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pe of fruit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24초

오디 생산용 뽕나무 재배 현황 조사 (Survey and analysis of mulberry tree for mulberry production)

  • 성규병;김기영;지상덕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48-55
    • /
    • 2013
  • 지금까지 오디는 누에 사육을 위한 뽕나무 재배를 하고 남은 나무에서 생산되는 부산물로 여겨져 왔으나, 오디가 생산량과 소비가 크게 늘어나면서 새로운 소득작목으로 정착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기상재해에 의한 피해로 오디 안정생산이 문제가 되고 있어 농업재해보험 도입이 필요하다. 농업재해 보험 도입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오디 생산용 뽕나무 재배양식, 수형, 품종별 결실수, 오디 균핵병 발생양상, 생산량 및 판매가격 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10a당 뽕나무 식재주수는 낮추만들기에 적합한 품종을 재배하는 부안과 양평지역이 많았으며, 크게 재배하는 고창지역은 적었다. 최장 결과모지당 오디 결실수는 과상 2호, 수원뽕, 익수뽕, 청일뽕 순으로 많았으며, 오디 균핵병 발병율은 과상2호, 익수뽕, 청일뽕, 수원뽕 순으로 높았다. 10a당 오디 수확량은 청일뽕, 과상2호, 수원뽕, 익수뽕 순으로 많았으며, 수령별 수확량은 나무수령이 오래될수록 많았으나, 과상 2호는 어린 나무가 많았다. 오디 판매가격은 경기도 양평지역이 가장 높았으며, 고창지역이 가장 낮았다.

Development of cooking method for senior-friendly food using fruits suitable for older adults with masticatory dysfunction

  • Dasol Kim;Jihye Ryu;Hee-Sook Lim;Yong-Seok Kw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8권2호
    • /
    • pp.223-238
    • /
    • 2024
  • BACKGROUND/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fruit-cooking method suitable for older adults with masticatory dysfunction. MATERIALS/METHODS: Five types of fruits were selected to make fruit jelly and puree: apple, sweet persimmon, mandarin, Korean melon, and watermelon. Recip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 (KS) for senior-friendly foods (KS H 4897), which classifies foods into 3 levels (L1-L3) based on their hardness and viscosity. RESULTS: In South Korea, senior-friendly foods are classified into 3 stages based on their hardness. Stage 1 is for foods that are able to eat with teeth (hardness greater than 50,000 N and less than 500,000 N), Stage 2 is for foods that are able to eat with gums (hardness greater than 20,000 N and less than 50,000 N), and Stage 3 is for foods that are able to eat with the tongue (hardness less than 20,000 N).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hardness by varying the shape of the fruit, it was found that nearly all fruits could be eaten fresh by chewing with the teeth (L1) but did not meet the KS for mastication using the gums (L2) or tongue (L3), so the cooking method was selected as fruit jelly and fruit puree. Only sweet persimmon, which had a hardness of 61,624-496,393 N, was not suitable for consumption in fresh fruit, unprocessed form. Based on their hardness measurements, fruit jellies (27,869 to 36,343 N) and fruit purees (315 to 1,156 N) met the L2 and L3 requirements, respectively. The viscosity results of all fruit purees met the L3 requirement. CONCLUSION: These results offer a simple cooking method to prepare texture-modified fruits suitable for safe consumption by older adults living with masticatory difficulties in general households and nursing facilities.

Markable Green Synthesis of Gold Nanoparticles Used As Efficacious Catalyst for the Reduction of 4-Nitrophenol

