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 school teachers

검색결과 727건 처리시간 0.025초

교원의 우울에 대한 직무 관계스트레스와 반추의 구조적 관계에서 학교급에 의한 조절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School Levels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tres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Work and Rumination in Teachers' Depression)

  • 양성진;이은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22-131
    • /
    • 2019
  • 본 연구는 교원의 우울에 대한 직무 관계 스트레스와 반추의 구조적 관계에서 학교급에 의한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였으며, 초등, 중등교원 811명을 대상으로 우울, 반추, 직무 관계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학교 급을 집단변수로 산정하여 다집단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두 모형 간의 동질성을 전제하기 위해 측정의 동일성 제약 모형 적합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형 간의 동질성이 검증되어, 집단 간 등가제약을 전제로 하여 두 모형의 경로계수를 비교하여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학교 급에 의해 조절효과는 직무관계스트레스에서 우울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나타났다. 이는 우울에 대한 반추의 영향을 직무관계 스트레스가 매개하며, 학교 급에 따라서 직무관계 스트레스에 의한 매개효과가 다르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초등 교원보다 중등 교원의 직무관계 스트레스에 의한 매개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 도시 초·중등 학생의 보건실 이용률과 건강문제 및 보건교사의 간호수행도 (Utilization of School Health Room and Health Problems among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Nursing Performance of School Health Teachers in a City)

  • 김진희;소향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80-19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초 중등학교 학생들의 성별 및 소재지별 보건실 이용률 및 건강문제의 연도별 변화를 파악하고, 학생들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건교사가 제공하였던 간호중재수행 빈도 및 난이도를 분석함에 있다. 자료분석은 경력 3년 이상의 보건교사 59명이 응답한 조사지였다. 분석결과, 연도별 재적 총학생수는 매년 감소한 반면에 보건실 이용률은 점차 증가하였으며, 보건실 이용률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200% 정도 상위를 보였다. 초등학교 도심지역 여학생들의 보건실 이용률이 가장 높았으며 중등학교 도심지역 남학생들이 가장 낮았다. 남학생은 피부 피하계, 근골격계, 소화기계 건강문제 순으로, 여학생은 피부 피하계, 소화기계, 근골격계 건강문제 순으로 이용률을 보였다. 도심지역이 변두리 농촌형보다특정 건강문제에서 보건실 이용률이 높았다. 간호중재수행은 자기건강관리교육과 상담 영역에서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자해, 발작, 순환기계 건강문제에서 난이도가 가장 높았다. 결론적으로 보건실 이용률은 점차 증가하여 보건교사의 업무는 가중되었으며, 특별하고 위급한 건강문제를 보건실에서 전문적이고 효과적으로 응급처치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질 있는 보건교사의 인력확충과 표준화된 업무지침이 요청되며 나아가 전문가적 역량을 강화하는 보수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물 환경 교육에 대한 초.중등교사의 인식 연구 (A Study on Recognition of the Primary and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on Water Environment Education)

  • 성정희;박태윤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3권4호
    • /
    • pp.56-6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eachers'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about the water and the water environment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strategies of water education at school based on survey result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had high level of water related knowledge and awareness about importance of the water environment education. However, they showed low level of environment educational efforts and environment protection behaviour in daily life. Second, they had a little chance to have the educational training for the water environment education. Third, the water environment education at schools has been made in very restricted areas such as water related scientific knowledge and water pollution. Fourth, teachers pointed out the biggest obstacle for the water environment education would be the lack of teaching materials and the second biggest one was the lack of educational facilities at school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it was found out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water environment education at schools, substantial research by the teachers shall be implemented for all teachers of every subject to build up their capacity in adapting the water education to their subjects.

