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same(Sesamum indicum L.)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9초

참깨종자에서 검출된 Alternaria longissima와 그의 병원성 (Pathogenic Isolates of Alternaria longissima Deighton & Macgarvie from Sesame Seed)

  • 유승헌;박종성
    • 농업과학연구
    • /
    • 제7권2호
    • /
    • pp.77-80
    • /
    • 1980
  • 참깨 (Sesamum indicum L.) 종자로 부터 Alternaria longissima가 최초로 낮은 빈도로 검출되었다. 본균의 종자 및 WALM위에서의 생육상, 분생포자의 형태 그리고 배양적 성질을 상세히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병원성이 없는 것으로 알려진 본균이 참깨에 심한 병원성을 나타내어 잎, 줄기 및 꼬투리에 점무늬 및 괴사의 병징을 나타내었으나 벼 및 수수에는 병원성이 없었다. 배양특성과 병원성 조사결과 참깨에서 분리된 Alternaria longissima는 Deighton & Macgarvie가 벼 및 수수 등에서 분리한 균과는 다른 계통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참깨 종자전염진균(種子傳染眞菌)의 검정(檢定) 및 Corynespora cassicola의 병원성(病原性) (Detecting Seed-borne Fungi of Sesame and Virulance of Corynespora cassicola)

  • 유승헌;박종성
    • 농업과학연구
    • /
    • 제6권1호
    • /
    • pp.27-32
    • /
    • 1979
  • 충남농촌진흥원으로부터 분양받은 참깨종자의 종자전염진균을 표준 Blotter 법으로 조사하였던 바 12종의 균류가 검출되었다. 그 중 Alternaria sesamicola, A. tenuis, Corynespora cassicola가 많은 비율로 검출되었다. Chlorine으로 종자처리를 하였을 경우, C. cassicola를 제외한 모든 균이 거의 완전히 제거되었다. 참깨 종자내의 감염부위는 C. cassicola가 가장 깊숙이 배에까지 감염되어 있었다. C. cassicola의 병원성을 조사하였던 결과 참깨의 잎과 줄기에 심한 반점을 형성하고 병반이 급격히 확대되며 말라죽었다.

  • PDF

참깨 종자에서 검출된 Macrophomina phaseolina와 그의 병원성에 관하여 (Macrophomina phaseolina Detected in Seeds of Sesamum indicum and It's Pathogenicity)

  • 유승헌;박종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35-140
    • /
    • 1980
  • 참깨종자의 종자전염균을 조사아던중, 우리나라에서는 미기록인 Macrophomina phaseolina가 12개 sample중 7개 sample에서 검출되었다. 본 균의 종자 종자상에서의 생육상 및 병자각과 병포자의 형태를 기술하였다. 본 균의 병자각형성에는 광선이 필순조건이었으나 PDA나 OA배지상에서는 병자각이 형성되지 않았고 물한천잎배지상에서 병자각이 많이 형성되었다. 본 균은 참깨종자의 심한 발아저해와 입고가 원인이 되었고 감자괴경에 탄부병징을 나타내었다. 목 균은 월동후의 참깨식물의 잔재와 포장의 이병유균에서도 검출되었다.

  • PDF

참깨 품종개량에 관한 연구 제2보 지역차이 및 기상환경에 따른 참깨 지방산변화 (Breeding of Sesame (Sesamum indicum L.) for Oil Quality Improvement II. FattyAcid Composition of Sesame Seeds under Different Climatic Conditions and Locations)

  • 이정일;이승택;오성근;강철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0-95
    • /
    • 1981
  • 참깨 재배지역 차이에 따른 품종문제를 추적하여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였다. 1. 참깨 재배지역에 따른 품질은 남부지역에서 생산된 것보다 중북부지역에서 생산된 것이 리놀산함량이 많았다. 2. 러놀산함량은 등열기간 중 적산온도와 r =-0.595**의 부상관관계를 일사량과는 r=0.613**의 정상관을 보여서 등열기간의 적산온도가 낮고 일사양이 많으며 강우량도 많은 조건에서 리놀산함량 높았다. 3. 오레인산함량에서는 리놀산의 경우와 달리 남부지방에서 생산된 참깨가 중북부산 참깨보다 오레인산함량이 더 높았다. 4. 오레인산함량은 등숙기간 중 적정평균 온도와 r=0.644**의 정상관관계를 일사량과는 r=-0.456**의 부상관 관계를 보였다. 5. 참깨 지방산중 오레인산과 리놀산함량은 이두 지방산함량이 대부분 차지하고 있음으로 서로 상대적인 함량관계를 가지고 있는 경향이다. 6. 참깨의 유질은 주산지인 남부보다 중북부산 참깨의 품질이 더 우수하다.

  • PDF

참깨 병해연구 I. 참깨 역병의 발생에 대하여 (Studies on Sesame Diseases in Korea I. Incidences of Phytophthora Blight)

  • 조의규;허노열;최성호;이승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11-215
    • /
    • 1982
  • 1981년 전북고창, 전남영광, 경북달성, 경남진양 지역에서 참깨병해의 발생과 피해를 조사한 결과 참깨역병의 피해가 가장 심하였다. 참깨역병의 발생은 포장에 따라 차이가 컸으며 발병이 심한 포장에서는 발병주율이 $61\%$나 되었다. 참깨역병을 일으키는 병원균 Phytophthora spp.는 유주자낭의 형태적특성과 참깨에 대한 특이적인 병원성에 의하여 Phytophthora nocitianae var. parasitica (Dastur) Waterhouse로 동정되었다. 참깨역병의 병징은 줄기가 암갈색으로 변색, 부패되어 식물체가 도태고사하는 특징을 보였다.