  • Rokade, Ashish A.;Yoo, Seong Il;Jin, Youngeup;Park, Seong Soo
    • 청정기술
    • /
    • 제26권4호
    • /
    • pp.251-256
    • /
    • 2020
  • The biocompatibility and plasmonic properties of Au nanoparticles make them useful for photothermal therapy, drug delivery, imaging, and many other fields. This study demonstrated a novel, facile, economic, and green synthetic method to produce gold nanoparticles. Gold nanoparticles (AuNPs) with spherical and triangular shapes were effectively synthesized using only Schisandra chenesis fruit extract as the capping and reducing agent. The shape of the AuNPs could be engineered simply by adjusting the molar concentration of HAuCl4 in the reaction mixture. The as-synthesized AuNPs were characterized using UV-VIS spectroscop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X-ray diffraction (XRD),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and energy dispersive X-ray analysis (EDXA). This study revealed that by using the HAuCl4 concentration in the AuNP synthesis, the shape and size of the AuNPs could be controlled by the concentration of HAuCl4 and Schisandra chinensis fruit extract as a surfactant. The as-synthesized AuNPs samples had sufficient colloidal stability without noticeable aggregation and showed the predominant growth of the (111) plane of face-centered cubic gold during the crystal growth. The catalytic efficiency of the AuNPs synthesized using Schisandra chenesis fruit extract was examined by monitoring the catalytic reduction of 4-nitrophenol to 4-aminophenol using Ultraviolet-visible spectroscopy (UV-Vis spectroscopy). The synthesized AuNPs showed good catalytic activity to reduce 4-nitrophenol to 4-aminophenol, revealing their practical usefulness.

배 품종별 꽃받침 탈리와 유전 양식 (Calyx Abscission in Pear (Pyrus spp.) Cultivars and Its Inheritance)

  • 강삼석;김윤경;최장전;조광식;원경호;이한찬;유덕준;이희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6호
    • /
    • pp.790-797
    • /
    • 2013
  • 배는 꽃이 진 후 꽃받침의 탈리가 품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품종에 상관없이 꽃받침이 남아 있는 과실은 과정부가 비대하여 돌출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남방형 동양배 120품종, 북방형 동양배 52품종 및 서양배 34품종을 대상으로 꽃받침 탈리 여부에 따른 무체과 또는 유체과로의 발달 유무를 조사하고, 남방형 동양배 품종 간의 교배 조합 후대 실생의 유체과 발생률을 조사하여 꽃받침 탈리에 대한 유전 양식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유체과 발생률이 10% 이하이거나 유체과 발생률이 90% 이상인 품종의 비율이 무체과와 유체과가 혼재되어 발생하는 품종의 비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남방형 동양배, 북방형 동양배, 서양배순으로 유체과 발생률이 10% 이하인 품종의 비율이 높은 반면 서양배, 북방형 동양배, 남방형 동양배순으로 유체과 발생률이 90% 이상인 품종의 비율이 높았다. 꽃받침의 탈리 정도가 다른 품종 간의 교배에서 양친이 모두 유체과 발생률이 10% 이하인 경우에는 대부분의 후대가 유체과 발생률이 10% 이하인 실생이었으며, 양친이 모두 유체과 발생률이 90% 이상인 경우에는 대부분의 후대가 유체과 발생률이 높은 실생이었다. 무체과 품종이 화분친인 경우에는 종자친의 유체과 정도와 상관없이 무체과인 후대가 많은 반면, 종자친이 무체과이고 화분친이 다양한 수준의 유체과 발생률을 나타낸 교배 조합의 경우에는 후대에서 무체과와 유체과 실생의 비율이 유사한 경향을 보여 꽃받침의 탈리는 종자친보다는 화분친의 특성을 더 많이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꽃받침의 탈리 유무는 질적 형질이며 꽃받침의 탈리층 형성을 촉진하는 유전자들이 우성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사과 단과지성 중간모본 "원교 가-단과지 1호" (Apple Intermediate Parent of Spur Type "Wonkyo Ga-Dangwagi 1")

  • 허성;황정환;신일섭;신용억;김기홍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543-546
    • /
    • 2009
  • "원교 가-단과지 1호"는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고품질 중생종 "Starkrimson"에 무측지성 "McIntosh Wijick"을 1992년에 교배하여, 2000년부터 2008년까지 그 특성을 조사한 결과, 과실 특성이 뛰어난 계통을 중간모본으로 최종 선발 하였다. 만개기는 "홍로"와 비슷하거나 2일 정도 느리고, 숙기는 "홍로"보다 일주일 정도 느리다. 수세는 중, 수자는 반개장형이고, 단과지 형성 및 착과량은 "홍로"와 같이 많은 편이다. 과실은 장원추형이며, 과피색은 "홍로"와 같이 선홍색이다. 평균 과중은 218 g 내외이며, 당도는 $14^{\circ}Bx$로 높고, 산도는 0.41%로 새콤한 맛과 달콤한 맛이 아주 뛰어나 청년층의 기호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Breeding on High Lycopene and Beta Carotene with Multi-Disease Resistance in Tomato

