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parated textbooks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8초

국외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r Develop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overseas)

  • 이해영;방성원;박기영;박선희;이보라미;최은지
    • 한국어교육
    • /
    • 제29권3호
    • /
    • pp.227-25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for future developments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overseas by conduct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oversea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se and evaluate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overseas and the researches for develop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overseas. In this study, we have the IPA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from the total of 158 surveys that were collected from teachers who teach Korean at King Sejong Institute and overseas university. The survey conducted about the Korean textbooks regarding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1) integrated and separated textbooks, 2) textbooks by learners' variables, 3) teaching materials by media type, 4) supplementary teaching materials, 5) diffusion and support of textbooks. The result of this survey found that supporting for the separated textbooks is needed, and there is a high demand for localized textbooks considering local characteristics. Furthermore, it is noteworthy that King Sejong Institute has a high demand for textbooks that can be downloaded from the web despite most of institutes are highly satisfied with paper textbooks. For the supplementary textbooks, it was found that vocabulary learning materials were needed for the King Sejong school students and additional reading materials for overseas college learners needed to be developed. We also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support not only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but also smooth and efficient diffusion.

남.북한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cience Curriculums and Textbooks of Middle School in South and North Korea)

  • 박광서;정은주;양일호;박국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81-49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se the subject organization and teaching units of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s and science textbooks, by studying the organization of subject matter and content scope and level of middle school science subject in South and North Korea.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omposition, scope, and level of content betwee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in South and North Korea were similar. However, the study found that science education objectives, separated science curriculum subject organization, economical efficiency weighted format and organization of science subject matter, result-centered experiments, the enlightenment of Kim Ilsung and his son in North Korea science education were very far from the desirable direction of science education. Therefore, the view on level-based curriculum and organizat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should be integrated, and preparation of student-centered organization of textbooks and expansion of science-technology-society content is needed before unification. And also, the united Korea science curriculum shouldn't simply compromise or neutralize between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in South and North Korea. They should make a future-oriented plan for information and globalism society.

스토리텔링 기반 수학 교과서에 대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인지부하 분석 - '수와 연산' 영역의 한 주제를 중심으로 - (The 4th Grade Elementary Students' Cognitive Load of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 Focused on one Theme in 'Number and Operations' -)

  • 이세형;유윤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6권1호
    • /
    • pp.1-1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gnitive load of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and traditional mathematics textbooks that are presented to students. In order to verify this, we have selected two 4th grad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that were identified as a homogeneous group through prior testing, and thus were separat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Then, without the teacher's lessons, the experimental group learned from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and the comparative group learned from traditional mathematics textbooks. Afterwards, the two groups' cognitive load was measured through a questionnaire,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mental effort' and 'self evaluation' categories, the students that learned from the mathematics textbook based on storytelling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students that learned from the traditional mathematics textbook. also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me items.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remaining categories 'task difficulty', 'self evaluation', and 'material design'.

한국 개화기 기독교학교 교과서의 서지학적 연구 (A Bibliographical Research on Textbooks of Missionary Schools in Korea during the Opening Period)

  • 김봉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3권
    • /
    • pp.63-106
    • /
    • 1992
  • The opening period of Korea was the period of modernisation amidst the conflicts between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sections with penetration of Western powers after 1876. With the opening modernisation accompanied modernisation of education. Missionary schools established by protestant missionaries played a crucial role in educational modernisation in the period of opening. In this article, the process of educational modernisation and the ways in which the ideas of democracy and equality were taught in the earliest schools, Paejae, Ewha, Kyoungsin and Chungsin are analysed through the method of bibliographical investigation of the textbooks used by these schools. No textbook prior to 1900 was found and in general there were no textbooks such as we know today. Usually English reading material and the Bible were the main teaching materials. Teachers kept their own copies of hand-written texts which were translated versions of American textbook. Since the same teacher taught in a number of schools, they shared same curriculum. In the early period, English Bible was taught so that English and the Bible lessons were not separated but gradually history and geography were added. Teaching of Hangul, and Korean history were added to encourage the sense of national identity and patriotism. In the case of Chungsin, for biology class, pupils were sent to Che-jung-won to learn human physiology, chemistry and physics, which shows an emphasis on science education. Vocational education was carried out; in the case of Paejae, a printing workshop was set up enabling students to earn some money at the same time as learning. Also in Kyungsin, skills of woodwork and basket weaving were stressed. Ewha also held a bazaar of the work made in sewing classes. Establishment of missionary schools brought about a great contribution in modernising Korean society and the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of these schools lay the foundation for building democracy in Korea.

