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quence homology

검색결과 914건 처리시간 0.029초

한천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해양 미생물 SH-1의 분리 및 특성 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arine Bacterial Strain SH-1 Producing Agar-Degrading Enzymes)

  • 이재학;이순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24-330
    • /
    • 2014
  • 한천을 분해하는 해양미생물을 한천을 유일한 탄소원으로 하는 인공 해수 한천 배지를 이용하여 제부도 개펄에서 분리하였다. SH-1으로 명명한 분리된 균주는 그람음성균이며 한 개의 극성 편모를 가지는 균이었다.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의 유사성 분석 결과 분리된 균주는 Neiella marina J221 [9]과 가장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96.5%). 분리 균주는 $28-37^{\circ}C$에서 생장하였지만 $42^{\circ}C$에서는 생장하지 못하였고 한천분해효소의 활성은 $37^{\circ}C$보다 $28^{\circ}C$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SH-1균주는 1-5% NaCl (w/v)를 포함하는 배양액에서 생장이 가능했으며 3%의 농도에서 가장 좋은 생장을 보였고 한천을 분해하는 효소의 활성도 3% 염분농도의 배양액에서 가장 높았다. 48시간 배양한 세포배양액을 농축하여 조효소액을 준비하여 효소의 적정 pH와 적정 온도를 조사한 결과 pH 7.0에서와 $40^{\circ}C$에서 최적 효소 활성을 보였다. 조효소액을 사용하여 zymogram 분석을 실시한 결과 분자량 15, 35, 52 KD 크기의 3개 이상의 한천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것으로 보인다. 박막크로마토그라피(TLC) 분석 결과 아가로스를 분해하여 네오올리고당을 생성하는 ${\beta}$-agarase 를 생산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Brucella abortus 국내 분리주의 Heat Shock Protein 암호 groE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과 발현 (Sequence analysis and expression of groE gene encoding heat shock proteins of Brucella abortus isolates)

  • 김태용;김지영;장경수;김명철;박창식;한홍율;전무형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45-53
    • /
    • 2005
  • GroE that is a heat shock protein composed of GroEL and GroES is known as an immunodominant target of both the humoral and cellular immune responses in bovine brucellosi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haracterize groE gene encoding heat shock proteins of B. abortus isolated in Korea and to evaluate the immunogenicity of the GroE protein expressed in E. coli system. In PCR the specific signals with the size of 2,077 bp were detected in five strains isolated from the mammary lymphnodes of the dairy cattle that were serologically positive and the reference strains. In comparison of the sequences of nucleotides and amino acids among the strains, GroES showed 100% identity in both sequences. GroEL was evaluated 99.0~99.9% in nucleotides and 98.0~100% homology in amino acids. The groE gene including groES and groEL was inserted into pET29a vector and constructed pET29a-GroE recombinant plasmids. The inserted groE was confirmed by digestion with Nco1 and EcoR1 endonucleases and nucleotide sequencing. E. coli BL (DE3) was transformed with pET29a-GroE, named as E. coli BL (DE3)/pET29a-GroE. In SDS-PAGE, it was evident that the recombinant plasmid effectively expressed the polypeptides for GroES (10 kDa) and GroEL (60 kDa) in 0.5, 1 and 2 hours after IPTG induction. The immuno-reactivity of the expressed proteins were proved in mouse inoculation and Western blot analysis.

DMBA 유도 햄스터 협낭 발암모델에서 세포증식 및 사멸과 p63 발현의 관계 분석 (THE RELATIONSHIP OF P63 EXPRESSION WITH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N DMBA-INDUCED HAMSTER BUCCAL POUCH CARCINOGENESIS)

