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ell fish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38초

Environmental Radioactivity Prior to the Kori Nuclear Power Plant Operation

  • Pak, Chan-Kirl;Yang, Kyung-Ri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13-25
    • /
    • 1978
  • 1970년 12월에서 1976년 12월 사이의 6년간 고리 원자력발전소 주변 환경에서 채취한 시료에 대하여 환경방사능을 측정조사하였다. 1976년에 채취한 공기미진에서 진알파 방사능과 1970년 12월에서 1976년 12월 사이에 채취한 시료인 토양, 물, 공기미진, 낙진, 솔잎, 빗물과 여런 식품시료에 페하여 전베타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시금치, 배추, 보리, 쌀, 뱀장어, 조기, 미역, 파해 및 우유 중에 함유된 스트론튬-90및 세시움-137 방사능은 방사화학적으로 분석하여 측정하였고 정수, 하천수, 바닷물 중의 트리튬도 전해법으로 농축하여 그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 PDF

중금속 오염 패류를 먹이로 한 마우스 장기의 조직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Patho-Histologic Study of Mouse which Fed with Heavy Metal Containing Shell Fish)

  • 소진탁;유일수;김재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2-60
    • /
    • 1992
  • Clams were collected from mouth part of Mangeong Gang(river) of which heavy metals were heavily contaminated. Scapharca subcrenata, one of the clams, were fed to mice for 1-2 months with regular food stuffs. Eventhough difference of body weight was recogniz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normal diat group, accumulation of heavy metals examined, cadmium was found 1.16 $\mu\textrm{g}$/gm in liver, 3.31 $\mu\textrm{g}$/gm in kidney and 0.21 $\mu\textrm{g}$/gm in blood of experimental group at 60th day, whereas 0.14 $\mu\textrm{g}$/gm, 0.35$\mu\textrm{g}$/gm and 0$\mu\textrm{g}$/gm respectively in normal diet group ate tje same period. No specific histo pathological finding was found in brain and kidney, although slighr fatty change and focal necrosis were found in liver tissue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second month.

  • PDF

우릉쉥이(Cynthia roretzi v. Drasche)의 소화효소에 대하여 (제1보) Amylase의 효소적 성질 (Studies on the Digestive Enzyme of Cynthia roretzi V. Drasche. I . Some Enzymatic properties of Hmylase.)

  • 서석구;양한술
    • 약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5-50
    • /
    • 1960
  • Some enzymatic properties of Cynthia roretzi v. (Drasche Korean : U-Rung-Shei) was studied by author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optimum pH of the digestive gland amylase was 6.8-7.0 2. Activity of metallic ion on the amylase showed the following order; 10$^{-3}$ M M $n^{++}$>10$^{-3}$ M $Co^{++}$>10$^{-4}$ M $Mg^{++}$>10$^{-4}$ M $Ca^{++}$>10$^{-2}$ M Z $n^{++}$>10$^{-2}$ M P $b^{++}$ 3. The digestive gland enzyme inactivated at 70.deg. C. 4. When the enzyme concentration increase 2 times, the enzymatic activity also increase, but not propertionally. 5. The digestine gland amylase showed remarkably higher enzymatic activity than the intestinal amylase. 6. The digestive gland amylase from the ascidian showed remarkably higher enzymatic activity than the heptancreatic amylase from shell fish (Turbo (Batillus) Cornutus Solander).nder).nder).

