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eed component

Search Result 259,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Influences of Different Planting Times on Harvest Index and Yield Determination Factors in Soybean

  • Park, Sei-Joon;Kim, Wook-Han;Seong, Rak-Ch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97-102
    • /
    • 2000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harvest index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arvest index and yield determination factors by different planting times in the determinate soybean cultivars, Shinpaldal and Danbaeg. Optimum planting were 23 May in 1995 and 1996. Late planting were 13 June in 1995 and 6 June in 1996. Growth period from planting to physiological maturity (R7) was shortened as planting time was delayed in two cultivars due to shortening of reproductive growth period in Shinpaldal, and of vegetative growth period in Danbaeg. Stem weight was distinctly decreased in late planting compared to optimum planting, but seed weight of both cultivars was not different between planting times. Also, seed number per pod and harvest index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late planting and the high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wo factors. It was suggested that increase of harvest index in late planting would be related with high assimilate use efficiency due to increase of sink capacity.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yield determination factors showed that main factor on yield determination was pod number per plant at R5 stage associated with dry matter accumulation during early reproductive growth period, seed number per pod and harvest index were the second factor, and one hundred seed weight was the third factor.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indicated that yield determination in soy-bean was dependent mainly on pod number per plant related to dry matter accumulation by early reproductive growth period, and the increase of seed number per pod and harvest index could compensate for yield decrease by shortening of vegetative growth period in late planting. Such result suggests that optimum planting date can be delayed from mid May to early June in improved soybean cultivars in Korea.

  • PDF

아마인유와 해바라기 종자유의 혼합급이가 식이성 고지혈증 흰쥐의 간장 지질성분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the Mixture of Lineseed and Sunflower Seed Oil on the Lipid Compon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Liver in Dietary Hyperlipidemic Rats)

  • 최운정;김한수;김성희;이호신;서인숙;정승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98-204
    • /
    • 199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feeding mixture of linesed oil, rich in n-3 PUFA and the sunflower seed oil, rich in n-6 PUFA on the lipid metabolism in the dietary hypprlidemic rats. After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induced hyperlipidemia by feeding the diet containing lard, butter, and cholesterol for 3 weeks, then they were fed with the diet containing lard 3.0% and butter 12.0% for control, the mixture in different proportion of both linseed oil and sunflower seed oil, and antihyperlipidemic durgs for 2 weeks. Analysis of the lipid component and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liver showed following results. Concentration s of the total cholesterol and phospholipid in live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2 (olive oil 12.0%) and lower in the other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lower in groups 3 (cholestyramine 2.0%) and 9 (sunflower seed oil 12.0%) . Concentration of triglyceride was lower in the other groups except group 4 (liparoid), especially lowe rin group 9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liver lipids, C18:2 was the major fatty acid. Contents of n-6 PUFA increased , while those of n-3 PUFA decreased in groups composition of the test lipids. From the data on concentration s of total cholesterol. Phospholipid and triglyceride in liver, we concluded that the feeding mixed with 3.0% lard and 12.0 % sunflower seed oil were most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the live lipids. The fatty acid composition in liver lipids were affected by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test lipids.

  • PDF

때죽나무 종자(種子)의 발아촉진(發芽促進) 및 종자내(種子內) 성분(成分)의 변화(變化) (Stimulation of Seed Germination and Variations in Seed Components of Styrax japonica)

  • 이창헌;서병수;박지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4호
    • /
    • pp.503-509
    • /
    • 1998
  • 최근 환경수로서 가치가 높아지고 있는 때죽나무에 대하여 몇 가지 전처리에 의한 종자 발아촉진과 실생묘의 생장상태, 그리고 시기별, 처리별 종자내 성분의 변화 과정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년 이상 노천매장을 해야만 발아가 되는 때죽나무 종자에 몇 가지 전처리를 하여 파종한 결과, $H_2SO_4$ 70% 용액에 30분간 침지 후 $GA_3$ 3,000ppm 처리하여 5개월간 층적처리한 시험구에서 55%의 발아율을 보여 당년 발아가 가능하였다. 2. 파종 후 160일 후에 발아된 치묘의 생장량을 조사한 결과 전처리에 의해 당년 발아된 묘목과 2년 발아된 묘목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3. 때죽나무의 1년 종자에 몇 가지 전처리를 한 후 종자내 성분을 분석한 결과 점차 함수량은 증가하고, 조지방과 탄수화물 및 조회분 등은 감소하여 파종 직전에는 2년 종자의 성분 비율과 유사해졌다.