  • PDF

한국의 학교보건정책집행과정평가 연구 -부산직할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chool Health Policy Performance Process of Korea -Focused on the Secondary School in Pusan City-)

  • 권혁동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9-79
    • /
    • 1995
  • This study intended to grasp the results of performance of school health policy and to provide information for the future policy performance in Korea. As the objects of the study we chose the secondary school(142 middle schools, 111 high schools) in Pusan, 1993.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about school health service and school health education. For the study we collected datum and took statistics through the existing theses, books, various statistics, and interviews with the persons concerned. Therefore the method of the study was basically emperical and demonstrative.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presented as follows : 1. the results of performance of health service proved to be 5.40% for vaccination against hepatitis B, 5.26% for typhoid fever, 6.65% for EH fever, and 9.84% for influenza in middle schools, In high schools' 5.76% for vaccination against hepatitis B, 0.03% for typhoid fever, 0.25 for EH fever, and 0.86% for influenza. 2. The results of policy performance of health education were found out 64.08% in middle schools, and 17.12% in high schools. 3. The factors which affected the results of performance of health service turned out 1) the improper standard of policy performace that applicants should pay their own expenses. 2) the lack of performer's will to carry out the policy owing to the improper standard. 3) the shortage of interorganizational enforcement activities and communications which influence the will of performance. 4. The affecting factors to the will of performance of health education proved to be 1) the improper standard that nurse-teachers can teach students in the classroom in case of need. 2) the lack of nurse-teachers due to the above inappropriate standard. 3) the lack of enforcement activities of supervising organs which employ and direct nurse-teachers. 4) the lack of activities of organs which should communicate one another and allot nurse-teachers of public schools without fail.

  • PDF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지질 시대 관련 개념들에 대한 이해: 중등 교과서와 지도서를 중심으로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Related to the Geologic Time in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the Guidebooks for Teachers)

  • 김경수;김정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2-4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지질 시대 관련 개념들에 대한 이해 정도를 알아보고, 교사들의 개념 이해 정도와 원인이 교과서의 서술 내용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북 지역 고등학교 과학 교사 4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현행 제7차 교육 과정에 따른 중등 교과서 및 지도서에 제시된 지질시대 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많은 교사들은 단순히 지구의 나이를 방사성 동위 원소로 측정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자세한 측정 방법을 알지 못하고 있었다. 50% 이상의 교사들은 지사학의 5대 법칙을 동일 과정설, 지층 누중의 법칙, 생물군 천이의 법칙, 부정합 관계 그리고 관입 관계라고 생각하였다. 중등 교과서 및 지도서에 제시된 지구의 나이, 가장 오래된 암석의 연령, 지질 시대의 정의 및 기간, 지구의 나이 측정 방법 그리고 지사학의 법칙 등과 같은 지질 시대 관련 내용은 상당 부분이 올바른 개념을 제시하고 있지 않으며, 제시된 유형도 다양하다. 설문에 응답한 상당수의 교사들은 지질 시대에 관련된 내용에 대하여 잘못 이해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사들의 이해는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 기술된 내용과 상당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교과서와 지도서에 제시된 지질 시대 관련 내용에 대한 논의와 수정이 필요하다.

과학교사의 상.역할.능력의 탐색 (An Exploration of Science Teachers' Ideal Image/Role/Competency)

  • 조희형;고영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69-281
    • /
    • 2008
  • 우리나라에서는 중등학교 과학교사의 자격 기준을 법령에 이수해야 할 과목 또는 영역으로 규정한다. 그러나 그런 과목과 영역은 훌륭한 교사가 지녀야 할 능력과 자질을 명시하지 않는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과학교사 자격 기준으로, 또는 과학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 그 목적과 내용으로 적용해 볼 수 있는 바람직한 과학교사의 상, 과학교사의 역할, 과학교사의 능력의 목록을 작성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분석, 설문조사 및 온라인 워크숍, 심층면담, 자문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설문조사 및 온라인 워크숍대상은 중학생 186명, 고등학생 72명, 중학교 교사 8명, 고등학교 교사 5명이었으며, 심층면담에는 네 명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바람직한 과학교사의 상 목록은 10영역 44개의 상으로, 과학교사의 역할 목록은 여섯 영역 32개의 역할로, 과학교사의 능력 목록은 여덟 영역 75개의 능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의 자격과 평가의 기준을 이수할 과정이나 과목 대신에 교사가 지녀야할 능력으로 규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또한 유능한 과학교사의 능력을 키워줄 수 있는 과학교사 양성교육과정 내용 및 과목의 내용을 선정 조직하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밖에 과학교사의 자격을 그의 능력과 자질로 규정하기 위해서는 그에 관한 연구가 더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초·중등학교 교육용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활용과 표준 개발 환경 (Development of Standard Multimedia Studio for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al Contents)

