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de effect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26초

광환경이 잔디(Zoysia japonica)의 물질생산과 생장에 미치는 영향 I.차광율이 Zoysia japonica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Dry Matter Production and Growth of Zoysia japonica under the Light Environment I . Effect of Shade on Growth in Zoysia japonica)

  • 도봉현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5-114
    • /
    • 1991
  • This paper was designed to estimate the interaction of the first productivity, light conditions and to analyze the ecophysiological productivity, growth characteristics grown under various shading conditions in Zoysia japonica . The results summarized this experiment were as follows; 1.After transplanting the grass, increasing rate of leaf number and total leaf length was remarkahly high at the early growth stage in the control and the 30% shading plot. 2.The increasing rate of leaf area ratio (LA R) in all the experimental plot was remarkable high at the early growth stage after transplanting the grass. Especially, the control and 30% shading plot in compared with another plots, were remarkably high at rate of leaf area. 3.The length and the node number of rhizome in the control and 30% shading plot were also high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ly large by the growth stage. 4.Chlorophyll content was very high at 36days after transplanting and then decreased. Increasing rate of shade resulted in its low content. The rate of chlorophyll a to b was decreased by in-creasing rate of shade. 5.The content of soluble sugar in the control and 30% shading plot was low at the early growth after transplanting and high at the late growth stage. Its content in the plot of 70% shading was remarkably low throughout the growth stage. 6.The increasing rate of standing plant in all the experimental plots was high at the early growth stage after transplanting. Increasing rate of shade was typically low through all the growth stage.

  • PDF

약용식물인 석산의 재배학적 연구 II. 광강도가 석산의 생육 및 인경수량에 미치는 영향 (The study on the culture of Lycoris radiata HERB in Medicinal Plant II. The Effect of Shade net on Growth and Bulb Yield)

  • 이종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3-27
    • /
    • 1991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stablish shade-method suited to on tile artificial propagation of Lycoris radiata HERB. The ligilt intensity in the native habitatwas 30 kux in March and 3.2 Klux from June to sept. The average light intensityin tile open area was 137 Klux in June. The plant height and number of Ieaves wasgood at the 35% to 55% shadeing net. Bloonling time of Lycoris radiata HERB was inthe last of Sept. Yeild of bulb was increased in 35% to 55% of shadeing net.

  • PDF

발코니형 PV시스템의 최적설계를 위한 어레이 배열 특성 고찰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array arrangement for the optimum design of the balcony PV system)

  • 강기환;소정훈;김현일;박경은;유권종;서승직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제36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1678-1680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system of the balcony type which is influenced by conditions such as irradiation, module temperature, shade and array arrangement. When architecture component, trees and cloud shade connecting array in series, total PV array current is reduced. So, before PV system design, a planner have to simulate many situations. And then array should be composed suitable for parallel and series modules. By the results,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optimal design of array considering shade effect for the balcony PV system.

  • PDF

차광이 반지형 잔디의 여름철 하고현상 감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hade Net on Summer Stress of Cool-season Turfgrass)