  • PDF

초등 국어교과서 지시문과 의문사 분석 (Analysis of the Directives and Wh-words in the Directives of Elementary Korean Textbooks)

  • 이수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34-14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국어교과서의 지시문과 지시문에 포함된 의문사를 조사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2, 4, 6학년 1학기 국어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Microsoft Office Excel에 모든 지시문을 입력한 후 의문사가 포함된 지시문을 구분하였다. 지시문 분석에는 (주)낱말의 분석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의문사와 질문 유형 분석을 위해서는 선행 연구의 기준을 참고하였다. 연구 결과 2, 4, 6학년 국어교과서의 지시문에는 명사, 동사가 많이 포함되었고, 평균 6.9 어절의 문장으로 구성되었다. 지시문에 포함된 의문사 유형으로는 11가지 유형의 의문사가 분석되었다. 모든 학년에서 '무엇, 어떤, 어떻게' 의문사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질문 유형은 모든 학년에서 사실적 질문보다 추론적 질문이 많았다. 본 연구는 문어가 중심이 되는 학령기 아동의 언어 중재 특히 의문사 중재 목표와 관련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20세기 초 한국어 단모음의 음향음성학적 연구 (A Phonetic Investigation of Korean Monophthong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 한정임;김주연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6권1호
    • /
    • pp.31-38
    • /
    • 2014
  • The current study presents an instrumental phonetic analysis of Korean monophthong vowel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Seoul Korean, based on audio recordings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Botonghakgyo Joseoneodokbon (Korean Reading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The data examined in this study were a list of the Korean mono syllables (Banjeol), and a short passage, recorded by one 41-year-old male speaker in 1935, as well as a short passage recorded by one 11-year-old male speaker in 1935. The Korean monophthongs were examined in terms of acoustic analysis of the vowel formants (F1, F2) and compared to those recorded by 18 male speakers of Seoul Korean in 2013. The results show that in 1935, 1) /e/ and /ɛ/ were clearly separated in the vowel space; 2) /o/ and /u/ were also clearly separated without any overlapping values; 3) some tokens of /y/ and /ø/ were produced as monophthongs, not as diphthongs. Based on the results, we can observe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Korean vowels over 80-90 years such as 1) /e/ and /ɛ/ have been merged; and 2) /o/ has been raised and overlapped with /u/.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학습자료의 분석 (An Analysis of the Learning Materials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 최도성;김명호;김정길;김석중;송판섭;한광래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4호
    • /
    • pp.305-317
    • /
    • 2004
  • The learning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should include all kinds of materials being used by both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science teaching. The major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is textbooks and teacher's guidebooks prepared for the science teaching of 3-6 grade students. To clarify this research, we listed whole of the learning materials of science teaching for each grade and counted numbers being used for whole of the lessons of science. An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thods of its preparation of materials, the types of learning materials can be divided into 10 categories such as teaching equipments for science, test materials, consumables, audio-visual aids, teaching equipments in general, collecting' recycling materials, field studies' collected data, breeding' cultivation materials, manufacture materials, and etc. A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needs total 844 items of learning materials for science education. They could be separated into ten types of categories such as 159 items of teaching equipments for science, 65 items of test materials, 116 items of consumables, 198 items of audio-visual aids, 64 items teaching equipments in general, 31 items of collecting' recycling materials, 38 items of field studies (collecting) materials, 17 items of breeding-cultivation materials, 58 items of manufacturing materials, 105 items of other materials. And we found out that there were 332 items of materials for the 3rd grade, 303 items for the 4th grade, 324 items for the 5th grade, and 254 items for the 6th grad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ould be useful for classroom activities for science teaching.

