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xual selection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5초

외모관리동기에 따른 의복 및 화장행동 (Clothing and Make-up Behavior by Appearance Management Motive)

  • 하종경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85-39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ategorize the factors of appearance management motivation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Busan. It also aim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ir clothing behavior and make-up behavior.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multi-respons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were four factors including self -development, emphasis on the physical appearance, individuality-seeking, and sexual appealing. Thes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of groups: social-self-management type, passive appearance management type, and individuality-seeking type. In terms of the differences in the clothing purchase behavior of the physical appearance management motivation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riteria of their selections for clothing. The most important factor was the design, followed by the price and the fabrics. The differences in cosmetics selection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ir make-up behavior of physical appearance management motivation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quality, the price, and the manufacturing country were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criteria for their selection of cosmetics.

  • PDF

백색 레그혼종 순종계통의 산란능력에 있어서 세대별 선발반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election Response of Generation for Egg Production in Single Comb Leghorn)

  • 이학교;최철환;박무균;이수헌;박태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87-195
    • /
    • 1992
  • 본 연구는 난용종 순종계의 특정 집단의 주요 경제형질에 대한 단기 산란검정기록을 이용하여 유전적 개량량을 추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통계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단관 백색 레그혼종 F, K 계통에 대한 1986년부터 1991년까지 6세대간 선발결과의 기록으로서 주요 선발형질은 270일령 산란수, 시산일령, 270일령 난중 및 체중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계통별 평균능력을 보면 시산일령은 매 세대당 1.94일(K) 1.32일(F)씩 감소되었고 체중은 15.39(K), 16.5g(F)씩 감소되었다. 난중은 0.09(K), -0.05g(F)씩 증가되었고 산란수는 0.56(K), -0.78(F)의 증가를 보였다. 2. 조사형질 모두의 예상 선발차에 대한 실현 선발차의 비율이 세대경과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되지 않았다. 3. 분산성분에 의한 유전모수는 시산일령이 평균 0.28(F), 0.40(K), 270일령 체중이 0.29(F), 0.39(K), 산란수 (270일)가 0.25(F), 0.29(K), 270일령 난중이 0.51(F), 0.48(K)으로 추정되었다. 4. 세대당 유전적 개량은 F, K 계통 모두 일정한 경향치를 보이지 않았고 시산일령이 -2.46(F), -1.94(K), 산란수 2.01(F), 2.25(K), 270일령 난중이 0.54(F), 0.64(K)으로 추정되었다.

  • PDF

Variance component analysis of growth and production traits in Vanaraja male line chickens using animal model

  • Ullengala, Rajkumar;Prince, L. Leslie Leo;Paswan, Chandan;Haunshi, Santosh;Chatterjee, Rudranath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4호
    • /
    • pp.471-481
    • /
    • 2021
  • Objective: A comprehensive study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s of partition of variance on accuracy of genetic parameters and genetic trends of economic traits in Vanaraja male line/project directorate-1 (PD-1) chicken. Methods: Variance component analysis utilizing restricted maximum likelihood animal model was carried out with five generations data to delineate the population status, direct additive, maternal genetic, permanent environmental effects, besides genetic trends and performance of economic traits in PD-1 chickens. Genetic trend was estimated by regression of the estimated average breeding values (BV) on generations. Results: The body weight (BW) and shank length (SL) varied significantly (p≤0.01) among the generations, hatches and sexes. The least squares mean of SL at six weeks, the primary trait was 77.44±0.05 mm. All the production traits, viz., BWs, age at sexual maturity, egg production (EP) and egg weight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generation. Model four with additive, maternal permanent environmental and residual effects was the best model for juvenile growth traits, except for zero-day BW. The heritability estimates for BW and SL at six weeks (SL6) were 0.20±0.03 and 0.17±0.03, respectively. The BV of SL6 in the population increased linearly from 0.03 to 3.62 mm due to selection. Genetic trend was significant (p≤0.05) for SL6, BW6, and production traits. The average genetic gain of EP40 for each generation was significant (p≤0.05) with an average increase of 0.38 eggs per generation. The average inbreeding coefficient was 0.02 in PD-1 line. Conclusion: The population was in ideal condition with negligible inbreeding and the selection was quite effective with significant genetic gains in each generation for primary trait of selection. The animal model minimized the over-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and improved the accuracy of the BV, thus enabling the breeder to select the suitable breeding strategy for genetic improvement.