  • PDF

참전복 사료의 단백질원 평가 (Evaluation of Dietary Protein Sources for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이상민;윤성종;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9-29
    • /
    • 1998
  • 참전복 사료에 적합한 단백질원을 조사하기 위하여 카제인, 어분, 육분, 우모분, 혈분, 대두박, 콘글루텐 밀, 면실박, 미역분을 첨가한 배합사료와 천연 먹이인 생미역과 건조 다시마를 선정하여 그 이용성을 비교하였다. 평균체중 0.11 g인 치패를 실험수조마다 70마리씩 수용하여 18주간 사육한 결과, 생존률은 카제인, 북양어분, 육분, 우모분, 미역분과 소맥분을 첨가한 실험구들이 서로 유의차없이(P>0.05) 타 실험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실험구들의 최종평균체중은 0.27~0.74 g으로 북양어분을 첨가한 실험구가 0.74 g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두박 및 미역분말을 첨가한 실험구들이 북양어분 첨가구와 유의적인 차이없이(P>0.05)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카제인 첨가구는 0.64 g으로 북양어분 첨가구와는 유의차를 보였으나(P<0.05). 다음으로 면실박과 소백분 첨가구가 0.55~0.57 g으로 양호한 성적을 보였으며, 육분 첨가구는 0.44 g, 천연 먹이인 생미역과 건조 다시마 공급구는 0.29~0.34 g, 우모분과 콘글루텐 밀 첨가구는 0.26~0.27 g으로 나타났으며, 혈분 첨가구가 0.19 g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P<0.05). 증체율과 각장 및 각폭도 평균체중 변화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실험 종료시 가식부의 수분과 단백질 함량은 각각 78.5~79.6% 및 13.2~14.2%로 사료의 단백질원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어분, 대두박, 면실박, 미역분말 또는 소백분은 참전복 사료의 훌륭한 단백질원이 될 것으로 기대되어 참전복 사료의 단가를 절감시키고, 사료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PDF

수산식품 중 노인성 퇴행성 질환과 관련된 알루미늄 함량 및 그에 따른 수산식품의 이용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Aluminum Content in Fishes Caught from Several Areas of the West Coast in Korea)

  • 김애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512-518
    • /
    • 1997
  • 알루미늄 등 중금속 오염이 점점 심화되고 있는 서해안 일부지역에서 포획되고 있는 46종의 어패류 중 알루미늄 함량의 평균은 88.38$\pm$189.03ppm으로 그 범위는 0.97-827.70ppm이었는데 24종의 생선 중 알루미늄 함량은 그 범위가 0.97ppm에서 45.12ppm으로 건실치에 가장 많았고 도미에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15종의 연체류가 함유하고 있는 알루미늄 함량은 3.40ppm에서 827.70ppm으로 그 차이가 매우 컸는데 복족류인 소라에 3.40ppm으로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었고 이매패류인 대합에 826ppm, 해락에 812.55ppm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7종의 젓갈의 알루미늄 함량은 2.50-295.15ppm으로 그 차이가 컸는데 황새기젓과 한치젓에는 그 함유량이 낮았지만 조개젓과 곤쟁이젓에는 많은 양의 알루미늄이 함유되어 있었다 생선과 연체류 및 젓갈중에 함유되어 있는 알루미늄 함량간의 유의차를 검증한 결과 연체류의 알루미늄 함량이 생선과 젓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이는 일생동안 주거지를 크게 움직이지 않는 생육조건을 갖는 이매패류의 특성때문으로 사료된다.

  • PDF

화학적 살균소독제를 활용한 생선중 존재하는 자연균총 및 주요 식중독균 제어 (Bacteriocidal Effect of Chamical Sanitizers on Natural Microflora and Pathogenic Bacteria in Fish)