  • 박지현;이원덕;민철기;강진한;명훈;이종호;김명진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1권3호
    • /
    • pp.219-227
    • /
    • 2005
  • Purpose: Abnormalities in the p53 gene are regarded as the most consistent genetic abnormalities detected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genesis. Two new members of the p53 gene family, p73 and p63 have recently been identified. They share considerable sequence homology with p53 in the transactivation, DNA binding, and oligomerization domains, indicating possible involvement in carcinogenesis. Disruption of the homeostatic balance between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s widely believed to contribute to human oral carcinogene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xpression of p63 in squamous cell carcinogenesis and to compare with immunochemical markers representing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Materials and Methods: Using the Syrian hamster oral cancer model, the fraction of apoptotic (apoptotic index-AI), proliferating (mitotic index-MI) and p63 expressing keratinocytes were examined at normal, dysplastic and malignant oral epithelium using the TUNEL assay, PCNA and p63 immunostaining. Results: p63 significantly increased between normal and dysplastic epithelium and between dysplastic and malignant epithelium. PCNA significantly increased between normal and dysplastic epithelium and between normal and malignant epithelium. However, increase between dysplastic and malignant epithelium, though still increasing,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ercentage of TUNEL positive cells increased from normal to dysplastic epithelium and returned to normal keratinocyte level in the malignant epithelium. However, differences between tissue types were not significant. The ratio of MI:AI increased significantly only in the dysplastic-malignant epithelial transition. The increase of p63 expression closely reflected the change in the MI:AI ratio during oral carcinogenesis. Conclusion: The p63 may be associated with the regulation of epithelia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n DMBA-induced hamster buccal pouch squamous cell carcinogenesis.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investigate which p63 isoforms are involved in hamster buccal pouch carcinogenesis.

쪽 염료 니람으로부터 Comamonas sp.와 Microbacterium sp.의 분리 및 특성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mamonase sp. and Microbacterium sp. from Deep Blue Sediment Dye of Polygoum tinctoria, Niram)

  • 장성은;이남근;이유리;최미성;정용섭
    • KSBB Journal
    • /
    • 제28권1호
    • /
    • pp.60-64
    • /
    • 2013
  • Two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 traditional Deep Blue Sediment Dye of Polygoum tinctoria, Niram, and temporarily named Niram A and Niram B, respectively. The phylogenetic analysis revealed that strain Niram A and B were closely related to the members of the genus Comamonas and Microbacterium, respectively. Strain Niram A exhibited the highest 16S rRNA gene sequence similarity to C. aquatica LMG $2370^T$ (98.06%). Strain Niram B showed 100% homology with M. oxydans DSM 20578T and M. maritypicum DSM $12512^T$. The growth of the strain Niram A and B was not inhibited in Niram medium containing high calcium concentration without free sugar as carbon source. The reducing Niram is greenish. Therefore, the reducing ability on the Niram of the strains Niram A and B were determined with the color difference of the $a^*$ values of Niram fermented-fluids. The $a^*$ value indicates the level of redness (positive value) or greenness (negative value). The green color is increasing towards the negative value. In all samples fermented for 10 days, the $a^*$ values among sample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samples fermented for 15 days have an appreciable change. After fermentation for 15 days, the control Niram sample had $-3.96{\pm}0.02$ of the $a^*$ value. On the other hand, the Niram samples fermented with the strain Niram A and B showed $-4.20{\pm}0.02$ of the $a^*$ value and $-7.86{\pm}0.03$ of the $a^*$ value, respectively. In the reducing ability on the Niram, the strain Niram B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strain Niram A.

과메기에서 histamine 분해능을 나타내는 세균의 분리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Histamine Degrading Bacteria from Kwamegi)

  • 김민우;김영만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20-125
    • /
    • 2006
  • 과메기에서 histamine분해능을 가진 세균을 분리 동정하기 위하여 histamine만을 첨가한 제한배지에서 균을 분리했다. 기본적인 형태 및 생화학적 동정시험을 거쳐 10종의 시험균주를 선택하여 16S rDNA 염기서열 비교에 의한 계통발생학적 분석으로 동정하였다. 동정된 세균의 histamine분해능은 탁도측정법과 효소법에 의해 재 확인하였으며 그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6S rDNA 염기서열 비교에 의한 계통 발생학적 분석을 이용하여 동정한 결과, E americana B791, Arthrobacter sp. R45S, H. marisflava, P. sp. 9B-7, Bacillus sp. LMG 21002, P. cibarius JG-220, B. megaterium KL-197 7종이 동정되었고, 각각 $99\%,\;95\%,\;98\%,\;99\%,\;99\%,\;99\%,\;98\%$의 상동성을 보였으며, 3종은 미동정되었다. 동정된 세균의 histamine분해능을 탁도측정법과 효소법에 의해 재 확인한 결과, Arthrobacter sp. R45S, H. marisflava, Bacillus sp. LMG 21002, B. megaterium KL-197이 분해능을 나타내었고, Psychrobacter sp. 9B-7은 미약한 분해능을 보였으며 미동정된 3종도 분해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E. americana B791과 P. cibarius JG-220은 분해능이 불확실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반고등어에서 분리한 균주보다 시험균주 모두가 생육과 histamine의 분해속도가 비교적 빨랐다.

