)주/$m^2$, 아교목층 0.02~0.08(0.04)주/$m^2$이었고, 녹피율은 교목층 40.0~173.7(93.0)%, 아교목층 2.1~79.8(34.9)%, 관목층 17.9~64.2(4.13)%이었다. 녹지용적계수는 교목층 $1.43{\sim}6.67(4.13)m^3/m^2$, 아교목층 $0.02{\sim}2.01(0.85)m^3/m^2$, 관목층 $0.14{\sim}0.58(0.26)m^3/m^2$이었다. 포트아일랜드 가로녹지의 녹피율은 서울시 주요 가로녹지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고, 특히 관목층 녹피율과 녹지용적계수는 우리나라 주요 가로녹지와 비교하였을 때 많은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현재 우리나라에 조성되고 있는 해안 매립기반 도시의 가로녹지 조성 시 지형구조, 식재구조, 식재기능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가로녹지 조성기법 사례지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일본 고베시(신호시(神戶市)) 로코(육갑(六甲))아일랜드 임해매립지의 완충녹지 식재기법 연구 (Planting Method of Buffer Green Space in the Reclaimed Seaside Areas, Rokko Island, Kobe, Japan)

  • 한봉호;김종엽;최진우;조용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7-165
    • /
    • 2010
  • 본 연구는 일본 고베시 로코아일랜드 완충녹지의 공간기능별 지형구조, 식재개념, 식재구조를 조사분석하여 해안매립도시의 토지이용을 고려한 완충녹지 식재기법 연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로코아일랜드(총면적 580ha)는 대규모 완충녹지를 박스형으로 조성하여 외곽부의 항만물류 산업용지와 도시내부 도시기능용지로 구획되었다. 완충녹지 지형구조는 편향마운딩형, 병렬마운딩형, 복합마운딩형이었고, 북쪽의 녹지폭은 50m, 동쪽의 녹지폭은 8~32m, 서쪽의 녹지폭은 37.5m, 경사도는 $18\sim25^{\circ}$, 성토고는 2~15m이었다. 공간기능별 재개념은 해안측 사면부는 경관식재와 완충식재, 도시내부는 경관식재와 녹음식재를 적용하였다. 북측 완충녹지 식재구조 조사결과, 종가시나무, 녹나무, 후박나무, 녹보리똥나무 등 난온대 상록활엽수를 식재하였고, $100mm^2$단위의 종수 및 식재밀도는 최대 교목 9종 22주, 아교목 9종 15주, 관목 3종 67주로 전 층위 14종 104주이었다. 녹피율은 교목층 69~139%, 아교목층 26~38%, 관목층 6~7%, 전 층위 101~184%, 녹지용적계수는 교목층 $1.40\sim3.12m^3/m^2$, 아교목층 $0.43\sim0.55m^3/m^2$, 관목층 $0.06m^3/m^2$, 전 층위 $1.89\sim3.73m^3/m^2$이었다.

지리산국립공원의 산림환경에 따른 번식조류의 풍부도 (Abundance of Breeding Birds in Relation to Forest Environment in Jirisan National Park)

  • 이도한;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20-324
    • /
    • 2008
  •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에서 번식기동안 산림환경에 따른 번식조류들의 풍부도를 조사하여, 번식조류 풍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고 조류서식지의 효과적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실시하였다. 조사를 위하여 주등산로 4개소를 조사지로 선정하고 2007년 4월부터 8월까지 번식조류 및 산림환경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리산국립공원의 고도 300m부터 1900m에서 번식기동안 관찰된 조류는 총 33종이었으며, 전체 조사지점의 30%이상에서 출현한 13종과 종풍부도, 개체수풍부도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으로 산림환경 인자들 중 조류들의 풍부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한 결과 각 종들은 고도의 영향을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환경 인자들 중 교목층 12m이상 엽층피도율, 수구 관목층 엽층피도율, 경사도, 아교목층 4-2m 엽층피도율 등은 고도보다 더 많은 종의 풍부도 변화에 영향력 있는 인자들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지리산국립공원 번식기 조류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해 교목층 12m이상 엽층피도율, 수고, 관목층 엽층피도율, 경사도, 아교목층 4-2m 엽층피도율 등의 유지 관리가 필요하다.

Growing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of 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 Native Habitats in Korea

  • Lee, Da-Hyun;Son, Ho-Jun;Park, Sung-Hyuk;Kim, Se-Chang;Park, Wan-Geu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5권1호
    • /
    • pp.31-40
    • /
    • 2019
  • 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 is an endangered deciduous shrub distributed in mountain areas that is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soil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of habitats of 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 habitat in Korea in order to help with management decisions on ecosystem restoration. Rock exposure was 15 to 35%, with an average of 24%. The native habitat of D. pseudomezereum included 129 taxa consisting of 46 families and 95 genera. Two-way cluster analysis divided the habitat into three plant communities: Community I (dominaterd by Tilia amurensis and Quercus mongolica), Community II (dominaterd by Fraxinus rhynchophyll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and Community III (dominaterd by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The diversity indices for Communities I, II, and III were 1.124, 1.047 and 0.932, respectively. The soils were loam or clay loam. Soil pH, organic matter content, and available phosphoric acid were 5.40, 14.38%, and 31.08 ppm, respectively. Ordination analysis resulted that most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D. pseudomezereum distribution were magnesium content of soil, shrub layer, and altitude.