  • 이재필;김석정;서한용;이상재;김태준;김두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51-64
    • /
    • 200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름철 고온다습 환경 하에서 축구장에 조성된 한지형 잔디의 하고현상을 줄이기 위해 차광이 한지형 잔디의 하고현상을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1999년 5월부터 2001년 8원까지 35% tall fescue+50% kentucky bluegrass+15% perennial ryegrass의 한지형 잔디로 조성된 건국대 포장에서 실험되었다. 한지형 잔디의 여름철 하고현상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차광률(0, 50%, 75%), 차광색(검정, 녹색), 차광 높이(잔디면 0cm 위, 잔디면 30cm위) 및 차광시간(오전 10시부터 5시가지 7시간만 차광, 24시간 차광)을 달리하여 처리하였다. 차광처리는 1999년 6월8일부터 매년 여름 기간 동안 차광하였고 실험구의 크기는 1.25m$\times$3m이며 3반복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대조구 온도가 30~35$^{\circ}C$일 때 처리구간의 잔디표면 온도 차이는 2~3$^{\circ}C$로 적었지만 4$0^{\circ}C$ 이상의 고온에서는 차광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6~13$^{\circ}C$ 정도 낮았으며, 검정차광이 녹색차광보다 온도를 더 낮추었다. 맑은 날 조도는 대조구가 66,700~95,200 Lux인 데 비해 50%와 75% 검정차광처리구는 대조구보다 40~94% 정도로 지나치게 차광되었다. 반면 50%와 75% 녹색차광처리구는 25~54%의 차광률을 보여 검정보다 녹색 차광막의 차광률이 낮게 나타나 한지형 잔디의 광합성 측면에서 볼 때 녹색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차광률 및 차광색은 50%와 75%의 녹색 차광처리구에서 엽색, 잔디면 품질, 예지물량과 지하부 건물중이 우수하였다. 반면 75% 검정색 차광처리구는 한지형 잔디를 심하게 도장시켰으려 그 후 고온과 과습은 한지형 잔디를 갈변 후 부패시켰다. 50% 검정 차광막으고 차광높이를 달리한 실험에서 잔디면 바로 위에 덮은 처리구는 장마 후 고온으로 한지형 잔디를 각변 후 부패시켰지만 30cm 높이로 띄운 처리구에서는 하고현상의 피해가 적었다. 타광시간에 있어 50% 검정 차광막으로 30cm 높이로 24시간 차광처리구와 0cm 높이로 오전 10시부터 5시까지 7시간 차광 처리구에서 한지형 잔디의 엽색, 잔디면 품질, 예지물 및 지하부 건물중의 차이가 적게 나타났다. 이상을 요약하면 50%와 75% 녹색착광막을 우리나라 여름철 장마기 중 강한 햇볕으로 잔디 표면 온도가 갑자기 상승하거나 경기장 이용 후 한지형 잔디를 회복시키고자 할 때 오전 10시부터 5시까지 차광을 지속하변 한지형 잔디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육을 유지 또는 촉진하며 하고현상감소를 위한 관리적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고 판단된다. 그러나 녹색타괌만은 검정차광막보다 온도를 낮추는 효과가 적어 온도를 6~13$^{\circ}C$로 낮추고 조도를 50,000~60,000만 Lux를 유지할 수 있는 녹색+검정색이 혼합된 차광막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육안과 분광 측정기를 이용한 자연 치아의 색조비교분석 (Shade comparative analysis of natural tooth measured by visual and spectrophotometric methods)

  • 김범석;신수연;이종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443-454
    • /
    • 2008
  • 도재 수복물 제작을 위해 자연치아의 색조를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색견본 (shade guide)을 이용하는 시각적인 방법과 기계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중 통상적인 육안 관찰을 통해 색조를 선택하는 것은 임상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방법이기는 하나 주관적이며 일관되지 않은 결과로 신뢰성의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자연치의 색조는 매우 다양하여 같은 치아라 할지라도 부위별로 다양한 색조를 가지기 때문에 단순히 shade tab을 이용한 색조 비교만으로는 정확한 치아의 색조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지속적인 기술발달로 computer color matching system, 치과용 비색계, 분광 측정기 등의 기계를 이용한 치아 색조 측정 방법이 이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기계를 이용한 방법은 색조 선택에 있어 객관적이며, 재현성이 있는 정확한 정보를 술자에게 제공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원, 개인, 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육안과 기계를 통한 관찰 시 치아 색조 선택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시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치과대학병원 전공의인 1명의 검사자가 10명의 피검자를 오전, 정오, 오후 각 3번의 측정을 통해 시간대별 자연광하에 육안, 기계 측정의 색조 선택 정확성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5명의 치과대학병원 전공의와 5명의 치과대 학생, 총 10명의 검사자가 10명의 피검자를 정오에 육안, 기계 관찰을 통해 개인차에 따른 정확성을 실험하였다. 세 번째 실험에서는 두 번째 실험의 결과를 5명의 치과대학 전공의, 5명의 치과대학생 군으로 나누어 숙련도에 따른 육안, 기계 색조 선택의 정확성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첫 번째 실험에서는 기계 측정 결과가 육안 측정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P < .05) 색조 선택의 정확성을 나타내었고, 두 번째 실험에서 역시 기계 측정시 개개인의 육안 측정에 의한 색조 선택 값에 비해 재현성 및 정확성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5). 세 번째 실험에서 이전 실험의 결과를 숙련자, 비숙련자 군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군 내 기계 측정값이 육안 관찰값보다 숙련도에 상관없이 정확도가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5). 하지만 군 간 육안, 기계 측정값을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치아 색조를 육안, 기계 측정할 때 술자의 숙련도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기계를 이용하는 치아 색조 측정 방법이 색견본을 이용하는 시각적인 방법에 비해 더 정확하기는 하지만 어느 정도의 측색 오류를 고려해야하며 수복물 제작 시 정확한 재현과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해 시각적인 방법과의 병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광도 차이에 따라 나타나는 뉴기니아 봉선화 생육 특성 및 화색 변화 (Effect of Light Intensity on Growth Characteristic and Flower Color Change of New Guinea Impatiens 'Fishlimp 149')