  • 김일진;김용수;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65-6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질유래 살균소독제인 CaO가 고등어와 참조기에 존재하는 자연균총, Escherichia coli, Vibrio parahaemolyticus에 미치는 살균소독효과를 관찰하였고 염소계, 주정, 과산화수소계 등과 같은 주요 화학적 살균소독제와 비교하였다. CaO 0.05%처리했을 때 고등어와 참조기의 총호기성균의 생균수 감소율은 $2.6{\times}10^3,\;3.2{\times}10^4$, E. coli는 $6.3{\times}10^3,\;1.2{\times}10^4$, V parahaemolyticus는 각각 $5.4{\times}10^4,\;5.6{\times}10^4$ 생균수 감소율을 보였다. CaO (0.05%)의 살균력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살균소독제인 염소계, 과산화수소계 보다 우수하지는 못하였으나 염소계 50 ppm과 유사하였고, V. parahaemolyticus의 경우에는 $10^4$정도 감소율을 보여 염소 100 ppm과 과산화수소계 0.5%와 대등한 효과였다. 본 연구에 따라 CaO는 기존의 화학적 살균제를 대체할 수 있는 좋은 천연물질 유래 살균소독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시판젓갈류의 품질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Quality Evaluation of Commercial Salted and Fermented Seafoods)

  • 이경행;김재훈;차보숙;김정옥;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427-1433
    • /
    • 1999
  • 시판 젓갈류의 품질표준화 및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품질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현재 국내에서 수요가 많은 새우젓, 오징어젓 및 조개젓을 대상으로 미생물적, 관능적 및 화학적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시판 새우젓의 관능검사 결과와 아미노태 질소함량은 상관계수가 0.913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약 $150{\sim}300\;mg%$ 범위에서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이 높을수록 기호도가 높았다. VBN 함량은 약 $25{\sim}70\;mg%$ 정도로 함량이 많을수록 기호도가 높았고 관능검사 결과와 높은 상관관계(0.7607)가 있어 새우젓 제품의 품질평가에 적합하였다. 시판 오징어젓은 pH가 6.0이상이었을 때 기호도가 높아 관능검사와의 상관계수가 0.8467로 나타나 단순히 pH만으로도 오징어젓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으며 VBN 함량은 30 mg%이하의 제품에서 기호도가 높았으며 상관계수도 0.9581로 가장 높게 나타나 pH와 함께 품질평가에 적합한 실험항목이었다. 시판 조개젓은 VBN의 함량이 40 mg% 미만이었으며 함량이 낮을수록 관능검사 결과가 높아 관능검사와의 회귀분석에 의한 상관계수는 0.9497로 높게 나타나 조개젓의 품질평가에 적합하였다.

  • PDF

우리나라 가공식품(加工食品)중의 Clostridia perfrigens의 분포(分布) (Clostridium Perfringens Associated with Korean Canned Foods)

  • 한왕수;조양자;권종규;서인수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7-67
    • /
    • 1976
  • A total of 100 swelled, springered or flippered canned meat and fish products were studied the degree of contamination with clostridias and serological relationships to Hobbs'13 "heat resistant" types, heat resistance of spores and susceptibility of Clostridium perfringens isolates to several antibiotics. Samples examin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Seoul area from June to October, 1975 and prepared in Korea. Clostridias were isolated from 46(46%) of these samples; 19 strains of Cl. perfringens, 9 strains of Cl. oedematiens A, B, 5 strains of Cl. sordelli, each 3 strains of Cl. chauvoei, Cl, oedematiens C.E, and Cl. difficile, 2 strains of Cl. sporogenes. The highest percentage of contamination by Cl. perfringens was found in beef products(26.5%), and the following(5.2%) in mackerel pike and none in baitop shell. whale, manna brand. and top shell. One of 19 isolates of Clostridium perfringens found in meat products was shown to produce heat resistant spores which resist $100^{\circ}C$ for 60 minutes and others were heat labile strains which is killed at $90^{\circ}C$ for 30 minutes. The distribution of Hobbs' serotype of 19 isolates were each 4 strains of type 6, 8, and 11, 1 strain of type 13 and others untypable. 19 Strains of Cl. perfringens were shown a marked susceptibility to cefamezin, lincomycin and minocin and relatively sensitive to vibraimycin, geopen, and chloramphenicol. A marked resistance to kanamycin, colimycin, and gentamycin were shown. Aerobic enteropathogens from samples were not recovered.