  • 안미리;황대준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권1호
    • /
    • pp.1-15
    • /
    • 2002
  • New media is an emerging industry sector. It sits at the nexus of what has become a main vehicle of the Knowledge Based Economy. the crossroads where the use of interactive multimedia technology meets the traditional uses of media. The current Education information Act provided school with PC, multimedia labs and connection to internet. Having such a facility in schools encourage teachers and students to use computers more often. Teachers demand for more educational multimedia contents than they can find in the market. Although there are many good contents, teachers find them unfit or inflexible for their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lements of standard multimedia studio facilities to develop multimedia contents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provide guidelines for schools to facilitate their multimedia studio for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developing contents for effective use of their facilities.

  • PDF

부산지역 중등교사의 현직교육 요구 분석 (In-service Education Needs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Busan City)

  • 장한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7권3호
    • /
    • pp.305-323
    • /
    • 2005
  • To reveal secondary teachers' in-service education need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individual teachers based on semi-structured questions and qualitative data analysis procedures were adopted. They wanted to have; a. more knowledge of one's subject, subject related information, culture and common sense, counseling psychology, foreign language, and the 7th curriculum, b. better skills of student-centered teaching-learning methods, guidance and class management, good use of computers, and educational evaluation, c. improved attitudes regarding democratic problem solution processes, conversation with and service to students from their viewpoints, commitment to preparations for teaching, educational innovation and improvement, elimination of improperness, and pride of teaching job.

탐구 학습에 관한 중등 과학 교사들의 인식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Inquiry Learning)

  • 박정희;박예리;김정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731-738
    • /
    • 2004
  • 본 연구는 중 ${\cdot}$고등학교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탐구 학습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고 교사 수준의 탐구 학습 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탐구 학습 인식에 관한 설문지를 개발하여 서울교육과학연구원의 실험 연수에 참여한 서울지역 중 ${\cdot}$ 고등학교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교사들은 과학 교육의 중요한 목표가 과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실생활과 관련된 소재를 수업에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교사가 탐구 학습을 학습자 중심의 열린 탐구 학습에 대한 인식하고 있었고, 대학 입시 제도, 탐구수업 보조 자료의 부족, 학생들의 의지 부족, 교사들의 탐구 학습에 대한 인식의 부족 등이 탐구 학습의 실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중등수학 예비교사들의 통계적 소양 : 표본 개념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Statistical Literacy in Understanding of Sample)

  • 탁병주;구나영;강현영;이경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6권1호
    • /
    • pp.19-39
    • /
    • 2017
  • Taking samples of data and using samples to make inferences about unknown populations are at the core of statistical investigations. So,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ample as statistical thinking is involved in the area of statistical literacy, since the process of a statistical investigation can turn out to be totally useless if we don't appreciate the part sampling plays. However, the conception of sampling is a scheme of interrelated ideas entailing many statistical notions such as repeatability, representativeness, randomness, variability, and distribution. This complexity makes many people, teachers as well as students, reason about statistical inference relying on their incorrect intuitions without understanding sample comprehensively. Some research investigated how the concept of a sample is understood by not only students but also teachers or preservice teachers, but we want to identify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sample as the statistical literacy by a qualitative analysis. We designed four items which asked preservice teachers to write their understanding for sampling tasks including representativeness and variability. Then, we categorized the similar responses and compared these categories with Watson's statistical literacy hierarchy. As a result, many preservice teachers turned out to be lie in the low level of statistical literacy as they ignore contexts and critical thinking, expecially about sampling variability rather than sample representativeness. Moreover, the experience of taking statistics courses in university did not seem to make a contribution to development of their statistical literacy. These finding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promote statistics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