  • Kim, Myung Kwon;Lee, Hee Bong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8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breed and develop high quality and functional nutrient tomato with multi disease resistance as well as a stable growing adaptation for fresh market usage under protected plastic houses cultivation. The materials were used 5 inbred lines and their 6 hybrids of large tomato group, which have been bred and developed from 1999 to 2007 in Division of Plant Resource Department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Fruit weight showed hybrid vigor effect that $F_1$ hybrids weighed more than their parent lines, fruit shape formed three type of oblate, deep oblate and globe shape, in firmness and pericarp thickness have got a high significant correlation, inbred DN611 line was measured the most firm fruit with 6.04 mm pericarp thickness. In fruit color at maturity, pink color crossed to red color appeared all red fruit color in the $F_1$ hybrids, it means red skin color is a dominant gene compared to pink skin color is a recessive gene in tomato, while between fruit skin color and shoulder part color showed no any co-relationship. The sugar content and titratable acid of $F_1$ hybrids inherited an intermediate data of their parent lines, the flavor of KP543 inbred line and the hybrid (JB535 x KP543) revealed the better taste with high brix and proper titratable acid content$^{*}$. In beta carotene content DN611 line showed 2~3 times higher than other materials so that its 3 hybrids contained an increased level of beta carotene, lycopene content was not so much difference among inbred lines and $F_1$ hybrids, of them MD508 contained higher of 8.72 mg and hybrid (JB535 x JA517) had 8.05 mg lycopene content per 100 g fruit, overall pink skin color and red skin color measured a higher lycopene content than yellow and orange skin color at ripe stage. In disease resistance test by PCR marker for Fusarium race2 (I2), Nematode (Mi1), ToMV ($Tm2^2$), Cladosporium (Cf9), (JB535 x JA517) hybrid have got multi-resistance with homozygote band in Nematode, ToMV, Cladosporium and heterozygote band in Fusarium race2. Through this breeding program we could select high quality and functional nutrient with multi resistant $F_1$ hybrids and inbred lines in tomato which are two best hybrids (JB535 x MD508), (JB535 x JA517), additionally developed high beta carotene inbred line DN611 and increased the level of lycopene inbred line MD508. These results will be very useful to make a high quality tomato variety continuously.

수직 다관절 사과수확로봇의 매니퓰레이터 개발 (I) -설계.제작- (Development of Manipulator for Vertically Moving Multi-Joint Apple Harvesting Robot(I) -Design.Manusacturing-)

  • 장익주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5권5호
    • /
    • pp.399-408
    • /
    • 2000
  • This study is final focused on developing fruit harvesting robot can distinguish fruit type and status accurately. Multi-joint robot is able to discriminate tree shape and select mature fruit by image processing. The multi-joint robot consists of (a) rotating base, (b)turning first joint-arm, (c)rotating and turning second joint-arm, (d)rotating and turning third joint-arm, (e)rotating and turning last joint and (f)picker hand. The operational ranges of the robot are: horizontal 860~2,220mm, vertical 1,440~2,260mm, 270 degrees’rotation angle, 90 or 270 degrees’turning angle. The robot weighs 330kg. The multi-joint robot was designed in high accuracy and efficiency by getting as close as the movements of human arms and waist.

  • PDF

화총내 착과위치에 따른 '신고' 배 (Pyrus pyrifolia Nakai) 과실의 품질비교 (Comparison of Fruit Quality among Fruits Set on Various Position within Cluster in 'Niitaka' Pears)

  • 이욱용;오경영;심훈기;이혁재;황용수;천종필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1호
    • /
    • pp.13-18
    • /
    • 2010
  • In order to prepare the technical fundamental in production of premium quality fruits of 'Niitaka' pears, we compared the quality parameters and storability of the fruits that had various fruit set position in a cluster. The fruits set on $4^{th}$ from basal part in fruit cluster had the largest fruit size. The weight of fruits set on the higher position than $4^{th}$ from basal part in fruit cluster showed decreasing tendency. The production rates of marketable fruits which had 500g to 899g in weight were the high in $3-5^{th}$ from basal part in cluster than those in other position. The differences of fruit height and diameter which represent balanced fruit shape also showed less difference in the fruits set on $4-5^{th}$ from basal part in cluster than the fruits set closely on basal part in cluster. The fruits set on $3-4^{th}$ from basal part in cluster showed lower rate in incidence of core breakdown and pithiness disorder during 4 months of cold storage than those on the closer position to basal part in cluster.

