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ling development

검색결과 580건 처리시간 0.024초

친환경 육묘시 세 가지 박과채소의 흰가루병에 대한 친환경 제제의 방제효과 (Evaluation of Environment-friendly Control Agents for the Management of Powdery Mildew Infection during Seedling Stage of Three Cucurbitaceae Vegetables)

  • 여경환;장윤아;김수;엄영철;이상규;이한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13-420
    • /
    • 2013
  • 본 실험은 박과류(오이, 참외, 멜론)를 공시작물로 하여 친환경 육묘시 친환경 제제와 시용조건에 따른 흰가루병의 방제효과를 구명하고 기존 등록된 농약과 대조하여 그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친환경제제는 유효미생물로서 Ampelomyces quisqualis 94013(AQ94013)과 Bacillus subtilis Y1336(BS Y1336), 식물추출물로서 님오일(Neem oil)과 대황(Rheum undulatum)추출물, 미네랄 제제는 황수화제와 석회보르도액(Lime Bordeaux mixture)을 단용 또는 혼용처리하여 병 발생시기(발생전, 초기, 중기)에 따라 처리하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시설내 일 평균온도 $30^{\circ}C$ 이상, 하루 중 최고기온이 $40^{\circ}C$ 이상의 조건이 일주일 이상 지속되는 기간 동안 유묘의 흰가루병의 발병도는 감소하였고, 대조구인 무처리구에서의 발병도도 크게 감소되어 10% 미만으로 나타났다. 발생 전처리시 방제효과는 모든 작물에서 황수화제가 가장 높았고, BS Y1336는 방제가가 20~40%로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오이의 경우 발생전 처리시 님오일과 황수화제 처리는 살균제보다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으며, 멜론에서는 농약과 비슷한 방제가를 보였다. 대황추출물은 전 생육기간 동안 미생물제제보다 높은 방제가를 나타내었고, 오이와 멜론작물에서 발생초기 처리시 효과가 우수하였다. 물살포구는 무처리구와 비슷한 발병도를 보여 방제효과가 없었고, 참외와 멜론에서 물살포 처리는 무처리보다 더 높은 발병도를 보였다. 병발생후 친환경제제 처리시 방제효과는 처리하는 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다. 친환경제제의 혼용처리에 의한 방제효과를 조사하였을 때, 대황추출물(1주차) + 황수화제(2주차) + 님오일(3주차)의 조합으로 한 가지의 친환경제제를 주당 1회씩 총 3주 동안 혼용처리 했을 때, 전 육묘기간 동안 오이에서는 90% 이상, 모든 작물에서 평균 80% 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내어 다른 조합의 처리에 비해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본 실험결과를 통해 박과채소의 친환경 육묘시 흰가루병에 대한 친환경제제의 방제효과는 단용처리 했을 때, 병발생 전후 처리에 상관없이 모든 작물에서 황수화제 처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혼용처리시에는 대황추출물(1주차) + 황수화제(2주차) + 님오일(3주차)의 조합이 가장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벼 상자육묘에서 규산코팅볍씨의 건묘육성과 벼키다리병 경감효과 (Effect of Silicate-Coated Rice Seed on Healthy Seedling Development and Bakanae Disease Reduction when Raising Rice in Seed Boxes)

  • 강양순;김완중;노재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1-8
    • /
    • 2017
  • 벼 직파재배에서 새 피해, 발아 및 입모불량 그리고 도복피해 등 기술보급저해요인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규산 코팅볍씨의 이앙용 상자육묘에서 건묘육성과 벼키다리병 발병 경감을 구명하기 위하여 호기조건인 상자육묘조건과 혐기조건인 Pot이앙조건으로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코팅볍씨에서 묘의 출현은 무코팅볍씨에서 보다 2-3일 빨랐고 입고병과 벼키다리병 발생이 현저히 경감되었다. 2. 파종후 45일 생체중은 건전묘에서 11%, 이병묘에서 2.01배로 규산코팅볍씨의 건묘 육성효과가 뚜렷하였다. 3. 육묘 중 파종후 80일까지 벼키다리병 발생은 무코팅볍씨 91.6%에 비하여 7.8%로 현저하게 경감되었다. 4. 최대발병률을 보인 파종 후 45일에 이앙된 코팅볍씨에서 무코팅볍씨에 비하여 건전묘의 추가발병이 거의 없었고 이병묘의 정상생육 회복도 가능하였다. 5. 코팅볍씨에서 육묘된 토양과 식물체의 뿌리와 엽초기부조직에서 활동성 소형포자와 대형포자의 분포가 무코팅에서보다 현저하게 줄었다. 특히 코팅볍씨의 육묘토양과 이병묘/건전묘에서는 무코팅볍씨에서 나타난 전형적인 대형포자(3-7개의 격막과 양끝이 낫처럼 굽은)와는 다른 격막이 없고 두터운 세포벽을 갖는 장방형 미성숙 대형포자 출현이 발병 경감원인으로 주목되었다. 6.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코팅볍씨의 육묘 중 벼키다리병 발병경감과 이앙 후 이병묘의 정상생육 회복 그리고 건전묘의 이병화경감은 강알칼리성 수용성 규산과 다공성 지오라이트 그리고 종피 잠복 병원균 간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건전묘의 균에 대한 저항성에 기인되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조경용 억새의 대량번식을 위한 플러그묘와 삽목번식법 (Seedling Plug and Cutting Method for Multi-propagation of Ornamental Miscanthus Spp.)