  • 이호선;김수정;신우근;유병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06-411
    • /
    • 2006
  • 뉴기니아 봉선화(Impatiens hawkeri)는 광조건에 따라 생리적 반응이 매우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신품종 보호 재배심사(DUS test)시 나타나는 여러 증상들이 유전적인 요인에 의한 것인지 혹은 생리적 증상인지를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뉴기니아 봉선화 'Fishlimp 149'를 비가림 하우스에 정식하고 광도조건에 따른 생육 및 화색발현을 구명하기 위하여 몇 가지 광도조건의 처리를 하였다. 실험결과 대조구 ($1,010{\mu}mol{\cdot}m^{-2}{\cdot}s^{-1}$)에 비해 차광 1($599{\mu}mol{\cdot}m^{-2}{\cdot}s^{-1}$) 및 차광 2($88{\mu}mol{\cdot}m^{-2}{\cdot}s^{-1}$) 처리구에서 초장, 초폭, 잎 크기 및 소화경 등이 현저히 증가되었다. 그러나 가장 광도가 낮은 차광 3($30{\mu}mol{\cdot}m^{-2}{\cdot}s^{-1}$)에서는 오히려 이들이 대조구에 비해 감소되었다. 개화특성 조사에서는 차광 1처리가 화경, 상부 꽃잎폭, 측면 꽃잎폭, 하부 꽃잎길이 등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안토시아닌 함량의 경우 줄기, 잎 및 소화경에서는 차광에 의해 감소되었으나 소화경의 경우 차광 1처리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차광 1처리가 뉴기니아 봉선화의 생장특성을 조사하는데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며, 생육과정 중 나타나는 안토시아닌 축적은 유전적인 요인이 아닌 환경적인 요인에 의한 생리적인 현상인 것으로 생각된다.

건조방법에 따른 우육포의 유리아미노산 및 Dipeptide 함량, 물성 및 관능 특성 비교 (Comparison of Free Amino Acids and Dipeptide Contents, Warner-Bratzler Shear Force and Sensory Property of Beef Jerky Manufactured with Different Drying Methods)

  • 남기창;조철훈;이경행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96-802
    • /
    • 2012
  • 육포 제조시 건조방법을 양건, 음건 및 열풍건조방법으로 하여 제조하였을 때의 맛과 관련된 유리아미노산, dipeptide, 지방산 조성의 차이 및 색상, 조직감 및 관능적 차이를 분석하여 정미성분에 따른 최적의 건조 조건을 검토하였다. 양건한 육포에서의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277.45 mg/100 g이었으며 음건은 206.43 mg/100 g, 열풍건조의 경우, 111.88 mg/100 g으로 건조 방법에 따라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 차이가 많았으며 양건에 의한 건조가 가장 많은 유리아미노산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한 dipeptide의 총 함량은 음건이 2,904.73 mg/100 g으로 가장 많은 함량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양건, 열풍건조의 순이었으나 열풍건조의 경우, 양건 및 음건한 육포에서의 함량과는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의 경우, 세 건조방법 모두 유사한 지방산 조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색도의 경우, 명도는 열풍건조시 감소하였고 적색도에서는 양건이 높은 값을 보였으며 황색도에서는 음건한 육포에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조직감에서는 열풍건조 제품보다 양건과 음건에서 낮은 전단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열풍건조한 육포가 가장 낮은 기호도를 보였고 양건과 음건한 육포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육포 제조시 이화학적 품질 특성이 우수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양건 또는 음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도재층의 두께와 색이 도재수복물의 최종 색조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ORCELAIN LAYER THICKNESS AND COLOR ON THE FINAL SHADE OF CERAMIC RESTORATIONS)