  • PDF

식물성 압착오일의 흡착제에 따른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Vegetable Oil by Using Adsorbents)

  • 구희연;이기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57-62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생산 된 호박씨, 동백씨, 고추씨 그리고 땅콩에서 오일을 압착 추출하여 오일의 정제과정에서 사용되는 흡착제인 활성탄, 산성백토, 백도토를 사용해서, 흡착제 사용에 따른 항산화 활성과 지방산 및 활성성분의 조성을 비교분석했다. 각 오일의 성분 분석 및 흡착제에 따른 변화는 가스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GCMS)를 사용하여 분석했고 DPPH 라디컬 소거능과 ABTS 라디컬 소거능 측정을 통해 항산화 활성능력을 비교했다. 흡착제 처리 시, 실험에 사용된 4종의 국내산 식물성 오일에 포함 되어 있는 대부분의 지방산 및 항산화 능에 관여하는 화합물의 양이 감소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호박씨 오일은 세 종류의 흡착제가 linoleic acid과 erythrodiol 성분을 감소시켰으며, 동백씨 오일의 경우 지방산들이 대체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산성백토로 정제한 군에서는 vitamin E의 손실이 없었고, 고추씨 오일의 매운 성분에 관여되는 capsaicin 화합물은 산성백토로 정제 시 53.33% 감소되었고, 땅콩 오일의 경우 활성탄을 처리한 군에서 sitosterol 화합물의 손실이 가장 적은 것을 확인 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호박씨 오일(백도토>산성백토>활성탄), 동백씨 오일(산성백토>백도토>활성탄), 고추씨 오일(백도토>산성백토>활성탄) 그리고 땅콩 오일(활성탄>산성백토>백도토)순으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홍화씨의 식품학적 성분 분석 및 항균활성 (Analysis of Food Components of Carthamus Tinctorius L. Seed and its Antimicrobial Activity)

  • 유석영;이영준;강석남;이성갑;장중영;이효구;임정호;이옥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27-233
    • /
    • 2013
  • 본 연구는 홍화씨의 식품학적 성분 및 항균활성을 분석하였다. 홍화씨의 수분함량은 $5.58{\pm}0.09%$, 조단백질 $37.16{\pm}0.85%$, 조회분 $3.52{\pm}0.04%$, 조지방 $13.69{\pm}8.98%$, 탄수화물 40.05%이었다. 홍화씨의 총 아미노산은 391.99 mg%이고, 이중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122.97 mg%이었다. 홍화씨의 아미노산 중 alanine (75.43 mg%), arginine (37.93 mg%) 및 aspartic acid (33.24mg%)을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홍화씨의 주요 유리당은 fructose가 3.29%이었고, linoleic acid (C18:2)는 약 79.46%의 비율을 차지하여 홍화씨의 조지방 중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Oleic acid (C18:1)도 약 10.42%를 함유하여 불포화지방산의 함유량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홍화씨의 무기질 함량 측정 결과, K 및 Ca의 함량이 1,528 및 1,005 m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5.52{\pm}0.99$ mg GAE/g, $78.69{\pm}0.91$ mg QE/g으로 나타났다. 홍화씨의 항균활성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typhimurium, Escheria coli, Candida albicans,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 및 Clustridium perfringens 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에서 수집한 들깨, 차조기 작물과 잡초형 계통들의 형태적 변이 (Morphological Variation of Cultivated Types of Perilla Crop and Their Weedy Types in East and Southeast Asia)