  • 황경식;주송탁;하수성;김기동;주영규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7권3호
    • /
    • pp.275-282
    • /
    • 2018
  • 억새(Miscanthus spp.)는 경관성이 우수하고 환경친화적이며 저관리가 가능한 종 들로 알려져 있다. 플러그묘를 통한 대량번식을 위해 4가지 품종의 억새(M. sinensis 'Andersson', 'Strictus', 'Gracillimus', 'Variegatus')와 삽목번식을 위한 3가지 품종의 억새(M. sinensis 'Gracillimus', M. xgiganteus, M. sacchariflorus)를 예비실험을 통해 선발하여 플러그 형성, 정식 후의 생육, 그리고 삽목 활착률 실험을 2015-2016년에 온실과 실험포장에서 실시하였다. 2가지 관수방법과 3가지 플러그 셀 크기로 종자로부터 플러그묘 형성과정 실험에서는 매트를 이용한 저면관수와 작은 크기의 플러그 셀이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삽목실험에서 삽수채취 시기, 마디 부위, 삽수의 직경이 활착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억새 공시 3종 모두 하부 마디에서 채취한 삽수가 높은 활착율을 보였으며 삽수 채취 시기는 화서가 발생 하기 전 그리고 목질화가 진행되어 삽수의 직경이 작은 하부마디가 높은 활착율을 보였다. 생존율의 차이가 뚜렷한 M. xgiganteus는 삽수채취 시기와 삽수 부위 및 삽수 직경에 따른 삽목의 성공여부(생존 혹은 고사)는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모델(dichotomous logistic regression model)을 이용하여 분석 판정하였다. 그 결과 삽목 시기는 7월이 6월에 비하여 1.64배 정도 활착 성공률이 높았으며, 삽수 채취 마디부위는 1번째 마디를 기준으로 승산비(성공율/실패율)는 3번째 마디와 5번째 마디는 0.12와 0.02로, 각각 8배와 50배의 활착 실패율을 보였다. 즉 늦게 발달한 상대적으로 굵은 신생 줄기 마디는 목질화가 진행된 묵은 마디에 비해 직경은 크지만 생존율은 낮아졌다. 따라서 억새속 삽목번식은 화서가 분화되기 시작하는 9월 이전에 아래쪽 묵은 마디로 삽수로 사용하여 대량 번식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강원지역(江原地域) 지대별(地帶別) 논잡초(雜草) 분포(分布) (Weed Flora Changes in Lowland Rice Field in Gangweon Province)