  • 성동환;이임기;송진원;복원미;안승근;박찬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87-598
    • /
    • 2005
  • Statement of problem: Ceramic restorations should be made of porcelain layers of different opacity, shade, and thickness in order to provide a natural appearance. Lithium disilicate glass-ceramic system has superior color reproducibility, because it uses the ceramic ingot which is similar to teeth shade and uses the staining technique and layering technique. However, staining technique has a fault of discoloration. Also, porcelain is divided core and dentin layer, it is not enough to study about the influence of porcelain layer thickness and shade on the shade of ceramic restoration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porcelain layer thickness and color on the final shade of ceramic restorations. Materials and method: The CIE $L^*a^*b^*$(CIELAB) values of 72 assembled specimens, each consisting of 3 discs (enamel porcelain 0.2 mm/dentin porcelain -1.2, 0.9, 0.7, 0.5 or 0.3 mm/ceramic core -0.3, 0.5, 0.7, 0.9 or 1.2 mm, diameter is 1.0 mm) were evaluated with a spectrophotometer (Model Chromaview 300, Spectron Tech Co, Korea) for the shade A1, A2, A3 and A4. Distilled water (refractive index: 1.7) was used to attain optical contact between the layers. White, white gray, and white brown backgrounds were used to assess the influence of the background on the final shade. And the mean color difference value$({\Delta}E)$ was calculated. Results and conclus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hickness ratio of the ceramic core/dentin porcelain system and $L^*,\;a^*\;and\;b^*$ values when the total thickness of specimen combination was smaller than 1.4 mm(P<0.05). 2. The specimen which the ceramic core thickness was more than 0.7 mm had the best masking effect against background colors. 3. The mean color difference value$({\Delta}E)$ is smaller than 2 $({\Delta}E<2)$ when the ceramic core thickness was larger than 0.7 mm and the total thickness of specimen was more than 1.4 mm.

중부지방 상록지피식물의 조경적 이용 -광이 월동중의 엽색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Utilization of Evergreen Ground Covers in Central Region of Korea as Landscape Materials -Focusing on the Changes in Leaf Color Related with Light during Winter-)

  • 남유경;김명회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2호
    • /
    • pp.1-7
    • /
    • 2011
  • 본 연구는 중부지방에서 동절기간에 적용 가능한 상록지피식물의 이용을 확대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광조건에서의 생장변화를 조사하였다. Nandina domestica는 동절기 동안 광조건에 관계없이 음지에서 높은 엽록소값을 나타냈다. 이후 4월에는 서울의 반포지역에서 엽록소 값이 광조건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북풍에 노출되어 있는 과천지역에서는 양지에서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잎이 모두 낙엽 되었다. Ophiopogon japonicus는 지역에 관계없이 2월에 양지보다 음지에서 엽록소값이 두 배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L과 b값도 조사기간 동안 음지조건에서 높게 나타났다. 4월에는 반포지역에서 광조건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과천지역에서는 양지에서 동절기 동안 엽색이 탈색되었다. Pachysandra terminalis는 조사지역과 기간에 관계없이 음지조건에서 엽록소값과 L, b값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중부지방에서 상록지피식물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음지조건의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Effects of surrounding and underlying shades on the color adjustment potential of a single-shade composite used in a thin layer

  • Mariana Silva Barros;Paula Fernanda Damasceno Silva;Marcia Luciana Carregosa Santana;Rafaella Mariana Fontes Braganca;Andre Luis Faria-e-Silva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8권1호
    • /
    • pp.7.1-7.10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surrounding and underlying shades' effect on the color adjustment potential (CAP) of a single-shade composite used in a thin layer. Materials and Methods: Cylinder specimens (1.0 mm thick) were built with the Vittra APS Unique composite, surrounded (dual specimens) or not (simple specimens) by a control composite (shade A1, A2, or A3). Simple specimens were also built only with the control composites. Each specimen's color was measured against white and black backgrounds or the simple control specimens with a spectrophotometer (CIELAB system). The whiteness index for dentistry (WID) and translucency parameters (TP00) were calculated for simple specimens. Differences (ΔE00) in color between the simple/dual specimens and the controls were calculated. The CAP was calculated based on the ratios between data from simple and dual specimens. Results: The Vittra APS Unique composite showed higher WID and TP00 values than the controls. The highest values of ΔE00 were observed among simple specimens. The color measurements of Vittra APS Unique (simple or dual) against the control specimens presented the lowest color differences. Only surrounding the single-shade composite with a shaded composite barely impacted the ΔE00. The highest CAP values were obtained using a shaded composite under simple or dual specimens. Conclusions: The CAP of Vittra APS Unique was strongly affected by the underlying shade, while surrounding this composite with a shaded one barely affected its color adjus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