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mi-drying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4초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honey coating semi-dried mulberry fruit using hot air dryer

  • Kim, Hyun-bok;Kwon, O-Chul;Ju, Wan-Taek;Kim, Yong-Soon;Sung, Gyoo Byung;Hong, Seong-jin;Kim, Dooh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7권2호
    • /
    • pp.63-68
    • /
    • 2018
  • Semi-dried mulberry fruit can be distributed at room temperature and maintained its chewy texture and shape. It can be used for its own itself or food materials. We develop the honey coating semi-dried mulberry fruit manufacturing method through hot air dryer. After extracting the moisture from the thawing process, honey was coated and dried. Drying time for semidried mulberry fruit was shortened by manufacturing on the day of work without going through aging process. The first the mulberry fruit juice was separated from the frozen mulberry fruit at room temperature of the laboratory or in the dryer of $60{\sim}90^{\circ}C$, then the first dried by a hot air drier at $60^{\circ}C$ for 3 to 4 h. Next, it is coated with honey, which is equivalent to 20% weight of the first dried mulberry fruit, and then the second dried at a temperature of $38^{\circ}C$ for 20 ~ 30 h. The honey coating semi-dried mulberry fruit by above method was shiny on the surface and retained its shape. The moisture content was about 15%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could be stored at room temperature.

수분함량에 따른 반건조 우리밀 국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mi-dry Noodles with different Water Contents)

  • 박복희;박양균;조광호;전은례;고경미;최용범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5-143
    • /
    • 2017
  • This study evalu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mi-dried noodles prepared with different water contents (wet noodles; 32, 24, 22, 20%, dry noodles; 12%). The drying process was carried out in a drying chamber at $13{\sim}18^{\circ}C$ temperature and 75~95% humidity.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Korean wheat flour was as follows: water $22.1{\pm}3.64%$, protein $8.6{\pm}0.13%$, fat $1.3{\pm}0.10%$, ash $0.7{\pm}0.02%$, carbohydrates $67.3{\pm}0.10%$. As water contents decreased, both L and b values significantly decreased before cooking of noodles, whereas L, a, and b valu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fter cooking of noodles. Weight, water absorption, and volume of cooked noodles significantly increased as water content decreased, whereas turbidity of so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utting hardness before cooking of noodles significantly increased as water content decreased. Sections of noodles after cooking by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howed roughness and fewer round starch particles as water content decreased. For overall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sensory evaluation, noodles prepared with different water cont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results, semidried noodles have development potential to complement the disadvantages of both wet noodles and dry noodles.

저염 굴비 제조 시 열풍건조 온도에 따른 화학적 특성 변화 (Chemical Changes of Low Salt Gulbi (salted and dried yellow corvenia) during Hot-air Drying with Different Temperatures)

  • 곽현정;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47-154
    • /
    • 2010
  • 열풍건조 온도를 달리한 생조기와 냉동조기의 내장의 유무에 따른 각각의 처리구별로 건조 온도를 달리하여(30, 35, $40^{\circ}C$) 건조기간 동안 화학적 품질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산도, pH, 염농도, 휘발성 염기질소, TBARS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전통굴비의 염도는 22-23%정도를 나타내는데 본 연구에서 30, $35^{\circ}C$에서 건조하여 제조한 굴비의 염도는 17-20% 정도로 염도가 더 낮아 저염 굴비의 제조 가능성을 보였다. 또한 $35^{\circ}C$ 건조 처리구의 염도가 $40^{\circ}C$ 건조 처리구에 비해 2-4% 이상 낮은 염도를 나타내어 저염 굴비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온도로 결정 할 수 있었다. VBN 함량에서는 30, 35, $40^{\circ}C$ 건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건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VBN의 수치가 점차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이는 굴비의 건조중 변패가 많이 일어난 것으로 여겨진다. 그 외 TBARS 함량 역시 건조기간이 경과할수록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제품의 내장 유무에 대한 산패도 측정결과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전통적인 굴비 제조 방법에 비해 $35^{\circ}C$에서 15일 동안 건조 하는 것이 품질이 우수한 저염굴비를 빠르게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물리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고압 처리 후 가공한 반건조 병어의 품질특성과 저장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Stability of Semi-Dried Silver Pomfret (Pampus argenteus) Processed with Treatment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 김민지;이수정;김종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805-816
    • /
    • 2014
  • We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resulting sensory evaluation of semi-dried silver pomfret treated with high hydrostatic pressure (HHP) processing and brining for 14 days at 4 and $10^{\circ}C$ to evaluate the effects of treatment with HHP processing. HHP treatment and brining could cause compaction of fibers and the space between muscle. The G' values of all samples were higher than the G" values and the tan ${\delta}$ values of the tissue ranged from 0.222 to 0.251 with no further changes observed during storage. HHP treatment and brining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otal color difference, and the HHP and brine-treated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s in terms of sensory evaluation. HHP treatment combined with brining coul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emi-dried products and their storage stability, and it is suggested from the results that they may have the potential to satisfy the requirements to produce commercially marketable food grade products.