  • PDF

Jigsaw III 협동학습이 여학생의 과학학업성취도와 과학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Jigsaw III Cooperative Learning on Science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 of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 황영란;박윤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5권1호
    • /
    • pp.91-10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수업에 Jigsaw II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전통적 학습 모형과 비교해 봄으로써 Jigsaw III 협동학습이 수업 처치, 성 차이, 성적 차이에 따라 과학학업성취도와 과학학습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남녀 분리반 여학생의 과학수업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 모형을 모색하려고 하였다. 남녀 분리반 중학교 2학년 4개 학급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통적 수업 학급 여자 36명, 남자 35명, Jigsaw III 협동학습 학급 여자 38명, 남자 34명으로 총 143명이었다. 수업은 중학교 2학년 전기단원에 대해 총 18차시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반 수업은 수업 내용과 관련하여 개발한 학습 자료를 사용하였고 통제반에서는 교과서 내용을 중심으로 전통적인 강의 중심 수업을 하였다. 수업 처치, 성, 성적 차이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성취도 검사와 학습태도 검사를 사전 사후에 각각 실시하였고,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Jigsaw III 협동학습은 실험반의 중학교 여학생들의 주관식 과학학업성취도 향상에 도움이 되었고, 중하위 성적 학생들의 과학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데도 효과적이었고, 과학학습태도 면에서는 Jigsaw III 협동학습이 스스로 공부하는 자율학습태도를 향상시켰다. 의견 조사에서 남학생보다는 여학생들이 Jigsaw III 협동학습에 대해 더 긍정적이었다. 그러므로 Jigsaw III 협동학습은 남녀 분리반 여학생과 중하위 성적 학생들의 과학학업성취도와 자율학습태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큰 수업모형이라고 할 수 있겠다.

  • PDF

일본의 사회과 교과서 분석을 통한 도서관활용수업의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Library Assisted Instruction(LAI) Through the Analysis of Japanese Social Studies Text-Books)

  • 노진영;변우열;이병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55-175
    • /
    • 2008
  • 본 연구는 도서관활용수업과 도서관협력수업에 적합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일본의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중학교의 지리(中學校の地理), 중학교의 역사(中學校の歷史))를 분석함으로써 도서관활용수업에 적합한 교과서 개편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본의 사회과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신학습지도요령(新學習指導要領)'에 학교도서관 자료의 이용에 관한 사항을 명시하고, 교과서가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수업을 전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교과내용의 전달에 그치지 않고, 학습하는 방법, 자료 활용을 통한 학습을 유도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활용수업과 도서관협력수업을 학교 현장에 정착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도개선의 측면, 교과서 재개발의 측면, 도서관활용수업 교재 개발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국민학교 보건교육 교과과정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chool health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focused on the health education course in primary school)

