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ing plants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31초

Confirmation of $F_1$ Hybridity Using RAPD Markers in Soybean

  • Chung, Jong-Il;Ko, Mi-Suk;Shim, Jung-Hyun;Kim, Seok-Hyeon;Kang, Jin-Ho
    • Plant Resources
    • /
    • 제2권1호
    • /
    • pp.22-25
    • /
    • 1999
  • Molecular markers are useful to confirm the hybridity of F1 plant derived from cross of two homozygous parents with similar morphological traits. RAPD markers were used to test F1 hybrid plant obtained from cross of two homozygous soybean (Glycine max) parents. Fl plant for cross I was made from the mating of Hobbit87 (female) and L63-1889 (male) and Fl plant for cross II was obtained from the mating of H1053 (female) and L63-1889 (male). Selfing plant per each cross was also obtained. Among 20 Operon primers used, OPA04 and OPA09 show polymorphism between cross I and II parent. Band in size 1Kb of OPA04 and 2.1Kb of OPA09 primer was polymorphic band. This fragment identified Fl hybrid plant and selfing plant in cross I and II. Female parent Hobbit87 in cross I and H1053 in cross II has no this fragment (recessive allele). However, male parent L63-1889 and Fl hybrid plant in cross I and II has this size of polymorphic band (dominant allele). This indicated that Fl hybrid and selfing plants were detected by RAPD marker before phenotypic marker would be used to identify Fl hybridity. Amplification products of selfing plant for cross I and II were completely same to the those of female parent. When mature, flower color of Fl hybrid plant in cross I and II was purple and flower color of selfing plant in cross I and II was white. Purple flower is dominant trait. Fl hybridity was successfully detected at very early growth stage using RAPD marker. Therefore, RAPD marker can be used broadly to confirm Fl hybridity in many crops.

  • PDF

새로운 선발 마커 D-아미노산 산화효소 유전자를 이용한 식물 형질전환 (D-amino Acid Oxidase (DAO) Gene as a Novel Selection Marker for Plant Transformation)

  • 임선형;우희종;이시명;진용문;조현석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4권1호
    • /
    • pp.31-36
    • /
    • 2007
  • Though higher plants car not metabolize D-amino acid, many prokaryotes and eukaryotes have the D-amino acid metabolism. Therefore, we transformed tobacco plants with D-amino acid oxidase (DAO), which can metabolize D-amino acid, and confirmed that transgenic tobacco plants might metabolize D-amino acid. Transgenic tobacco plants were survived a high concentration of D-serine, however non-transgenic plants were not grown on D-serine medium. From Southern and Northern blot analysis, transgenic tobacco plants selected on D-serine medium were confirmed by insert and expression of transgene. $T_{1}$ tobacco seeds derived $T_{0}$ tobacco plants selfing were grown on D-serine medium and showed normal phenotype compared to wild tobacco plants. Transgenic tobacco plants displayed the metabolic capability of D-serine. Therefore, we suggested that DAO is useful selectable marker gene for plant transformation.

Antisense Polygalacturonase 유전자 형질전환 토마토의 후대 발현 분석 (Inheritance and Expression of Antisense Polygalacturonase Gene in Transgenic Tomato)

  • 김영미;한장호;김용환;이성곤;황영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1-134
    • /
    • 1998
  • Antisense PG 유전자 형질전판 토마토로부터 자식시켜 얻은 종자를 kanamycin 내성을 이용하여 5세대까지 분리, 육성하여 antisense PG 유전자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식물체를 얻었다. 이들 식물체에는 genomic DNA gel blot 분석으로 antisense PG 유전자가 안정적으로 유전되며 northern blot 분석을 통하여 antisense RNA가 발현됨을 확인하였고, 또한 antisense RNA에 의한 endogenous PG 유전자의 발현 저해를 분석하였다. Antisense PG 유전자 형질전환 성숙 토마토내 PG 효소 활성이 비형질전환 성숙 토마토에 비하여 37-65% 수준으로 저하되었다.

  • PDF

Petunia에 도입된 bar Gene의 세대진전에 따른 발현 양상 (Expression in Successive Generations of bar Gene Introduced in Petunia)

  • 하영민;박상미;김주현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4호
    • /
    • pp.261-266
    • /
    • 2004
  • Agrobacterium을 이용하여 도입된 유전자의 세대진전, 교잡 등에 따른 유전적 안정성을 확인코자, 형질 전환으로부터 얻어진 bar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 식물체들을 상호 교배, 여교배, T$_4$ 세대까지의 자식의 반복 등에 의해 유전적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조합이나 계통에 따라서는 일부 멘델식 분리를 따르지 않고 제초제 Basta에 대한 저항성이 사라지거나 저항성개체보다 감수성개체가 기대치보다 많은 등의 경우가 있었으나, 대부분 멘델식 분리를 따르고 있어 세대진전, 교배 등에 의해서도 유전적 안정성이 높게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백산국립공원 아고산지역 모데미풀 (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Ranunculaceae)의 교배체제와 개화특성 (Mating Systems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of 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in a Subalpine Zone of Sobaeksan National Park)