건조조건에 따른 꽁치과메기의 핵산류, 유리아미노산의 변화 (Change of Nucleotides, Free Amino Acids in Kwamaegi Flesh by Different Drying for Pacific saury, Cololabis saira)

  • 오승희;김덕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49-255
    • /
    • 1998
  • 경북 동해안 일대의 전통 향토식품인 꽁치 과메기의 건조방법을 자연건조와 인공건조로 달리하여 각각 15일 건조기간 중의 핵산 관련물질, 아미노산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핵산 관련 물질은 건조기간 중 ADP, AMP 함량은 서서히 감소한 반면 IMP함량은 증가하여 IMP 축적현상을 보였으며 건조기간 중 inosine과 hypoxanthine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K value의 변화는 건조과정 중 점차 증가하여 건조 중 핵산 물질의 분해가 진행됨에 따라 신선도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핵산 물질의 변화에 의한 신선도 측면에서 인공건조가 자연건조보다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IMP 등의 조합에 의한 맛의 상승작용으로 과메기 특유의 맛을 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2.98이었으며 glutamic acid, aspartic acid, histidine의 함량이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34% 이상 차지하였다. 자연 및 인공건조동안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glutamic acid, histidine은 건조 3일째 이후부터 9일째까지 급속히 감소하였고 자연건조보다 인공건조의 감소가 더 크다. 자연 및 인공건조 중 lysine 함량은 점차 증가하였으며 threonine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 PDF

반건식 세정기의 슬러리 분무 특성에 따른 산성가스 제거효율 (The Effect of Spray Characteristics on Flue Gas Desulfurization Yield in Spray Drying Sorber)

  • 양현모;김상수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D
    • /
    • pp.79-84
    • /
    • 2001
  • The effect of spray characteristics on desulfurization yield was evaluated by performing experiments with pilot spray drying sorber (SDS). Among the variables of operating conditions, the slurry-spraying conditions were chosen as major parameters; Stoichiometric ratio and Sauter mean diameter of slurry droplet were varied for the different gas temperatures and $SO_{2}$ concentrations in the inlet gas flow.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we proposed semi-empirical models of desulfurization yield for both Stoichiometric ratio and Sauter mean diameter of droplets. The optimal condition of spray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se results, which might be applied to the design or scale-up of SDS systems.

  • PDF

반건식 반응기에서의 활성탄 혼합주입에 의한 소각로 배가스중의 유기 염소계 화합물의 제거 공정 연구 (Removal of Chlorinated Organic Compounds in Flue Gas by Activated Carbon Injection in a Semi-Drying Reactor)

  • 주창업;황재동;이조영;조철훈;신병철
    • 청정기술
    • /
    • 제6권2호
    • /
    • pp.121-127
    • /
    • 2000
  • 소각로 배가스중에는 분진, 산성가스, 중금속, 다이옥신 등의 여러 유해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유해가스 중의 다이옥신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중의 하나인 활성탄의 흡착을 이용한 유해물질 제거 방법의 효율을 조사하였다. 다이옥신의 전구물질인 1,2-dichlorobenzene (o-DCB)를 사용하였으며 기존의 소각로에 추가 설비가 필요 없이 활성탄을 반건식 반응기에서 소석회와 함께 분무하고 백필터로 여과하는 공정에 대하여 반응기 운전 온도, atomizer r.p.m., 활성탄 양 변화에 대한 효율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소석회와 활성탄 분무를 위한 atomizer의 rpm이 클수록, 즉 분무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제거 효율은 증가하였고 반건식 반응기에서의 배가스 유출온도는 백 필터의 유입온도에 준하여 결정하는 것이 타당하며 $145^{\circ}C$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또한 백필터에서의 제거효율이 반건식 반응기에서의 제거효율보다 높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살균소독수로 세척한 후 냉풍건조한 꽁치과메기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wamegi (Semi-dried Coloabis saira) During Cold Air Drying after Washing with Various Washing Solutions)