  • PDF

난황 콜레스테롤과 지방산 조성에 관한 서로 다른 지방의 첨가 효과 (Effects of Dietary Fats on the Cholesterol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Egg Yolk)

  • 강환구;김겸헌;박병성;장애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17-524
    • /
    • 2006
  • 계란 품질, 난황 콜레스테롤 함량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에 관한 산란계 사료 내 서로 다른지방의 첨가효과를 조사하였다. 36주령의 Hyline brown 산란계 총 200수(4처리구${\times}$50수/반복)를 공시하여 우지, 옥수수유, 아마인유 및 어유를 각각 5.0% 함유하는 실험사료를 10주간 급여하였다. Haugh unit, 파란 강도, 난각 두께 및 난황색에 대한 처리구 간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첨가지방은 계란 콜레스테롤 함량과 고도 불포화지방산 조성을 현저하게 변화시켰다. 난황의 n-6지방산 함량은 옥수수유 첨가구가 31.61%로써 가장 높았고 우지, 아마인유 및 어유 첨가구순으로 낮았으며, n-3 지방산 함량은 아마인유와 어유 첨가구가 각각 9.74%, 5.16%로써 유의적 증가 경향을 나타냈다(p<0.05). 난황지방 산 조성의 n-3지방산 증가는 계란 콜레스테롤 함량 감소를 초래하였다. 난황 콜레스테롤(mg/g yolk) 및 계란 콜레스테롤(mg/60g egg) 범위는 각각 $15.98{\sim}18.37mg$$227{\sim}261mg$으로써 우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어유, 아마인유 및 옥수수유 첨가구 순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0.05). 난황 콜레스테롤의 감소율은 우지 첨가구와 비교하였을 때 어유 13.01%, 아마인유 11.49% 및 옥수수유 6.91%로써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0.05). 이상의 결과는 산란계 사료 내 첨가되는 지방급원을 조절해 줌으로써 계란 콜레스테롤을 낮출 수 있으며 n-6와 n-3 지방산을 난황으로 축적하는 것이 가능함을 시사해준다.

조개류에 기생하는 흡충류에 관한 연구 - Cercaria tapidis, Cercaria harengulae 의 기생율 변동 (Studies on parasitic trematodes in bivalves -Variation of infection rate of Cercaria tapidis and Cercaria harengulae-)

  • 김영길;이근광;김영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3-30
    • /
    • 1995
  • 1980~1982 년에 서해안 금강 하구산 바지락과 맛조개의 생식소내에 기생하는 흡충류의 유충인 Cercaria tapidis 와 Cercaria harengulae 의 기생율을 보고 한 후 동지역에서 13~14 년이 경과한 1994~1995 년 1 월까지 바지락과 맛조개에서 흡충류 유충의 기생율 변동 상황을 조사하였다. 먼저 바지락에 기생한 Cercaria tapidis 는 년평균 기생율이 1981 년의 5.7% 보다 2.4 배가 많은 14.0% 로 증가하였고, 월 기생율이 가장 높았던 달은 10 월의 32.0% 로 1981 년 12 월의 23.3% 보다 훨씬 높은 기생율을 나타냈다. 또 바지락에서의 Cercaria harengulae 의 년평균 기생율은 1980 년의 5.0% 보다 감소한 2.3% 이었으며, 월 기생율이 가장 높았던 1994 년 5 월의 6.7% 는 1980 년 3 월의 19.0% 보다 훨씬 감소된 기생율이었다. 맛조개에서의 Cercaria harengulae 의 년평균 기생율은 1981~1982 년의 10.2% 보다 감소된 6.9% 이었고, 월 최고 기생율도 1981 년에는 8 월에 23.4% 이었으나, 1994 년에는 4 월의 13.3% 로 감소 되었다. 또 Cercaria tapidis 는 1980 년 조사시와 같이 크기가 클수록 기생율이 높았으나, Cercaria harengulae 는 오히려 각장이 작을수록 기생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