청소년의 비치료적 약물사용에 관한 예측요인 (Predictive Factors of Adolescents' Illicit Drug Use)

  • 김희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36-145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lluminate danger signals through an extensiv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s' illicit drug use. On this basis, it built predictive factors of adolescents' illicit drug use. Method: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238 subjects living in Seoul, and of them 1,082 answers were analyzed using the SAS 8.2 program. Also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stepwise sele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the predictive factors.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dividual-related factors were psycho-somatic symptoms, self-esteem, fortune delinquent experience, and sexual-violence delinquent experience. Home-related factors were insincerity, threatening and the assessment of the parent (rearer)-adolescent communication type. Society-related factors were affection of friends and friends' attitude toward delinquency. Conclusion: Thes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broad intervention program should be provided to nurture wholesome youth culture related to illicit drug use. It is also recommended that a variety of individual, home and society-relate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drug users.

  • PDF

Size selectivity of the net pot for common octopus Octopus minor used in the southern coastal sea of Korea

  • Kim, Seonghun;Park, Seongwook;Lee, Kyounghoon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9권3호
    • /
    • pp.200-207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the mesh selectivity of a net pot for common octopus Octopus minor for the sustainable resources management of common octopus. The file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he total 10 times in the southern part of coastal sea in Korea from March to May in 2010 using net pots of five different mesh sizes (16, 18, 20, 22 and 26mm). The test of size selectivity, indicated a 50% selection value on the logistic master curve of 3.195, whereby 50% of individuals with a mantle size of approximately 70.3mm selected a mesh size of 22mm. Considering that 50% of common octopus entering sexual maturity have a mantle size of 70.6mm, the optimum mesh size should be equal to, or larger than 22mm.

Neurospora crassa를 이용한 Tyrosinase 생산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Tyrosinase Production using Neurospora crassa)

  • 채희정;유영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81-289
    • /
    • 1991
  • Neurospora crassa는 성장이 끝나고 분화되는 과정에서 tyrosinase를 생산하며 아미노산류의 기질유사체, 반대사물질, 단백질 생합성 저해제 등에 의해 효소생산이 유도된다. 미생물 균체를 배양시키며 여러가지 유도물질을 사용하여 효소의 생합성을 유도시킨 결과 가장 적합한 유도물질은 cycloheximide였다. 이는 균체의 성장을 크게 저해하는 항생제의 일종이므로 효소 생합성을 최대화시키기 위한 최적의 농도가 존재하였으며, 유도물질의 농도가 일정한 경우에 효소 생산에 최적인 유도시간이 존재하였다.

  • PDF

한국산 각시붕어 수컷의 혼인색과 암컷의 배우자 선택 (Male Colors and Female Mate Preference in Korean Rosy Bitterling, Rhodeus uyekii (Cyprinidae: Acheilognathinae))

  • 전형배;석호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63-271
    • /
    • 2012
  • 암컷의 배우자 선택은 여러 수컷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특성에서 각기 다른 종류의 정보를 수집, 종합하여 가장 최적의 개체를 배우자로 결정하는 매우 복잡한 행동이다. 본 연구에서는 순차적인 교배 시스템($4{\times}4$ block breeding)을 이용하여 각시붕어(Rhodeus uyekii) 암컷의 배우자 선택방식을 조사하였고, 가중과 비가중 유전적 이득의 상대적 기여도를 추정해 보고자 하였다. 실험장치 내에서 총 48회의 암, 수간 배우자 상호작용이 관찰되었고, 암컷은 일반적으로 카로티노이드 혼인색 발현이 강한 수컷들을 배우자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배우자 선호 정도가 개체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므로, 비가중적 요소도 암컷이 배우자를 선택하는데 있어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The impact of COVID-19 on the male genital tract: A qualitative literature review of sexual transmission and fertility implications

  • Verrienti, Pierangelo;Cito, Gianmartin;Maida, Fabrizio Di;Tellini, Riccardo;Cocci, Andrea;Minervini, Andrea;Natali, Alessandro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9권1호
    • /
    • pp.9-15
    • /
    • 2022
  •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receptor (ACE2) appears to be widely expressed in cells in the testes, predominantly in spermatogonia, Sertoli cells, and Leydig cells, and its co-expression with transmembrane protease serine 2 (TMPRSS2) is essential for the entry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For this reason, the male reproductive system could be considered a potential target for SARS-CoV-2, as well as a possible reservoir of infection. However, to date, there is very little evidence about the presence of SARS-CoV-2 in semen and testicular samples.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review the current evidence regarding the impact of SARS-CoV-2 on male fertility and sexual health, with a particular focus on reproductive hormones, the presence of the virus in seminal fluid and testis, and its impact on fertility parameters. We found very limited evidence reporting the presence of SARS-CoV-2 in semen and testicular samples, and the impact of SARS-CoV-2 on reproductive hormones and fertility parameters is unclear. The quality of the examined studies was poor due to the small sample size and several selection biases, precluding definitive conclusions. Hence, future well-designed prospective studies are needed to assess the real impact of SARS-CoV-2 on male reproductive function.