  • 김기식;김재록;고종한;사종구;장진선;김두열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58-264
    • /
    • 1994
  • 본 조사연구(調査硏究)는 1992년도(年度) 기상조건(氣象條件)이 서로 다른 강원도(江原道) 지방(地方) 15개군(個郡)의 농가포장(農家圃場) 잡초무방제답(雜草無防除畓)에서 지대별(地帶別)로는 표고(標高) 100m 이하(以下)인 평야지(平野地), 표고(標高) 101-400m인 중산간지(中山間地), 표고(標高) 401-600m인 산간고랭지(山間高冷地), 표고(標高) 100m 이하(以下)인 동해안지(東海岸地) 등(等) 4개지대(地帶)와 답유형별(畓類型別)로는 보통답(普通畓), 습답(濕畓), 사질답(砂質畓)과 재배양식별(栽培樣式別)로는 손 이앙(移秧), 재배이앙(栽培移秧), 중묘(中苗), 어린모 건답직파(乾畓直播) 등(等) 59개소(個所)에서 논 잡초(雜草)의 발생상태(發生狀態), 발생(發生) 변천(變遷) 및 시기(時期)를 조사(調査)하여 연대별 잡초(雜草) 변이(變異)에 따른 잡초방제(雜草防除) 체계(體系)를 구명하고자 조사(調査)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대별(地帶別) 논 잡초(雜草)의 분포(分布)는 평야지(平野地)와 동해안지(東海岸地)는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가, 중산간지(中山間地)와 산간고랭지(山間高冷地)에서는 일년생(一年生) 잡초(雜草)의 발생(發生)이 많았다. 화본과(禾本科)는 평야지(平野地)와 산간(山間) 고랭지(高冷地)에서, 광엽잡초(廣葉雜草)는 중산간지(中山間地)와 동해안지(東海岸地)에서 피복도(被覆度) 비율(比率)이 높았다. (2) 지대별(地帶別) 우점잡초(優點雜草)로서는 평야지(平野地)는 나도겨풀 등(等) 4과(科) 5종(種), 동해안지(東海岸地)는 올미 등(等) 4과(科) 5종(種), 중산간지(中山間地)와 산간고랭지(山間高冷地)는 피 등(等) 3과(科) 5종(種)이었다. (3) 연대별(年代別) 우점도(優點度)는 1971년대(年代)에는 1년생(年生) 잡초(雜草)가, 1981년대(年代)와 1991년대(年代)에서는 다년생(多年生) 잡초(雜草)의 발생량(發生量)이 절대적(絶對的)으로 많았지만 대체적으로 광엽잡초(廣葉雜草)가 주종(主種)을 이루었다. (4) 논 유형별(類型別)로는 보통답(普通畓)과 사질답(砂質畓)에서는 다년생(多年生) 잡초(雜草), 습답(濕畓)에서는 일년생(一年生) 잡초(雜草)의 피복도(被覆度) 비율(比率)이 높았고 보통답(普通畓)에서는 광엽잡초(廣葉雜草), 습답(濕畓)과 사질답(砂質畓)에서는 화본과(禾本科) 잡초가 주종(主種)을 이루고 있었다. (5) 재배양식별(栽培樣式別)로는 손 이앙답(移秧畓)과 중묘(中苗) 기계이앙답(機械移秧畓)에서는 다년생(多年生) 잡초(雜草), 어린모 기계이앙답(機械移秧畓)과 건답직파(乾畓直播)에서는 일년생(一年生) 잡초(雜草)의 비율(比率)이 높았고, 손 이앙(移秧)과 기계이앙답(機械移秧畓)에서는 광엽잡초(廣葉雜草), 건답직파(乾畓直播)에서는 화본과(禾本科)가 많이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경운시기별(耕耘時期別)로는 춘경(春耕)에서는 일년생(一年生) 잡초(雜草), 추경(秋耕)에서는 다년생(多年生) 잡초(雜草)의 발생(發生)이 각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중부 평야지에서 고품질 중생종 벼 '하이아미'의 재식밀도에 따른 수수 변화와 수량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anicle Production and Yielding Traits Influenced by Transplanting Density in Mid-Maturing Quality Rice 'Haiami' in the Mid-Plain Area of Korea)

  • 양운호;강신구;박정화;김숙진;최종서;윤영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193-202
    • /
    • 2017
  • 중부 평야지에서 최고품질 중생종 벼 '하이아미'의 밀식에 의한 수수 증가 효과와 그에 따른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성 변화의 관계를 분석하고, 완전미 수량에 대한 수량 관련요소의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수원 벼 재배시험 포장에서 2014~2015년 수행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단위 면적당 경수는 재식거리가 좁고 주당본수가 많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벼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그 차이는 적어졌으나 이러한 경향은 수확기 수수까지 유지되었다. 2. 완전미 수량은 재식거리에 따라 2014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2015년에는 $30{\times}18cm$에서만 감소하였으며, 두 해 모두 주당본수가 적을수록 높았다. 3. 단위 면적당 포기수와 주당본수 증가에 의하여 $m^2$당 수수는 많아졌으나, 밀식에 의한 수수 증가가 완전미 수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단위 면적당 수수는 수당영화수와만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고, 다른 수량구성요소 및 완전미 수량과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5. 재식거리와 주당본수 조절에 의한 완전미 수량의 변화는 완전미 비율과는 관계가 없었고 쌀수량과 직선적인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쌀수량은 $m^2$당 영화수 증가에 따라 향상되었는데, $m^2$당 영화수는 $m^2$당 수수보다 수당영화수 증가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나 이들 두 요소가 함께 영향을 미쳤다. 6. 결론적으로 중부 평야지에서 하이아미를 보통기 보비 재배하는 경우, 완전미 수량은 밀식에 의한 수수 증가로 향상되지 않으며, $m^2$당 수수와 수당영화수의 적절한 조합에 의하여 $m^2$당 영화수를 증가시켜 쌀수량을 증대시킴으로써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난황유와 공기순환팬의 상추 흰가루병 방제효과 및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Y (Cooking Oil and Yolk mixture) and ACF (Air-circulation Fan) on Control of Powdery Mildew and Production of Organic Lettuce)

