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and Selection Efficiency on Early Part-record for Improving Egg Production in Layer

산난계의 유전적 모수 추정과 조기선발효율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1988.09.01

Abstract

Data on egg number from time of first lay to 71 week of age were obtained from samples of single comb white leghorn breeder and brown layer breeder populations which were raised at manny breeding Co. These data were used to estimate the heritabilities of age at sexual maturity, early egg number, residual egg number and annual egg number. Also, the genetic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se traits were estimated and selection efficiencies of each segment in early part record were estimated by use of the heritabilities and generic correlations. The estimated heritabilities and standard errors in two lines(W and B) were $0.30\pm0.07$ and $0.33\pm0.08$ at early records, $0.19\pm0.06$ and $0.18\pm$0.05 at residual records and $0.37\pm0.09$ and $0.49\pm0.10$ at time of first lay. Those at annual records were $0.24\pm0.06$ equally. The estimated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andard errors between early record and annual record were $0.76\pm0.08$ and $0.77\pm0.07$. Those between early record and residual record were $0.46\pm0.15$ and $0.39\pm0.16$ respectively. At improving annual egg production per year, selection based on early part record(SM to 40 week of age) would be 69% more efficient than on annual record in line W and 80% more efficient than on annual record in line B. But, if it were considered that egg weight decreased due to sexual maturity and cost for data collection, use of selected segment from 35~40week of age in line W and from 31~40 week of age in line B would be desired in spite of a. small loss in relative selection efficiency. The generation interval would not be shortened.

산난종계의 주요 경제형질인 산난양의 개량은 단기검정에 의한 조기선발이 실용화되고 있는 바 산난수에 대하여 조기선발 하였을 경우 조기선발의 최적시기 및 조기선발에서 기대되는 상관적 선발효율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계통의 일반능력을 조사란 평균치는 초산일령에서 150.5 일과 159.1 일이었고 조기산란수는 W계통에서 후기산란수는 B계통에서 더 많이 산란하였고 총산란수는 두 계통 모두 272개로 비슷하게 산란하였다. 2. 초산일령과 산란수에 대한 유전력 및 표준오차 추정치는 두 계통에서 전자매분산성분으로 추정하였을 때 $0.37\pm0.09$~$0.49\pm0.10$$0.18\pm0.10$x~$0.33\pm0.08$로 추정되었다. 특히 산란수에 대한 추정치는 W계통은 모분산성분에 의한 추정치가, B계통에서는 부분산성분에 의한 추정치가 더 높았고 두 계통 모두 후기산란수에 대한 유전력보다 조기산란수에 대한 유전력이 더 높게 추정되었다. 3. 각 조사형질들 간의 유전상관 및 표준오차의 추정결과는 W와 B계통에서 전자매공분산성분에 의하여 추정하였을 때 조기산란수와의 유전상관에 있어서 후기산란수는 $0.46\pm0.15$$0.39\pm0.16$, 총산란수는 $0.77\pm0.07$$0.76\pm0.08$ 초산일령은 -$0.77\pm0.06$$-0.82\pm0.05$이었고 후기산란수와는 총산란수는 $0.92\pm0.03$$0.89\pm0.04$로 비교적 높게 추정되었으며 초산일영령 $-0.11\pm0.17$$-0.15\pm0.18$로 미약한 원의 상관을 보였다. 총산란수와 초산일령과의 유전상관은 W계통에서 $-0.41\pm0.13$과 B계통에서 -$0.50\pm$0.13으로 모두 원의 상관을 보여 산란수에 준한 선발은 초산일영을 단축시킨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4. 선발효율의 추정결과는 초산 시부터 40주령까지의 산란수에 의하여 선발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1.69와 1.80) 이 시기의 산란수에 의하여 선발하였을 경우 초산일령과의 견전상관을 고려할 때 초산일영을 크게 단축시킬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초산일령의 단축으로 인한 난중의 감소 및 자료수집에 필요한 경비 등을 고려할 때 31주령 이후, 특히 31주령부터 40주령까지의 산란기녹에 의하여 선발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