  • 김진아;사규진;최승훈;이주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408-415
    • /
    • 2013
  • 본 연구는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에서 수집한 들깨, 차조기 그리고 이들 잡초형 계통들에 대하여 10개의 양적 및 질적 형질들을 이용하여 형태적 변이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분석에 이용된 형질들 중에서 종자크기와 종자경도는 재배형 들깨와 재배형 차조기 그리고 들깨의 재배형과 잡초형 계통들을 식별하는 유용한 형질로 밝혀졌으며, 반면에 재배형 및 잡초형 차조기의 계통들은 조사한 대부분의 형질들에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주성분분석 결과에서 분석에 이용된 10개의 형질들 중에서 꽃색(QL6), 엽표면색(QL3), 종자크기(QN2), 종자경도(QL1), 종자색(QL2), 줄기색(QL7), 엽이면색(QL4) 등은 1축 위에서 음의 방향에 기여하였고, 개화일수(QN1)와 잎모양(QL5), 모용빈도(QL8) 등은 1축 위에서 양의 방향에 기여하였다. 특히, 이들 형질들 중에서 꽃색(QL6), 엽표면색(QL3), 종자크기(QN2), 종자경도(QL1) 그리고 모용빈도(QL8) 등은 들깨 재배형와 차조기의 재배형 그리고 들깨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을 식별하는데 유용한 형질들이었다. 그러나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은 대부분의 형질들에서 명확하게 구분되지가 않았다. 아직까지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에서 들깨와 차조기의 야생종은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들깨와 차조기 작물의 잡초형 계통들은 재배형 들깨와 재배형 차조기 작물의 기원을 이해하는데 분류학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Characterization of Fennel Flavors by Solid Phase Trapping-Solvent Extraction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Shin, Yeon-Jae;Jung, Mi-Jin;Kim, Nam-Sun;Kim, Kun;Lee, Dong-S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12호
    • /
    • pp.2389-2395
    • /
    • 2007
  • Headspace solid phase trapping solvent extraction (HS-SPTE) and GC-MS was applied for the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flavors from fennel, anise seed, star-anise, dill seed, fennel bean, and Ricard aperitif liquor. Tenax was used for HS-SPTE adsorption material. Recoveries, precision, linear dynamic ranges, and the limit of detection in the analytical method were validated. There were some similarities and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fennel-like samples. The Korean and the Chinese fennels contained trans-anethole, (+)-limonene, anisealdehyde, methyl chavicol as major components. The volatile aroma components from star anise were characterised by rich trans-anethole, (+)-limonene, methyl chavicol, and anisaldehyde. Additionall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has been used for characterizing or classifying eight different fennel-like samples according to origin or other features. A quite different pattern of dill seed was found due to the presence of apiol (dill).

SOHO VPN 시스템에 특화된 암호가속카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of A Cryptographic Add-on Card Dedicated to SOHO VPN)

  • 이완복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87-92
    • /
    • 2005
  •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고비도의 정보보호를 달성하고자 하는 VPN 시스템에서는 암호 가속 성능이 관건이다. 그러나 암호 연산은 많은 계산량을 필요로 하고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었을 경우에는 그 성능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전용의 암호 가속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많이 사용되어지는 블록 암호 알고리즘인 DES, 3DES, AES, SEED가 실장된 암호 가속 칩을 이용하여 PCI 카드를 설계 제작한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제작한 암호가속카드는 상용 VPN 시스템에 실장된 후 그 성능이 평가되었다.

  • PDF

국내산과 국외산 참깨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Introduced and Domestic Sesame Seeds)

  • 강명화;류수노;방진기;강철환;김동휘;이봉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88-192
    • /
    • 2000
  •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the quality evaluation, the introduced or domestic sesame seeds were investigated to measure proximate components (crude protein, ash, mineral and oil) and isolated by preparative HPLC system for lignan contents. Although crude protein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Sudan sesame seeds, lipid, ash and mineral contents were not significantly(p<0.05) different between introduced and domestric sesame seeds. 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oleic and linoleic acids were the highest in the domestic sesame seeds. The Mg content of domestic sesame seeds also was larger than that of introduced sesame seeds. A Ca content of domestic sesame seeds, however,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that of China. Lignan content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known as antioxidant,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domestic sesame seeds than other sesame seeds tested. Our findings suggest that domestic sesame seed has the best quality in terms of the functional components.

  • PDF

목화(Gossypium hirsulum L.) 수량관련 형질의 잡종강세, 조합능력 및 유전성분분석 (Heterosis, Combining Ability Analysis, and Component of Genetic Variation for the Yield related Character in Cotton(Gossypium hirsulum L))

  • 박규환;김경민;곽태순;이화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8-176
    • /
    • 2007
  • 본 연구는 목화의 실용형질 향상으로 새로운 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육지면 5개 품종과 이들을 이면교잡 하여 얻은 $F_1$ 10개 조합을 재료로 주당 수량, 주당 삭수, 1삭 종자수, 종자장, 종자폭, 1삭 조면중 등 6개 형질에 대한 잡종강세, 조합 능력, 유전성분, 유효유전자수, 유전력 등을 분석한 것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Heterosis와 heterobeltiosis는 주당 수량, 주당 삭수, 종자장, 1삭 조면중에서 부의 방향으로 유의하였다. GCA와 SCA는 모든 형질에서 고도로 유의하였다. 평균우성정도는 주당수량, 주당 삭수, 1삭 종자수 및 종자폭에서 초우성으로 나타났고, 종자장은 완전우성, 1삭 조면중은 부분우성으로 나타났다. 유효유전자수는 주당 수량, 주당 삭수, 종자장에서 2개, 1삭 종자수, 종자폭 그리고 1삭 조면중에서 1개로 추정되었다. 협의의 유전력은 주당 수량, 주당 삭수 및 1삭 종자수에서는 낮았으나 종자폭에서는 높았다. 광의의 유전력은 1삭 조면중을 제외한 모든 형질에서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