  • 지형진;류경열;박종호;최두회;류갑희;류재기;신순선
    • 식물병연구
    • /
    • 제14권1호
    • /
    • pp.51-56
    • /
    • 2008
  • Podosphaera fusca에 의한 상추 흰가루병은 최근에 보고된 새로운 병해이나 심하게 발생될 경우에는 수량을 50% 이상 감소시켜 유기농 상추재배에 큰 위협요인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닐하우스 내부에 소형의 공기순환팬을 6 m 간격으로 설치하여 상추 주변의 기상환경을 개선한 결과 수량 57% 증가와 정식묘 고사율 71.4% 감소 효과를 얻었다. 공기순환팬을 설치한 하우스에서 식용유를 계란노른자로 유화시킨 난황유 0.3% 용액을 처리한 경우에는 농가 관행재배 하우스에 비해 묘 고사율은 $89.3{\sim}92.9%$ 감소되었고 상추 흰가루병 방제효과는 89.6-96.3%로 매우 높게 나타나 살균제(azoxystrobin)와 대등하였다. 난황유 처리구별로 상추 수량은 $23.3{\sim}26.5\;kg$으로 대조 하우스의 11.86 kg과 비교할 때 약 2배 정도 높았고 상추 잎의 경도는 다소 낮고 엽록소 함량은 높아지는 등 상추 품질을 개선하는 효과도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볼 때 채종유를 계란노른자로 유화시켜 만든 난황유는 상추 흰가루병 방제효과가 매우 높고 유기농 상추 생산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데 공기순환팬을 설치하여 재배환경을 개선하면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심합성계획법에 의한 남부 조생벼 재배요인의 최적조건 구명 (Optimization of Cultivational Conditions of Rice(Oryza sativa L.) by a Central Composite Design Applied to an Early Cultivar in Southern Region)

  • 손길만;김정교;최진용;이유식;박중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0-73
    • /
    • 1989
  • 수도재배에 있어서 수량은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난 반응의 산물이다. 수도의 적정재배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지금까지는 제한된 요인 및 수준에서 시험연구가 수행되어 왔는데, 처리요인수 및 각 요인당 처리수준이 증가될 경우 전체 처리수의 급증으로 시험수행이 어렵게 된다. 본 연구는 이를 극복하고자 조생량 벼 품종 '운봉벼'의 재식주수, 주당본수, 질소시비량, 이앙일, 육묘일수 등 5가지 계량적 재배요인의 최적조건을 구명하기 위한 시험을 수행하고 수량을 Box와 Wilson의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분석하였으며(시험 1), 같은 품종을 공시하여 실험 1과 같은 요인을 Finney의 부분실시법(FFD)과 비교함으로써(시험 2) CCD의 농사시험연구에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 재배조건에 따른 수량반응 수량은 5요인중 4요인의 수준을 중심수준에서 통제하였을 때 각 요인별 최대수량은 중심수준(재식주수, 90수/3.3$m^2$ ; 주당본수, 5본 ; N시비량, 11kg/10a ; 이앙일, 6월 25일 ; 육묘일수, 35일) 부근이었고 각 요인이 양극단수준으로 갈수록 감수하였으며 5요인중 3요인을 중심수준에서 통제하고 난 뒤에 2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수량은 가 수준의 중심부에서 최고치를 보였다. 전체 5개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나타난 수량의 정상점은 안부점이었다. 2. 두 계획법의 비교 가. CCD에서 수량에 대한 각각의 정상점에서의 재배조건은, 재식주수 107주/3.3$m^2$, 주당본수 4본, 질소시비량 10kg/10a, 이앙일 6월 26일, 육묘일수 33일이었고, 정상점에서의 수량은 439kg/10a으로서 FFD에서의 그것들과 비슷하였다. 나. CCD에 의하면 요인수와 수준수가 많아도 처리조합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었고, 실험재료의 절적, 작업시간의 단축 및 작업의 간편화를 가져왔다. 다. CCD(각 요인별 5수준)는 FFD(각 3수준)에 비하여 수준수가 많았지만 결과를 도해화하기에 편리하였다. 라. 양 계획법에 있어서 수량의 정상점이 안부점인 것으로 보아 요인의 설정시 각 요인 상호간의 이질성을 고려해야 하며, 처리요인의 지나친 증가도 억제되어야 할 것이다. 마. CCD는 극한수준($\pm$2, $\pm$2, $\pm$2, $\pm$2, $\pm$2)의 처리가 없기 때문에 각 요인의 극한수준의 실험영역에 대해서는 적은 정보를 얻었으나. FFD보다는 많은 유익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었다. 따라서, CCD는 획기적으로 처리수를 줄였어도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아, 농사시험연구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계획적으로 확인되었다.적으로 확인되었다.