  • 강상모;이원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4-8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꽁치를 냉풍건조방법으로 생산한 과메기의 성분 변화와 세척수 처리에 따른 미생물 제어효과를 조사하였다. 건조를 하기 전 시료의 수분 함량은 56.62%였으나 초기 수분 함량이 급격히 감소하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완만해지는 결과를 보였다. 건조 처리 전의 과메기의 색도차는 42.40이었으나 온도와 건조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색도차의 값이 감소하였다. 건조를 하지 않은 대조구의 TBA 값은 0.219였고, 모든 온도 조건에서 건조가 진행될수록 산패도가 증가하였다. 과메기의 구성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25^{\circ}C$에서 36시간을 건조시킨 처리구에서 총 아미노산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40^{\circ}C$에서 12시간을 건조시킨 처리구가 총 아미노산 함량이 가장 낮았다. 건조온도와 시간에 따른 과메기의 지방산 분석 결과, 주요 지방산은 14:0, 16:0, 18:1 등이 각각 18.15~20.96%, 28.06~32.51%, 17.06~19.81%로 분포하였다. Chlorine dioxide 100 ppm에서 60초 동안 세척한 구에서 미생물제어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과메기의 위해미생물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sp.와 Pseudomonas putida 로 두 균주가 조사되었다.

Effects of Replacing Sucrose with Various Sugar Alcohols on Quality Properties of Semi-dried Jerky

  • Jang, Sung-Jin;Kim, Hyun-Wook;Hwang, Ko-Eun;Song, Dong-Heon;Kim, Yong-Jae;Ham, Youn-Kyung;Lim, Yun-Bin;Jeong, Tae-Jun;Kim, Si-Young;Kim, Cheon-Je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622-629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placing sucrose with sugar alcohols (sorbitol, glycerol and xylitol)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semi-dried jerky. Total 7 treatments of jerkies were prepared as follows: control with sucrose, and treatments with 2.5 and 5.0% of sucrose replaced by each sugar alcohol, respectively. Drying yield, pH, water activity, moisture content, shear force, myofibrillar fragmentation index (MFI),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value, sugar content, and sensory evaluation were evaluated. Xylitol slightly decreased the pH when compared to the other sugar alcohols (p>0.05). The water activity of the semi-dried jerky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treatment with glycerol and xylitol (p<0.05). The moisture content of semi-dried jerky containing various sugar alcohol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p<0.05), while replacing sucrose with glycerol yielded the highest moisture content. The shear force of semi-dried jerky containing sugar alcohol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the sorbitol and glycerol treatments, but that replacing sucrose with 5.0% xylitol demonstrated the lowest shear force (p<0.05). The TBARS values of semi-dried jerkies with sugar alcohols were lower than the control (p<0.05). The sugar content of the semi-dried jerkies containing sorbitol and glycerol were lower than the control and xylitol treatment (p<0.05).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the 5.0% xylitol treatment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sensory evaluation (p<0.05). In conclusion, semi-dried jerky made by replacement with sugar alcohols improv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while xylitol has applicability in manufacturing meat products.

참가자미의 저장 중 오염미생물 Staphylococcus aureus와 Escherichia coli의 생육에 미치는 Chitosanascorbate의 영향 (Inhibitory Effects of Chitosanascorbate on Growth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Contaminated in Flounder during Storage)

  • 김영숙;오승희;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28-133
    • /
    • 2009
  • 참가자미의 저장 중 오염미생물(total aerobacter, Staphylococcus aureus, E. coli)의 생육에 미치는 0.1% chitosan-ascorbate (CA) 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참가자미는 아가미를 제거한것(OG)과 제거하지 않은 것(WG), 건조도를 0%(0 D), 20% 건조(20 D), 40% 건조(40 D)로 구분하였으며 처리 후 진공 포장하여 $5^{\circ}C$에서 10일간 저장하였다. 저장중 총호기성 균수(log CFU/g)는 OG가 WG에 비하여 0.29-0.44 log cycle이 낮았다. S. aureus(log CFU/g)는 CA처리구가 무처리에 비하여 0.13-0.14 log cycle이 억제되었으며, E. coli에서도 0.3-0.43 log cycle이 낮았다. 0 D, 20 D 및 40 D를 비교한 결과, total aerobacter, S. aureus 및 E. coli 모두 20D에서 가장 낮았으며 total aerobacter의 경우는 생것에 비하여 0.13-0.53 log cycle이 억제되었다. 건조도 20 D의 CA처리는 무처리에 비하여 0.13-0.53이 억제되었다. 40 D에서도 CA 처리는 무처리에 비하여 0.3-0.88 log cycle이 감소되었다. 참가자미로부터 분리한 S. aureus의 배양액에 CA를 첨가한 결과 세포가 붕괴되어 사멸해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배양초기와 중기(3-6 hr)에 CA의 첨가는 생육을 68-90% 억제하였으나 배양후기(24 hr)에는 46%가 억제되었다. E. coli에서는 배양초기와 중기(3-6 hr)에는 75-96%가 억제되었으며, 배양후기에는 54%가 억제되었다. 본 연구에서 CA는 E. coli와 S. aureus 모두를 저해하지만 E. coli의 생육이 더 크게 저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