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Green Manure Crops and Rotational Cropping System on Growth and Yield of Sesame(Sesamum indicum L.)

참깨의 연작장해 경감 녹비작물 선발 및 윤작효과

  • Published : 2007.10.30

Abstract

The green manure crops such as rye, hairy vetch and scotch oat were applied to reduce the injury by continuous cropping system(CCS) of sesame(Sesamum indicum L.) cultivation, which manure crops was sowed in latter-September or mid-October and returned to soil in the next year of May. The growth and yields were increased as 33%(65.0kg/10a) in the rotational cropping system(RCS) compared to continuous cropping system of 48.9kg/10a. In the CCS of sesame, it was increased as $10{\sim}15%$ in the green manure crop cultivation, and rye cultivation was the most effective crop to reduce the injury of continuous cropping in the green manure crops. The RCS displayed lower disease outbreak and Fussarium oxysporum density in the soil compared with the CCS, and the green manure crop showed good effect in the CCS of sesame. In the RCS, the porosity was most high in the RCS and CCS of rye cultivation, while rye and hairy vetch was effective way to reduce the injury of continuous cropping. The outbreaks of wilt disease and phytophthora blight were increased as the CCS years, however displayed lowest outbreaks of disease and the yields showed highest in the rye cultivation.

참깨 연작장해 경감 녹비작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9월 하순$\sim$10월 중순에 호밀, 헤어리벳치, 귀리 등을 파종 후 이듬해 5월 상순 환원하여 2004년부터 3년간 시험한 결과, 윤작에서 생육 및 수량이 양호하여 단일연작 48.9kg/10a 대비 33% 증수되었으며, 연작 간에는 녹비작물재배 시 양호하여 $10{\sim}15%$ 증수되었고, 녹비작물재배 간에는 호밀재배에서 가장 양호한 경향이었다. 윤작 시 연작에 비하여 병발생, 토양의 시들음병균 밀도가 낮은 경향이었으며, 연작 간에는 녹비작물재배 시 양호한 경향이었다. 녹비작물재배 간에는 호밀과 헤어리벳치재배에서 양호하였고, 공극률은 윤작과 연작의 호밀재배에서 가장 높았다. 연작기간이 경과할수록 시들음병 및 역병 발생이 많았으며, 연작 간에는 호밀재배에서 가장 적게 발생되었고, 수량도 가장 많았다.

Keywords

References

  1. Cho, E.K., N.Y. Heo, S.H. Choi and S.C. Lee. 1982. Studies on sesami disease in Korea. l. Incidences of phytophthora blight. Korean J. Phant Prot 21: 211-215
  2. 조인상, 허봉구, 이종모, 주낙섭. 1985. 고추 연작지실태 현지조사. 농기연구보고서 pp. 121-124
  3. 최봉호. 1998. NEW MYSTAT. 충남대학교 pp. 36-106
  4. 최진용, 김정효, 김두현, 조상철, 이유식. 1989. Brittle벼의 재배법 확립과 볏짚의 사료이용에 관한 연구. 농시논문집(산학협동 편) 32: 149-155
  5. Chung, C.H., J.H. Jeon, H.K. Kim and K.H. Park. 1989. Effects of the continuous cultivating years of the hot-peper, sesame and peanut on yields and soil microorganism. J. Korean Soc Soil Sci. Fert. 22: 67- 71
  6. 강승원, 김성기, 이장우, 유창재. 1991. 참깨 연작장해 원인구명 시험. 경기도 시험연구보고서 pp. 148-157
  7. 강승원, 이장우, 채규창. 1986. 참깨 연작체계 시험. 경기도 시험 연구보고서 pp. 211-218
  8. 농촌진흥청. 1988. 토양화학분석법 (토양, 식물체, 토양미생물)
  9. 농촌진흥청. 1995. 농사시험연구조사기준 pp. 485-552
  10. Kim, D.H., J.H. Seo, C.G. Kim, S.H. Choi and M.H. Koh. 1997. Effect of short-term rotation on growth, yield and the uptake of inorganic nutrient in sesame (sesamum indicum L.). RDA. J. Indus. Crop Sci. 39: 1-7
  11. Kim, D.H., J.H. Seo, C.G. Kim, S.H. Choi, M.H. Koh and I.B. Heo. 1998. Effect of crop rotation on the growth of sesame (sesamum indicum L.) and soil properties. J. Korean Soc. Soil Sci. Fert. 31: 216- 224
  12. 이두희, 양장석, 한만종. 1987. 참깨 입고성병원균에 대한 연구. 경기농업연구 pp. 137-142
  13. 이현욱, 김충희, 남기욱. 1991. 작부체계에 의한 고추역병 발생 억제. 한식지 7: 140-146
  14. 이정일, 채영암, 강광희, 조재성. 1996. 공예작물학. 향문사 pp. 34- 50
  15. 이정일, 강철환, 이승우. 1982. 참깨 입고병에 대한 종자소독제의 효과. 한작지 27: 78-83
  16. Paik, S.B., E.S. Do, J.S. Yang and M.J. Han. 1988. Occurrence of wilting disease (fusarium spp) according to crop rotation and continuous cropping of sesame (sesamum indicum L.). Korean J. Mycol. 16: 220-225
  17. 박종성. 1965. 참깨 Fusarium 위조병에 관한 연구. 충남대논문집 pp. 29-75
  18. 宋田明, 尾崎克巳, 下張根鴻. 1970. 作物の連輪作とフサリウム 病發生との關係. 日植病報36: 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