  • PDF

Novel Approaches to Clubroot Management in Western Canada

  • Hwang, Sheau-Fang;Strelkov, Stephen E.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 /
    • pp.49-49
    • /
    • 2015
  • Over the past decade, clubroot has emerged as a major constraint to canola (Brassica napus) production in central Alberta, Canada. The number of fields with confirmed P. brassicae infestations in Alberta has increased steadily from 12 in 2003 to nearly 2,000 in 2014. Management of clubroot on canola has focused on sanitization of field equipment, soil amendments to reduce viable pathogen populations, long rotations out of susceptible crops and cropping of resistant cultivars. Clubroot resistance is the most effective and economical method of disease mitigation, but the recent identification of isolated P. brassicae populations with novel virulence phenotypes capable of overcoming resistance in most canola cultivars highlights the variable nature and adaptability of the pathogen. Recent studies have shown slight reductions in pathogen populations through crop rotations, but much more substantial reductions in spore populations in heavily infested areas near field entrances using fumigants such as Vapam (metam-sodium) or Basamid (dazomet). Greenhouse trials showed that seedling emergence, plant height and root weight increased, while primary and secondary infection and disease severity decreased with increased Basamid dosage. However, field trials showed some phytotoxicity. Application of Vapam at rates of 0.4 to $1.6mL\;L^{-1}$ soil resulted in 12-16 fold reductions in clubroot severity and primary and secondary infection. Vapam also was effective in reducing clubroot severity and improving canola seed yield under field conditions. These studies underscore the need for good resistance stewardship and for the integration of multiple products and practices for successful management of clubroot on canola.

  • PDF

Misexpression of AtTX12 encoding a Toll/interleukin-1 receptor domain induces growth defects and expression of defense-related genes partially independently of EDS1 in Arabidopsis

  • Song, Sang-Kee
    • BMB Reports
    • /
    • 제49권12호
    • /
    • pp.693-698
    • /
    • 2016
  • In this study, a tissue-specific GAL4/UAS activation tagging system was used for the characterization of genes which could induce lethality when ubiquitously expressed. A dominant mutant exhibiting stunted growth was isolated and named defective root development 1-D (drd1-D). The T-DNA tag was located within the promoter region of AtTX12, which is predicted to encode a truncated nucleotide-binding leucine-rich repeat (NLR) protein, containing a Toll/interleukin-1 receptor (TIR) domain. The transcript levels of AtTX12 and defense-related genes were elevated in drd1-D, and the misexpression of AtTX12 recapitulated the drd1-D phenotypes. In the presence of ENHANCED DISEASE SUSCEPTIBILITY 1 (EDS1), a key transducer of signals triggered by TIR-type NLRs, a low-level of AtTX12 misexpression induced strong defective phenotypes including seedling lethality whereas, in the absence of EDS1, a high-level of AtTX12 misexpression induced weak growth defects like dwarfism, suggesting that AtTX12 might function mainly in an EDS1-dependent and partially in an EDS1-independent manner.

Biocontrol of gray mold of cucumber and tomato by epihpytic bacteria in field condition

  • Lee, Sang-Yeob;Lee, Sang-Bum;Kim, Il-Yon;Kim, Yong-Ki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04.2-105
    • /
    • 2003
  • Bacterial isolates, CC178, PTC25, HC39 and KY165 originally obtained from the leaves of cucumber or tomato were selected for biocontrol agents against gray mold of cucumber and tomato by in vivo cucumber seedling assay. Each suspension of the selected epiphytic bacteria were sprayed three times at seven-day interval from early stage of cucumber in a field. Incidence of gray mold on cucumber fruits treated with isolates CC178, PTC25, HC39 and KY165 was 15.3%, 18.2%, 23.6%, and 10.4%, respectively, whereas that of control was 38.0% after 7 days of final spray. On the other hand, treatment with the selected isolates, CC178, PTC25, HC39, and KY165 on tomato showed 2.2%, 1.3%, 2.9%, and 3.5% in the incidence of gray mold on leaves, whereas that of control was 9.3%. All selected isolates had strong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Botrytis cinerea on dual culture plate assa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