온주밀감에서 유엽과와 직과의 생장과 당산 특성 (Fruit Growth, Sugar, and Acid Characteristic in Leafy and Leafless Fruits of Satsuma Mandarin)

  • 김샛별;오은의;박재현;윤수현;오현우;강종훈;고상욱;오현정;송관정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6호
    • /
    • pp.642-649
    • /
    • 2012
  • 본 연구는 온주밀감에서 유엽과와 직과의 착과 형태에 따른 과실의 생장과 당산 특성을 구명코자 수행하였다. 과실의 종경, 횡경, 과형지수(횡경/종경), 과중 및 크기 분포를 포함하는 수확기 과실의 생장에 있어서 유엽과와 직과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만개 후 100일부터 수확기까지 과실 발육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과즙의 총가용성고형물의 농도는 증가하고 산도는 감소하여 당산비는 증가하였다. 유리당은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유기산은 감소하였다. 이들 경향은 각각 자당의 증가와 구연산의 감소와 관계되었다. 그러나 착과 형태가 과즙의 총가용성고형물, 산도, 당산비, 유리당 및 유기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유엽과와 직과에 가장 인접한 잎에서의 광합성율과 SPAD 값에 의한 엽록소 지수 간에도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는 온주밀감에서 유엽과와 직과의 착과 형태에 따른 과실의 생장과 당산 특성에 차이가 없음을 나타내었다.

지베렐린이 '신고'배의 비대와 성숙촉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Gibberellin Treatment on Enlargement and Mature Promotion in 'Niitaka' Pear (Pyrus pyryfolia L.))

  • 김종국;이창후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2호
    • /
    • pp.23-30
    • /
    • 2009
  • 본 실험은 지베렐린이 '신고'배 숙기와 비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과실중 조사에서 모든 Gibberellic acid $A_{4+7}$ 처리구는 대조구인 지베렐린 도포제와 비등한 약효가 나타났으며, 무처리구에 비해서는 증가를 나타내었다. 횡경은 $GA_{4+7}$을 만개후 35일째에 도포한 것이, 종경은 만개후 40일째 도포한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형지수는 모든 처리구에서 비슷한 수치로 나타났다. '신고'배 발달 초기에는 $GA_{4+7}$ 2.4% 처리구가 $GA_{3}+GA_{4+7}$ 2.7% 처리구나 무처리구보다 현저하게 큰 차이로 비대가 되는 것을 볼 수가 있으나, 성숙기에 들어서면 $GA_{4+7}$ 2.4% 처리구와 $GA_{3}+GA_{4+7}$ 2.7% 처리구의 크기와 가시적인 착색도가 거의 비슷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GA_{3}+GA_{4+7}$의 성숙촉진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에테폰 액제와 비교하여 실험한 결과, $GA_{3}+GA_{4+7}$를 만개후 35일째에 어린 과실에 도포한 것이 에테폰과 비슷한 정도로 착색이 되었으며, 무처리구와 비교했을 때에는 모든 $GA_{3}+GA_{4+7}$ 처리구와 에테폰 처리 모두 착색이 6일정도 빨라 착색 속도에 현저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모든 $GA_{3}+GA_{4+7}$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당도는 증가하고 산도는 감소하였으며, 과실의 경도는 무처리구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상기의 결과로 $GA_{3}+GA_{4+7}$ 처리구 모두가 에테폰이나 무처리구보다 과실의 비대에 있어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GA_{3}+GA_{4+7}$를 만개후 35일째에 처리한 것이 횡경 및 종경, 과형지수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착색 또한 깔끔하게 되어 상품성이 높게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