Porphyromonas endodontalis의 침투에 따른 혈관 내피세포의 유전자 발현 (GENE EXPRESSION OF HUMAN CORONARY ARTERY ENDOTHELIAL CELLS IN RESPONSE TO PORPHYROMONAS ENDODONTALIS INVASION)

  • 공희정;최경규;박상혁;이진용;최기운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6호
    • /
    • pp.537-55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Porphyromonas endodontalis와 죽상경화증 및 심혈관질환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 endodontalis가 사람의 관상동맥 내피세포에 침투했을 때 나타나는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microarray와 real-time PCR로 측정하였고, 발현이 증가된 유전자 중에서 죽상경화증과 연관된 유전자들이 관련 KEGG pathway 상에서 유의성 있는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orphyromonas endodontalis는 사람의 관상동맥 내피세포에 침투하였다. 2. Microarray 분석결과, 대조군보다 발현이 2배 이상 증가된 유전자는 625개였고, 1/2이하로 감소된 유전자는 154개였다. 3. 발현이 2배 이상 증가된 유전자 중에는 염증성 cytokine 및 chemokine, 세포자멸사, 혈액응고와 면역반응 관련 유전자들이 포함되었다. 4. Microarray 분석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발현이 2배 이상 증가된 유전자 중에서 10개의 유전자를 선택하여 real-time PCR을 시행하였고, 그 결과 microarray에서와 마찬가지로 발현 정도가 대조군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P. endodontalis가 사람의 관상동맥 내피세포에 만성적으로 작용했을 때, 심혈관질환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죽상경화증을 유발하는 위험 요소 중의 하나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기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기수에서 분리된 용혈독소를 생산하는 미분류 Vibrio sp.의 세균학적 특징 -2. Vibrio mimicus와 유사한 Vibrio sp. E10의 세균학적 특성- (Bacteriological Characteristics of Unidentified Vibrio sp., Hemolysin Producer Isolated from Brackish Water -2. Bacteriological Characteristics of Vibrio sp. E10 Similar to Vibrio mimicus-)

  • 김영만;유홍식;오희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45-550
    • /
    • 2002
  • 금강 하구에서 분리한 용혈독소를 생산하는 V. mimicus와 유사하지만 분류되지 않은 기수성 Vibrio속으로 추정되는 균주 Vibrio sp. E10 (V. kunsan)의 세균학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기본적인 생화학적 시험과 전자현미경 상의 형태에서는 V. mimicus와 유사하였지만 TCBS 배지 상의 colony 형태는 V. vulnifirus와 유사하였으므로 V. mimicus와는 차이를 보였다. Human과 sheep blood agar에서의 뚜렷한 용혈환과 rat에 피부혈관투과항진 작용으로 용혈독성이 있었으며, mouse에 대한 치사독성이 있었으므로 병원성이 확인되었다. 생육 가능한 환경 조건은 염도 0$\~$$4.5\%$, pH 6.2$\~$9.2, 온도 $14\~42^{\circ}C$이 었다. Vibrio sp. E10의 16S rDNA 염기서열은 10여종의 V. cholerae와 1종의 Vibrio mimicus의 염기서열과 $99\%$의 상동성을 보여 유사 종으로 판명되었다. 그러나 세균 자동동정기를 이용한 동정 결과, genus는 Vibrio 속으로 동정되었으나 species는 일치하는 균종이 없었다. 알려진 Vi-brio속 중에서 유사성이 높았던 V. mimicus와 비교해 볼 때 18종류의 항목이, V. cholerae와는 11종류의 항목이 다른 반응을 나타내어 미분류 균종으로 확인되었다.

Neurospora crassa rcm-1 돌연변이체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the Neurospora crassa rcm-1 Mutants)