  • 김화중;이인숙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6-63
    • /
    • 1992
  • 우리나라의 경우, 현 교육과정내에 보건지도 내용이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학생들이 예방측면의 건강행위에 미숙하며, 자기관리능력의 중요성 인지도가 낮고, 응급상황에 대처하지 못한다는 점은 그들의 건강관리요구를 보건교육에서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내 주고 있다. 또한 만성질환이 점차 많아지는 점에 비추어 건강습관 형성을 위해서는 보건교육을 반드시 기본교육의 한 부분으로 포함시켜야 한다는 필연성에서 보건교육과정 개선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교과과정이 이러한 체계를 갖추지 못했다 하더라도 납득할만한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못하면 기존의 교육과정을 변화시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전략은 1차적으로 학교책임자와 담당교사의 인식과 기술을 변화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이를 위한 대단위 캠페인(Campaign)을 벌인다거나 보건교과에 대한 바른지침을 제시하거나 보수교육의 기회를 만들어 교사에 대한 재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한 방안이다(Stanly, 1980). 그후 기존 교과내에서 보건관련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후, 건강행위와 질환관리에 관한 내용은 별도로 묶어 독립된 과목으로 구성하며 담임교사와 전담교사와의 협력하에 진행할 수 있는 점진적인 체계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계획을 추진하는 가운데 주의할 점은 반드시 보건교육의 목표가 전체 국민학교의 교육과정 목표와 일치해야 하며, 현재 자원으로 운영이 가능한 안을 구성해야 한다는 점, 전담인력의 자질을 개발시켜야 한다는 점 등을 고려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보건교육과정을 변화시키는 의미는 보건교육을 체계적으로 시키고자 하는데 있으며, 더불어 건강관리에 대한 자기책임이 강화되도록 동기를 부여하며 긍정적인 생활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의지력과 기술을 제공하는 데에도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행 보건교육과정을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아래와 갈다. 1. 현재 우리나라 보건교육과정의 운영방식은 아래와 같다. 1) 각 학년내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보건교육 내용은 학생들의 성숙정도에 따라 심화되어가는 체계성을 보이지 못하고 있으며, 같은 학년내에서 다루어지는 내용도 연계성을 갖고 있지 못하다. 2) 내용에서는 정서 정신적인 면, 사회적 건강의 면을 거의 다루고 있지 않다. 3) 질환관리를 다루는 경우로 건강습관형성이나 예방행위를 익힐 수 있는 내용은 한정적이다. 4) 예시의 경우 생활환경 차이에서 오는 건강문제의 다름을 전혀 인식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현실감이 없거나 실생활에 적용가능하지 않은 것이 많다. 5) 주요 취급내용은 신체청결, 영양, 신체적 성장, 해부구조 및 기능, 안전사고 예방등이다. 그러나 이 부분에서도 응급처치의 부분은 취급하고 있지 않다. 만성질환과 위험요인 관리, 정신보건과 사회적응, 소비자로서의 의료행위 결정은 필수로 삽입되어야 할 주제이며,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 지역의료기관의 이용, 신체단련과 휴식 프로그램, 환경보전과 성교육은 일부 다루어지고 있으나 강화되어야 할 주제이다. 6) 교과서에 명시된 문구는 주로 이상적인 상황을 강요하는 지침 형태이다. 지도내용은 학생들 수준에서 발생가능한 일반적 상황을 제시하여 해결방안을 스스로 결정하는 접근법을 사용해야 한다. 2.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은 아래와 같다. 1) 교육내용을 포괄적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건강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8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2) 지도주제는 복잡하고 추상적인 개념은 고학년군에 그리고 구체적이고, 간단히 이해될 수 있으며 실행가능한 것은 저학년군에 삽입하였다. 예방행위는 저/중간학년에서, 치료행위와 재활행위는 고학년에서 다루며, 같은 학년군에서 취급하는 것은 내용상 관련성을 고려하였다. 3) 변경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경우 성장발달과 자연환경은 자연과목에서 생활환경과 사회환경, 의료환경은 현재와 갈이 사회과목에서 다루어 준다. 그러나 기존 교육과정을 능가한 건강관리 내용과 건강행위 관련 주제는 보건과목으로 구분하여 보건교과 전담교사가 다루도록 한다. 4) 행위변화를 위해서는 긍정적 자아인식과 생활태도를 형성하도록 유도하고, 바른 의사 결정과 스스로 건강관리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 그러므로 수업방식은 현재의 전달식 교수법이 아닌 토론, 게임, 실습, 견학, 역할극 등의 다양한 방법을 모색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