  • 이학봉;이혜선;강혜순
    • 생태와환경
    • /
    • 제50권1호
    • /
    • pp.116-125
    • /
    • 2017
  • 극한 기후에서 수분매개자가 부족한 고산식물은 번식보장을 위해 자가수정을 겪는 것으로 믿어졌다; 그러나 반대되는 증거도 있다. 고산지역에서 융설체제는 고산식물의 개화시기와 개화기간 같은 생활사 특성을 변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국내의 고산식물에 대한 융설체제 효과는 검정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소백산 정상부의 아고산식물인 모데미풀의 자웅이숙성, 교배체제, 두 개체군[이른 융설 구역과 늦은 융설 구역(각기 ESP와 LSP)]의 개화특성을 조사하였다. 모데미풀은 암술과 수술의 성숙시기가 부분적으로 겹치는 불완전 자예선숙성을 나타냈다. 교배실험의 결과 대조구와 인공타가수분 처리구가 자율 및 인공자가수분 처리구보다 꽃당 골돌 및 종자를 유의하게 더 많이 생산하였다. 취과성숙률에 근거한 자율자가 수정지수(AI)와 자가화합성지수(SI)는 각기 0.33, 0.50이었다. ESP의 융설이 LSP보다 10일 빨랐고 이에 따라 ESP와 LSP의 개화수명과 계화계절이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나 두 개체군의 개화절정일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소백산 아고산지역 모데미풀은 수분매개자 서비스를 통해 거의 타가수정으로 번식하는 조건부타가수정 식물이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융설 시점(이른 vs. 늦은)과 후속적인 개화특성의 변동은 이미 희귀식물인 모데미풀을 더욱 위협할 가능성이 있다.

벼 일품벼/모로베레칸 조합의 이입계통을 이용한 내건성 유전자 탐지 (Mapping QTLs for drought tolerance using an introgression line population from a cross between Ilpumbyeo and Moroberekan in rice)

  • 강주원;구홍광;양바오로;안상낙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2호
    • /
    • pp.199-204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ap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related to drought stress tolerance. An introgression line population derived from a cross, "Ilpum" / "Moroberekan" was used in this study. $F_1$ plants were backcrossed three times to Ilpum to produce $BC_3F_1$ plants. These plants were advanced by selfing for four generation and a total of 117 $BC_3F_5$ introgression lines were developed. These lines were evaluated for percent seed set and spikelets per panicle under the control (field) and drought condition. To identify QTLs related to drought tolerance, 134 SSR markers showing polymorph isms between the parents were genotyped for the 117 $BC_3F_5$ lines. A total of 6 QTLs associated with drought stress were detected on chromosomes 1, 3, 4, 7 and 10. These include two QTLs for phenotypic acceptability, two QTLs for percent seed set ($R^2$ = 19.0 - 20.9%), and two QTLs for spikelets per panicle ($R^2$ = 22.3 - 23.10%). The Moroberekan alleles at three loci contributed the positive effect for drought tolerance. The SSR markers linked to drought stress tolerance can not only facilitate the selection of valuable genes from Moroberekan, but also allow identification of lines with drought tolerance.

Floral Biology and Flowering Phenology of Jatropha Curcas

  • Singh, Amritpal S.;Patel, Mukesh P.;Patel, Tanmay K.;Delvadia, D.R.;Patel, Diwaker R.;Kumar, Nitish;Naraynan, Subhash;Fougat, Ranbir S.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6권2호
    • /
    • pp.95-102
    • /
    • 2010
  • Jatropha curcas is an oil bearing species with multiple uses and considerable economic potential as a biofuel plant. Plant flowering and breeding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for us to understand the reproduction of plant populations. The present study describes the floral biology and flowering phenology of J. curcas which is a prerequisite for hybridization program for genetic improvement through conventional breeding. The plant produces flowers in dichasial inflorescences. Normally, the flowers are unisexual, and male and female flowers are produced in the same inflorescence. Only a few male flowers are produced in an inflorescence, and fruits are produced only through pollination between different flowers from the same or different plants. This study includes a description of the inflorescence, flower anatomy of both male and female flowers, female : male ratio, pollen : ovule ratio, flowering phenology, pollen viability, stigma receptivity, comparison of selfing methods and a comparison of geitonogamy and xenogamy. This information may be useful in J. curcas breeding programmes.