  • 김상래;이병욱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46-254
    • /
    • 2005
  • Neurospora crassa의 게놈 분석을 통하며 tetratricopeptide repeat (TPR) 부위를 보유할 것으로 추정되는 19중의 단배질을 찾아냈다. 이중에서 한 단백질은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다양한 유전자들의 공통 전사 억제인자로 알려진 Ssn6 단백질에 $60\%$ 이상의 유사도를 보였다. N. crassa의 RIP (repeat-induced point mutation) 과정을 통하여 생산된 돌연변이 균주들은 도두 느리게 성장하였는데, 4가지로 구분되는 돌연변이 표현형을 나타냈다. 첫 번째 돌연변이 표현형은 균사가 ropy돌연변이와 유사한 균사 모양으로 성장하고 밀도가 높아 보였고, 대분생포자는 yellow와 csp 표현형을 보였다. 두 번째 돌연변이형은 늦은 성장을 보였지만 대분생포자를 생산하였다. 세 번째는 매우 느린 균사 성장을 보였고 acon 표현형을 나타냈다. 마지막 돌연변이형은 거의 공기 중으로 균사를 뻗지 못하였으며 acon 표현형을 보였는데, rco-1 RIP 돌연변이체와 유사하였다. 돌연변이체들은 모두 male로서는 수정능을 보였지만 female로서는 교배가 불가능했으며 자낭각을 생산하지 못하였다. 이 결과들은 이 유전자가 N. crassa의 성장은 물론 무성생식 및 유성생식의 여러 과정에 관여함을 나타낸다. 염색체와 cDNA의 서열을 분식한 결과에 따르면, 유전자가 6개의 인트론을 보유하고 있고, 총917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102kDa의 단백질을 암호화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 유전자를 rcm-1 (regulation of conidiation and morphology)으로 명명하였다.

Alkaline protease inhibitor를 생산하는 해양유래 방선균의 탐색 및 동정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Alkaline Protease Inhibitor-Producing Marine-derived Actinomyces.)

  • 강성일;공재열;최영준;김민용;손홍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82-487
    • /
    • 2008
  • Alkaline protease는 식품 가공 공정에 있어 가공 원료의 선도 저하를 초래하거나 맛살류 제품 원료인 어류의 근육조직을 파괴하여 gel 구조를 파괴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해양으로부터 alkaline protease에 대한 저해력을 가지는 방선균들을 분리하여 그 중 저해력이 가장 높은 C12균주를 최종 선정하였다. 본 균주의 형태학적, 배양적 및 생리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포자의 크기는 $2.0\;{\mu}m$로 외형은 원통형이고, 편모가 없으며, 포자형태는 smooth하였다. ISP 9배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배지에서 잘 성장하였다. 또한 $15{\sim}50^{\circ}C$에서 잘 성장하였으며, 9% (w/v) NaCl이 포함된 배지에서도 성장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Gram 양성, citrate 음성, catalase 양성이었으며, melanin 색소를 생성하지 않았다. Starch, casein 및 gelatin 분해능이 있었으며, glucose, galactose, maltose, lactose, fructose 및 mannse 등은 잘 이용하였지만, sorbitol과 sucrose는 이용하지 않았다. 이러한 특성을 토대로 본 균주는 Streptomyces sp.로 확인되었다. 보다 정확한 균주 동정을 위하여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C12 균주는 S. thermocarboxydus와 계통진화학적으로 가장 유연관계가 높았다.

식물 내생균 Bacillus sp. CY22가 생성하는 iturin isoform의 분리 및 특성 (Identification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hree Isoforms of Iturin Produced by Endophytic Bacillus sp. CY22)

  • 조수정;윤한대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1005-1012
    • /
    • 2005
  • 식물 내생균 Bacillus sp. CY22는 식물병원균 Rhizoctonia solani, Fusarium oxysporum 및 Phythium ultimum에 대해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많은 Bacillus속 균주들은 iturin, fengycin, mycosubtulin과 같은 항균 물질을 분비한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내생균 Bacillus sp. CY22의 배양액으로부터 항균물질을 분리, 정제하였으며 MALDI-TOF mass로 분자량을 확인하였다. MALDI-TOF mass spectrum분석 결과 분리된 항균물질은 Bacillus 속 균주가 생성하는 항균물질로서 잘 알려져 있는 iturin의 분자량과 거의 일치하였으며, m/z 1043.4, 1057.4, 1071.4에서 molecular ion peak를 나타내었다. 이들은 각각 m/z 14차이를 가진 iturin의 isoform으로 추정되며 이 것은 iturin을 구성하고 있는 지방산의 탄소수 차이로 생각되며 m/z 1065.4, 1079.4 peak는 sodium adduct로서 추정된다. 또한 항균물질 iturin을 생성하는데 관여하는 transacylase 유전자를 크로닝하여 ita22 유전자로 명명하고, 그 특성으로 ita22 유전자는 400 개의 아미노산을 인지하는 1,200 bp의 open reading frame (ORF)을 가지며, 아미노산의 상동성을 조사한 결과 Bacillus subtilis 168의 FenF (BAB69697)와 가장 유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