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 science

검색결과 4,520건 처리시간 0.033초

향상된 다이내믹 프로그래밍 기반 RNA 이차구조 예측 (An Improved algorithm for RNA secondary structure prediction based on dynamic programming algorithm)

  • ;정광수;김선신;류근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5-18
    • /
    • 2005
  • A ribonucleic acid (RNA) is one of the two types of nucleic acids found in living organisms. An RNA molecule represents a long chain of monomers called nucleotides. The sequence of nucleotides of an RNA molecule constitutes its primary structure, and the pattern of pairing between nucleotides determines the secondary structure of an RNA. Non-coding RNA genes produce transcripts that exert their function without ever producing proteins. Predicting the secondary structure of non-coding RNAs is very important for understanding their functions. We focus on Nussinov's algorithm as useful techniques for predicting RNA secondary structures. We introduce a new traceback matrix and scoring table to improve above algorithm. And the improved prediction algorithm provides better levels of performance than the originals.

  • PDF

Pseudomonas testosteroni 6F1의 아닐린 분해에 미치는 이차기질의 영향 (Effect of Dual Substrates on Aniline Mineralization by Pseudomonas testosteroni 6F1)

  • Cho, Kyung-Yun;Chun, Hyo-Kon;Bae, Kyung-Sook;Kho, Young-Hee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427-431
    • /
    • 1988
  • Pseudomonas testosteroni 6F1의 아닐린 분해에 미치는 이차기질의 첨가효과를 보기 위하여 균생장에 필요한 유도기간과 효소활성유도 정도를 조사하였다. 아닐린만 존재하는 배지에서 P. testosteroni 6Fl은 7시간의 유도기간을 필요로 한데 비하여 쉽게 이용가능한 이차기질을 첨가해준 경우 아닐린 분해에 필요한 유도기간이 1-3시간으로 줄어들었다. 이러한 아닐린 분해 촉진효과는 이차기질과 아닐린이 서로 발리 이용되면서 균체의 생장과 분해효소의 활성유도시기를 앞당겼기 때문이었으며, 이때 아닐린 분해효소의 최종활성 정도는 첨가해준 이차기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 PDF

Determination of Polar Secondary Metabolomes in Arabidopsis thaliana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Tandem Mass Spectrometry

  • Cho, Young-Ah;Park, Se-min;Bae, Dong-Won;Seo, On-Nuri;Lee, Ji-Eun;Jeong, Sung-Woo;Kwon, Young-Sang;Cha, Jae-Yul;Bae, Han-Hong;Shin, Sung-Chul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6호
    • /
    • pp.165-171
    • /
    • 2012
  • As a preceding study for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sound wave stimulus on Arabidopsis thaliana metabolomics, the polar secondary metabolomes of the plant were determin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tandem mass spectrometry. A total of 10 polar secondary metabolomes were characterized and quantified. Among them, 4 metabolomes, p-coumaroylagmatine isomer (7 and 8), p-coumaroylagmatine isomer (9 and 10) were identified in the plant for the first time. The validation was conducted in terms of linearity, recovery, precision,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The validated method was applied to the simultaneous quantification of the 10 polar secondary metabolomes.

초.중등학교 교사의 초.중등 공학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about Engineering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 김영민;허혜연;이창훈;김기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5호
    • /
    • pp.9-1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about engineering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For this, we surveyed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most teachers perceived that engineering positively affect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development. They also found that engineering education helps student to select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career. Moreover, they perceived that engineering contents are not applied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curriculums, hence it does not stimulate interest in engineering. Therefore, they perceived that if engineering education contents are systematically applied in formal curriculum,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current engineering education. Second, most teachers perceived that roles of engineering education are to make students learn creative design and problem solving process and inform about the engineering field career. They perceived that the best grade to start engineering education is 4~6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best way to apply engineering education is through distributing engineering education contents to related subjects. They also perceived that technology subject has the most relation to engineering education and science subjects; mathematics subject follow after.

제 7차 초ㆍ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동물 학습 소재 분석 (An Analysis of Animal-related Learning Material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Textbooks)

  • 박강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1호
    • /
    • pp.8-1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science textbooks and curriculum. The textbook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were analyzed for their animal-related learning contents. Among learning materials, 165 kinds of animals were presented in Science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37 kinds in Inquiry life, 162 kinds in Science), 167 kinds in Science of middle school, 486 kinds of high school (172 kinds in Science of high school, 180 kinds in Biology I, 366 kinds in Biology II). There are most kinds of animals in Biology II textbooks than in other textbooks. It was appeared that animal species were diverse in order of Class Insecta, Mammalia, Aves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Mammalia, Insecta, Aves in the middle school, Mammalia, Aves, Pisces in the high school.