배유 특이 프로모터에 의해 유도된 GUS 유전자의 형질전환 담배 내에서의 발현 및 유전 양상 (Expression and Inheritance Patterns of Gus Gene Driven by an Endosperm-Specific Promoter in Transgenic Tobacco)

  • 박영두;김형석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5호
    • /
    • pp.594-598
    • /
    • 2000
  • 본 실험은 형질전환 담배내에서의 배유 특이 promoter에 의한 gus 유전자의 조직 특이적 발현 여부와 전이유전자의 후대로의 유전 양상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배유 특이 promoter에 의해 유도되는 gus 유전자(Z4pro-gus)와 kanamycin 저항성유전자를 운반하는 BV3 construct를 A. tumerfaciens을 이용하여 담배 형질전환체를 유기시켰다. 형질전환체 중에서 8개체를 선발하여 nptII primer를 이용하여 PCR을 실시한 결과 8개체 모두에서 700bp의 PCR 산물을 얻을 수 있었다. Promoter에 따른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Z4pro-gus가 전이된 형질전환체의 잎과 CaMV35S와 gus 유전자(35Spro-gus)로 구성된 pBI121 construct를 전이시킨 형질전환체의 잎으로부터의 발색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Z4pro-gus가 전이된 형질전환체의 경우 잎에서 매우 부분적으로 극소량 발색되었으나 35Spro-gus가 전이된 형질전환체의 잎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발색정도를 보여 promoter에 따른 발현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보다 명확한 Z4 promoter의 조직 특이 발현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Z4pro-gus로 형질전환시킨 $T_0$ 식물체를 자가수분하여 얻은 $R_1$ 종자와 35Spro-gus를 형질전환시켜 같은 방법으로 얻은 $R_1$ 종자를 histochemical assay하였다. 그 결과 35Spro-gus로 형질전환된 담배 종자는 절단면 전체에서 gus 유전자가 발현되어 배유뿐만 아니라 종자 내 다른 조직에서도 발색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나 Z4pro-gus를 형질전환 시켜 얻은 종자의 경우는 배유 부분만이 조직 특이적으로 파랗게 발색되었고 배 또는 그 이외의 조직에서는 gus 발색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Kanamycin 저항성검정을 실시한 결과 모든 계통에서 전이유전자가 후대로 안정적으로 전이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방사선 처리에 의한 유채의 생육 및 감수성 조사 (Radio-sensitivity Analysis and Selection of Useful Mutants of Rape (Brassica napus L.) by Gamma Irradiation)

  • 고은정;김욱진;김진백;김동섭;김상훈;강시용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77-283
    • /
    • 2010
  • Rape (Brassica napus L.) plants are one of the major oilseed crops. The main components of rapeseed are oil (35 to 47%) and protein (15 to 32%). For the biodiesel production, the development of a new variety of rape plant with high biomass and/or oleic acid contents is required.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um dose of gamma-ray irradiation, the rape seeds of cvs. Hanra (Hr), Youngsan (Ys), Tammi (Tm), and Tamra (Tr) were irradiated with a 100~4,000 Gy dose range of gamma-rays. Considering the growth factors, the optimum doses were determined to be within the range of 600~1,000 Gy for the selection of useful mutant lines. Six-hundred and eighty-eight (688) $M_2$ mutant lines were obtained from 600~1,000 Gy gamma-ray-irradiated $M_1$ plants through selfing. The growth characteristics, leaf shape, early flowering, and flower color were all investigated. The selected mutant numbers of early flowering, leaf shape, and flower color were 34, 52, and 3 from the four cultivars, respectively. These mutant lines will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variety of rape plant with high biomass and oleic acid contents.

중국도입 배추 소포자배양에 의한 배가반수체의 종자생산능력 (Seed Production Ability of Doubled Haploid Plants through Microspore Culture in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L. ssp. pekinensis) Introduced from China)

  • 조만현;함인기;박민영;김태일;임용표;이은모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5호
    • /
    • pp.573-578
    • /
    • 2012
  • 새로운 육종소재를 개발하고 신품종 육성에 이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얻고자, 중국도입 배추 11종의 소포자를 배양하여 식물체를 생산하였으며, 획득개체의 종자생산능력을 조사하였다. 화뢰당 획득 소포자유래배는 1.6-35.4개이었으며, 11품종 중 IT26110과 IT 26153만이 화뢰당 34개 이상의 소포자유래배를 얻을 수 있었다. 저온처리 후까지 생존한 식물체비율은 획득 소포자유래배 대비 0.2-11.7%로 낮았으며, 이들 식물체 중 임성개체 비율은 7.7-58.8%이었으나 IT26118, IT26122, IT26128, IT26130, 그리고 IT26164는 50% 이상이었다. 이들을 자식하여 종자생산능력을 조사한 결과 IT26128은 장각과당 11.9개의 채종하였으나 나머지 품종들은 10개 미만이었다. 이와 같이 유전적 기원이 다른 모본을 이용한 소포자배양을 할 때 배상체 획득수나, 소포자유래배에서 유도된 식물체수 및 임성개체 비율, 그리고 정립생산능력이 획득된 배가반수체 계통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