  • PDF

재배적 안정성이 높은 참깨 계통 선발 (Selection of Varieties with Higher Cultural Stability in Sesamum indicum)

  • 심강보;강철환;이성우;김동휘;채영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374-381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sesame varieties with high cultural stabilities by comparing several parameters of agronomic traits under the different cultural environments. Of the six areas, Iksan and Jinju areas which showed positively larger environment index values were relatively adequate cultural conditions for sesame. At the comparison of cultural stability of agronomic traits by Eberhart and Russell regression model among sesame breeding lines, Suwon 169 showed more stable regression coefficient values to the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number of seeds per capsule and seed weight per plant, and Iksan 12 showed more stable regression coefficient values to culm length and weight per plant. At the comparison of cultural stability of yield per 10a, Suwon 169 and Iksan 12 among sesame breeding lines showed more stable respectively, deviation values of 0.99, 0.98 respectively, and more less regression deviation values of 0.074, 0.167 respectively. Therefore those breeding lines are comparatively higher stabilities to yield determining agronomic traits under the different cultural environments, and it was concluded that those two breeding lines had the possibility to recommend promising breeding lines in the future.

  • PDF

참깨의 연작장해 경감 녹비작물 선발 및 윤작효과 (Effects of Green Manure Crops and Rotational Cropping System on Growth and Yield of Sesame(Sesamum indicum L.))

  • 남상영;김인재;김민자;강효중;윤태;노창우;민경범;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04-408
    • /
    • 2007
  • 참깨 연작장해 경감 녹비작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9월 하순$\sim$10월 중순에 호밀, 헤어리벳치, 귀리 등을 파종 후 이듬해 5월 상순 환원하여 2004년부터 3년간 시험한 결과, 윤작에서 생육 및 수량이 양호하여 단일연작 48.9kg/10a 대비 33% 증수되었으며, 연작 간에는 녹비작물재배 시 양호하여 $10{\sim}15%$ 증수되었고, 녹비작물재배 간에는 호밀재배에서 가장 양호한 경향이었다. 윤작 시 연작에 비하여 병발생, 토양의 시들음병균 밀도가 낮은 경향이었으며, 연작 간에는 녹비작물재배 시 양호한 경향이었다. 녹비작물재배 간에는 호밀과 헤어리벳치재배에서 양호하였고, 공극률은 윤작과 연작의 호밀재배에서 가장 높았다. 연작기간이 경과할수록 시들음병 및 역병 발생이 많았으며, 연작 간에는 호밀재배에서 가장 적게 발생되었고, 수량도 가장 많았다.

韓國植物의 花外蜜腺分布 (The Occurrence of Extrafloral Nectaries in Korean Plants)

  • Pemberton, Robert W.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3권4호
    • /
    • pp.251-266
    • /
    • 1990
  • Extrafloral nectaries have been shown in many studies to promote mutualistic interactions between plants and insects(usually ants) that visit the glands. The insects gain sugars, water and amino acids secreted by the extrafloral nectaries and benefit the plants by reducing the damage caused by plant's inseet herbivores. Little is known about the occurrence of extrafloral nectaries in plants growing in Asia. To learn about the occurrence of extrafloral nectary bearing plants in Korea, living plants and herbarium material were examined for the glands. In addition, the cover of plants with extrafloral nectaries and the proportion of woody plants with extrafloral nectaries were measured in three forest communities on Kangwha Island. 131 species of plants belonging to 53 genera and 30 families were found to have extrafloral nectaries. These 131 species comprise about 4.0% of Korea's flora, a highet percentage of extrafloral nectary bearing plants than occurs in the studied areas of North America. Extrafloral nectary bearing plants occupied 7, 23 and 55% of the covers and comprised 15, 21 and 15% of the woody plants in the three different forests, a significant level of occurrence. Many important Korean crop plants were found to have extrafloral nectaries including : sesame (Sesamum indicum L.), squash (Cucurbita moschata Duchesne),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am),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cotton (Gossypium indicum Lam.), mung bean (Phaseolus radiatus L.), red bean (Phaseolus angularis W.F.), peach (Prunus persica (L) Batsch.), plum (Prunus salicina Lindl.). Many of these cultivated and wild plants may receive protection by ants and other beneficial insects that visit their extrafloral nectaries.

  • PDF

전.후작물 도입에 의한 참깨 작부체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ropping System of Sesame(Sesamum indicum L.) of Korea)

  • 남상영;김인재;김민자;이철희;김태수;방진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7-152
    • /
    • 2004
  • 참깨에 관한 작부체계 확립으로 농경지활용도를 높이고 안정생산 기반을 구축하고자, 참깨 단작 등 4작부유형을 도입하여 2001년부터 2002년까지 2년에 걸쳐 시험한 결과 잡초발생량은 보리+참깨에서 많이 발생하였고, 작부유형간에는 보리+참깨는 후작물에서 많았으나, 그 외에서는 전작물에서 많았다. 보리+참깨와 참깨+배추의 작부유형은 전ㆍ후작물의 생육에 지장이 없으며, 소득도 참깨 단작에 비하여 각각 21%, 61% 높았다. 참깨+배추에는 전작물의 비닐 피복물을 후작물에서도 이용할 수 있어 생력화와 경영비를 절감할 수 있었으나, 들깨가 후작물로 도입시 파종기가 늦어 생육이 부진하고 수량이 감소되었다. 작부유형별 토양 물리성 개선효과는 보리+참깨와 참깨+배추에서 양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