산란종계의 산란량에 대한 유전분석 (Genetic Analyses of Egg Mass during Laying Period)

  • 오봉국;최연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3-178
    • /
    • 1986
  • 산란종계의 능력개량을 위해 산란수와 란중의 종합개념의 형질인 산란량을 계산하고 이를 선발에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산란기간의 산란량에 대한 유전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보였다. 1. 계통의 능력 평균치를 조사한 바, 초산일령은 143.24일이었으며, 초산일령부터 60주령 까지의 산란수는 222.44개, 같은 기간중의 평균란중과 산란량은 각각 54.31g과 12.065.19g으로 나타났다. 2. 부, 모, 전자매 분산성분을 이용한 유전력 추정치에서 초산일령은 0.404-0.570으로 나타났고 60주령까지의 산란수는 0.132-0.346, 란중과 산란량은 각각 0.378-0.413과 0.204-0.270으로 나타나 산란량의 유전력 추정치는 란중보다는 산란수와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3. 초산일령과 유전상관에 있어서 산란수는 -0.280, 란중은 0.524로 나타나 산란수와 란중간의 부의 상관에 의한 이들 형질의 동시개량의 어려움을 보여 주었으나 산란량과는 0.130으로 나타나 산란량의 육종에의 이용 가능성을 추측케 하였다. 또한 산란량과 산란수와는 0.711, 란중과는 0.431의 상관계수가 나타나 산란수에 더 큰 영향을 받는 형질임을 보여 주었다. 4. 단기선발면을 고려하여 각 산란기간과 전체기간과의 유전상관을 분석한 결과 산란량의 경우 산란수와 비슷한 양상을 보여 산란수의 단기검정과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산난계의 유전적 모수 추정과 조기선발효율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and Selection Efficiency on Early Part-record for Improving Egg Production in Layer)

  • 이득환;오봉국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11-218
    • /
    • 1988
  • 산난종계의 주요 경제형질인 산난양의 개량은 단기검정에 의한 조기선발이 실용화되고 있는 바 산난수에 대하여 조기선발 하였을 경우 조기선발의 최적시기 및 조기선발에서 기대되는 상관적 선발효율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계통의 일반능력을 조사란 평균치는 초산일령에서 150.5 일과 159.1 일이었고 조기산란수는 W계통에서 후기산란수는 B계통에서 더 많이 산란하였고 총산란수는 두 계통 모두 272개로 비슷하게 산란하였다. 2. 초산일령과 산란수에 대한 유전력 및 표준오차 추정치는 두 계통에서 전자매분산성분으로 추정하였을 때 $0.37\pm0.09$~$0.49\pm0.10$$0.18\pm0.10$x~$0.33\pm0.08$로 추정되었다. 특히 산란수에 대한 추정치는 W계통은 모분산성분에 의한 추정치가, B계통에서는 부분산성분에 의한 추정치가 더 높았고 두 계통 모두 후기산란수에 대한 유전력보다 조기산란수에 대한 유전력이 더 높게 추정되었다. 3. 각 조사형질들 간의 유전상관 및 표준오차의 추정결과는 W와 B계통에서 전자매공분산성분에 의하여 추정하였을 때 조기산란수와의 유전상관에 있어서 후기산란수는 $0.46\pm0.15$$0.39\pm0.16$, 총산란수는 $0.77\pm0.07$$0.76\pm0.08$ 초산일령은 -$0.77\pm0.06$$-0.82\pm0.05$이었고 후기산란수와는 총산란수는 $0.92\pm0.03$$0.89\pm0.04$로 비교적 높게 추정되었으며 초산일영령 $-0.11\pm0.17$$-0.15\pm0.18$로 미약한 원의 상관을 보였다. 총산란수와 초산일령과의 유전상관은 W계통에서 $-0.41\pm0.13$과 B계통에서 -$0.50\pm$0.13으로 모두 원의 상관을 보여 산란수에 준한 선발은 초산일영을 단축시킨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4. 선발효율의 추정결과는 초산 시부터 40주령까지의 산란수에 의하여 선발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1.69와 1.80) 이 시기의 산란수에 의하여 선발하였을 경우 초산일령과의 견전상관을 고려할 때 초산일영을 크게 단축시킬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초산일령의 단축으로 인한 난중의 감소 및 자료수집에 필요한 경비 등을 고려할 때 31주령 이후, 특히 31주령부터 40주령까지의 산란기녹에 의하여 선발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