주왕산국립공원 등산로의 이용패턴 및 주변환경훼손에 대한 이용영향 (Use Pattern and Impacts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n and around Trails in Chuwangsan National Park)

  • 권태호;오구균;이준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67-176
    • /
    • 1995
  • 주왕산국립공원 입장객은 가을철이 여름보다 많았으며, 입장객의 약 89%가 주등산로를 이용하고 있고 약 35%정도는 제 3폭포까지 방문하고 있었다. 총 16km, 103개 지점에서 등산로 상태를 조사한 바 등산로폭, 나지노출폭, 최대침식깊이 및 등산로물매는 이용강도에 따른 차이가 인정되었다. 훼손유형은 주로 암석노출, 뿌리노출, 종침식의 순이었고 이들 지점의 등산로상태는 건전한 지점과 차이를 보였다. 주연부의 상층식생은 등산로의 지형적 위치에 따라 우점종의 차이를 보였으며, 관목층에서는 조록싸리, 산철쭉, 쇠물푸레가 우점종이었다. 주연부 관목층의 피도, 종수 및 개체수는 이용강도가 높은 다른 국립공원들에 비해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 PDF

아고산대 주목 군락의 식생구조에 관한 연구 (Vegetation Structure of Taxus cuspidata Communities in Subalpine Zone)

  • 조민기;정재민;정혜란;강미영;문현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5호
    • /
    • pp.1-10
    • /
    • 2012
  • 본 연구는 설악산, 발왕산, 태백산, 오대산의 아고산대에 분포하는 주목 군락의 보존과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종조성과 흉고직경급을 조사, 분석하였다. 각 조사지의 교목 아교목 관목층의 층위별 식생은 설악산 11, 22, 33종, 발왕산 15, 21, 33종, 태백산 10, 23, 36종, 오대산 14, 30, 32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층위별 중요치 분석 결과, 전 조사지의 교목층은 주목과 분비나무, 아교목층은 주목, 분비나무, 시닥나무, 관목층에서는 미역줄나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 조사지에 있어서 종다양도는 교목층 0.834~1.234, 아교목층 1.125~1.329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흉고직경 분포에서는 오대산지역의 주목개체군이 역J자형의 유형을 보이고 있어 주목군락이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중부지방 비목나무 자생림의 식물군집구조 분석(I) (Plants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of Lindera erythrocarpa Native Forest in the Central Korea(I))

  • 이동철;심경구;최송현;이경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3-157
    • /
    • 1994
  • This study was executed to find out the succession stage and the ecological niche of Lindera erythrocarpa Markino. Four sites were selected by field investigation. They are Jeondungsa and Jeongsusa of Kanghwa Island, Mt. Suri of Anyang and Mt. Gaya of Chungcheongnamdo. They located in the region which have the similar temperature with Seoul region or lower average temperature for winter than that of adjacent Seoul. In the four sites, L, erythrocarpa was appeard in canopy layer at L. erythrocarpa community in Jeondungsa, L. erythrocarpa-Q. serrata, Z. serrata-L. erythrocarpa community in Jeongsusa, Castanea crenata-L, erythrocarpa community, L. erythrocarpa-Q. serrata community in Mt. Gaya and in the rest of the sites, it lives in subtree and shrub layer. And in the four sites but Jeongsusa area, it correspond with Chang(1991)'s study that L. erythrocarpa is dominant species in the site impacted by human. L. erythrocarpa lives with Quercus spp. such as Q. serrata, Q. variabilis, Q. mongolica and Carpinus laxiflora but it's presumably a passing phenomena.

  • PDF

Ecological Studies on the Vegetation of Castanea crenata Community and Both Sides

  • Huh, Man-Kyu;Cho, Joo-Soo;Jang, Gi-Bong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6
    • /
    • 2008
  • The characters of Castanea crenata community which is associated with human activities recently extended around the field of Saengbiryang-myeon at Sanseong-gun in Gyeongsangnam-do. The C. crenata community and its outskirts were investigated for several ecological parameters an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ellows. C. crenata is prevailing in the plantation area, whereas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are prevailing in its outskirts. The mean species diversity of plantation was lower than that of natural forests. In stratification of investigated areas, overstory tree layer was dominant in the zone of plantation and dominant layers in the natural forest were understory tree layer, shrub, and herb. Plant biomass and net production which estimated from degree of green naturality were much higher in natural forests than those of the plantation community. Least significant differences (LSD) post hoc analysis revealed that P. densiflora and Q. mongolica community had significantly greater than densities than C. crenata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