  • PDF

Individual-based Competition Analysis for Secondary Forest in Northeast China

  • Li, Fengri;Chen, Dongsheng;Lu, Jun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5호
    • /
    • pp.501-507
    • /
    • 2008
  • The data of crown width with 4 directions, DBH, tree height, and coordinate for sample trees were collected from 30 permanent sample plots in secondary fore st of the Maoershan Experimental Forestry Farm, Northeast China. In this paper, the competition of individual trees in stand were discussed for secondary forest by using iterative Hegyi competition index and crown overlap index that represented the competitive and cooperative interactions among neighboring trees. Active competitors of subject tree in the competition zone were selected to calculate the iterative competition index. Using the results of crown classification based on the equal crown projection area, a new distance dependent competition index called crown overlap index (COI) was developed for secondary forest. The COI performed well in describing the crown competition rather than crown competition factor (CCF). The individual-based competition index discussed in this paper will provide more precise for developing individual tree growth models for secondary forest and it can also use to adjust the stand structure for spatial optimal management.

Biodegradation of Secondary Phase Particles in Magnesium Alloys: A Critical Review

  • Kannan, M. Bobby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54-57
    • /
    • 2016
  • Magnesium alloys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in recent years for potential biodegradable implant applications. A great deal of work has been done on the evaluation of the corrosion behaviour of magnesium alloys under in vitro and in vivo conditions. However, magnesium alloys, in general, contain secondary phase particles distributed in the matrix and/or along the grain boundaries. Owing to their difference in chemistry in comparison with magnesium matrix, these particles may exhibit different corrosion behaviour.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corrosion behaviour of secondary phase particles in magnesium alloys in physiological conditions for implant applications.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the biodegradation behaviour of secondary phase particles in magnesium alloys.

중등 과학교사 글쓰기 교육 기준 탐색 (Exploring Writing Education Standards for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 어선숙;조희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82-200
    • /
    • 2012
  • 최근 과학 글쓰기에 관한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과학 시간 또는 과학적 탐구 시간에 글쓰기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는 인식이 점점 널리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과학교사들은 과학 글쓰기 교수에 필요한 자질과 능력을 충분하게 지니고 있지 않은 실정이며, 그런 자질과 능력의 함양에 목적이 있는 과학교사의 직전 연수 및 현직 연수에 적용할 수 있는 과학 글쓰기 교육 기준이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 논문에서는 과학 글쓰기를 위한 과학교사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과학 글쓰기 교수-학습 내용의 선정 조직에 적용할 수 있는 과학 글쓰기 교육 기준을 제시한다. 이 목적은 문헌조사 방법을 적용해 달성하였다. 과학글쓰기 기준은 네 영역으로 나눈 다음, 각 영역을 다시 2-3개의 교육 기준으로 나누고, 각 교육 기준을 하위교육 기준으로 소분화하여 제시한다. 이 논문에서는 총 42개의 하위교육 기준이 제시되어 있다.

센서 기반의 차량 2차사고 방지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nsor-based Secondary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 임경균;김계희;정선미;문형진;김창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313-321
    • /
    • 2017
  • 국내의 교통사고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현재 1차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IOT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지만 2차 사고방지를 위한 실질적인 대안은 제시되고 있지 않다. 단지 일반적인 지침으로 권고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2차사고 방지를 위한 제안 모델 및 시뮬레이션을 구현하고 있다. 1차사고 시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가능한 상황에서는 안전거리를 확보하여 2차 사고를 예방 할 수 있지만 터널 및 산악 지형 또는 차량 통행이 많은 곡선도로와 같이 운전자의 시야확보가 어려운 지역에서는 1차사고 후 2차 사고의 확률이 점점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1차 사고는 센서기술을 활용한 정보로 사고 판단을 하고 V2V 또는 V2I 통신을 통한 2차사고 방지를 구현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되는 경우의 2차 사고는 제안 모델과 차이가 없었으나 시야가 확보되지 않고 통신이 단절된 곳에서는 제안모델이 적용된 결과 3%~7% 사고율이 감소하였다.

야외지질학습에서 '생소한 경험 공간(Novelty Space)'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와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의 인식 탐색 (Exploring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about 'Novelty Space' in Learning in Geological Field Trip)

  • 최윤성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7-46
    • /
    • 2022
  • 이 연구는 초등 및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생소한 경험 공간(Novelty Space)에 대한 인식 조사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A 교육대학교의 초등 예비교사 38명과 B 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31명의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 중 추가적인 면담 참여에 동의한 초등 예비교사 3명과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 9명, 총 12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면담을 실시하였다. 생소한 경험 공간에 대한 요소를 사전 지식(인지), 사전야외학습 경험(심리), 야외조사지역과의 친숙도(지리)에 덧붙여, 사회적인(social) 요소과 기술적인(technical) 요소를 추가하였다. 초등과 중등, 학년를 기준으로 분류하였을 때 생소한 경험 공간의 요소에 대해 인지적 영역, 심리적 영역, 지리적 영역, 사회적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통계적인 차이는 야외학습과 관련된 경험이나 자본이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이 초등 예비교사들보다 더 많은 것으로부터 비롯되었을지도 모른다고 해석하였다. 반-구조화된 면담에서 초등 예비교사 및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 모두 가상야외지질학습의 가치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특히 기술적인 영역에서의 역량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 및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야외지질학습을 실행하기 위한 생소한 경험 공간에 대해 현재의 교육 맥락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새롭게 정의할 필요성을 제안할 뿐만 아니라 생소한 경험 공간 요소들을 구체화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의의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