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grass biomass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18초

잘피의 광합성에 대한 중금속 및 TBT의 독성 영향과 중금속 흡수에 대한 연구 (Preliminary Study on the Toxicity and Transfer of Heavy Metals and Tributyltin to Seagrass Zostera marina)

  • 최태섭;김광용;이병권;이정석
    • ALGAE
    • /
    • 제20권2호
    • /
    • pp.157-166
    • /
    • 2005
  • Uptake kinetics of Cd and Zn by leaves and rhizome of the seagrass Zostera marina were examined in controlled laboratory radiotracer experiments. Subsequently, acute toxicity of Cd, Cu and TBT on photosynthetic quantum yield (ΔF/Fm’ of Z. marina were determined, and the differential sensitivities of rapid light curve (RLC) to those harmful substances were also compared. All measurements on photosynthetic activity were determined by chlorophyll a fluorescence method using pulse amplitude modulation (PAM). Metal uptake by Z. marina was saturated with increasing exposure time in leaves and rhizomes. Uptake of Zn by Z. marina was faster than that of Cd. Metal uptake rates in Z. marina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dissolved metal concentrations and also with the increase of biomass. The adverse effect of TBT on effective quantum yield was stronger than other pollutants. Average acute toxicity on the RLC of the seagrass exposed to TBT and two heavy metals (Cd and Cu) was going to decrease as follows: TBT > Cd > Cu. Our preliminary results in this study suggested that Z. marina potentially can be used as a biomonitor of harmful substances contamination in coastal waters.

낙동강하구의 잘피(seagrass) 분포 현황 (Distribution of the Seagras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 박정임;박희순;배종일;김구연
    • 생태와환경
    • /
    • 제56권3호
    • /
    • pp.207-217
    • /
    • 2023
  • 본 연구는 2023년 5~6월 낙동강하구에 생육하는 잘피 분포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잘피 서식 면적을 조사하기 위해 낙동강하구를 7개 구역으로 구분하여 드론을 이용한 항공촬영을 실시하여 잘피 서식을 확인한 후 조간대에서는 도보로, 조하대에서는 선박 및 잠수조사로 GPS 트랙킹을 실시하였다. 잘피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각 구역에 대표적으로 출현하는 잘피의 종별 형태적 특성, 생육밀도와 생체량을 측정하였다. 낙동강하구에는 애기거머리말, 거머리말, 줄말과 게바다말이 출현하였고, 각 종의 분포 면적은 각각 338.2 ha, 92.9 ha, 0.9 ha와 1.4 ha로 총 잘피 서식지 면적은 432.5 ha로 조사되었다. 애기거머리말은 낙동강하구 대부분의 사주와 갯벌에 넓게 분포하였고, 거머리말은 눌차도, 진우도와 다대동에 서식하였다. 줄말은 을숙도와 명지갯벌의 애기거머리말 서식지 내에 출현하였고, 게바다말은 다대동의 암반에 생육하였다. 애기거머리말, 거머리말, 줄말과 게바다말의 생육 밀도는 각각 4,575.8±338.3 shoots m-2, 244.8±12.0 shoots m-2, 11,302.1±290.0 shoots m-2와, 2,862.5±153.5 shoots m-2였다. 생체량은 각각 239.7±18.5 gDW m-2, 362.3±20.5 gDW m-2, 33.3±1.2 gDW m-2와, 1,290.0±37.0 gDW m-2였다. 본 연구 결과 낙동강하구에는 애기거머리말이 우점하였고, 특히, 을숙도, 대마등과 명지갯벌의 애기거머리말 서식지는 국내 최대 규모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낙동강하구는 생태적, 환경적, 경제적 가치가 높은 중요한 곳으로, 이곳에 생육하는 잘피의 지속적인 조사와 관리가 필요하다.

한국연안 3개 해초지 표층수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계절 변화 (Seasonal Changes of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lankton in Three Korean Seagrass Beds)

  • 이상용;이인우;최청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8권2호
    • /
    • pp.95-105
    • /
    • 2006
  • 해초지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 변동을 규명하기 위하여 2002년 10월, 2003년 1월, 3월과 6웜에 남해안의 동대만과 앵강만, 그리고 서해안의 승봉도에서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과 분포, 그리고 환경요인들을 조사하였다. 수온, 염분, 부유물질, chlorophyll a, 해초의 지상부 생물량, 용존무기질소와 용존무기인의 농도는 조사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해초지에서 출현하는 식물플랑크톤은 총 3문 3과 4목 16과 27속 65종이 동정되었다. 해초지에서는 규조류가 50종, 와편모조류가 14종, 그리고 규질편모조류가 1종 출현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은 Coscinodiscus속과 Thalassiosira속의 분류군들이 조사기간 동안 우점 출현하였으나, Peridinium granii, Eucampia zodiacus와 Pleurosigma elongatum은 계절에 따라 우점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0.6{\times}10^3{\sim}21.1{\times}10^3\;cells\;l^{-1}$ 범위로 동대만에서 6월에 가장 낮았으며, 앵강만에서 3월에 가장 높았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종조성과 현존량은 다른 남 서해 연안보다 단순하고 낮게 나타났다. 계절에 따른 용존 무기질소와 무기인의 농도는 규조류 현존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Epiphytic Communities on Marine Plants of Seychelles, Indian Ocean, East Africa

  • Ivin, V.V.;Zvyagintsev, A.Yu.;Titlyanova, T.V.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37-43
    • /
    • 2000
  • Epiphytic communities on marine plants of Seychelles (Indian Ocean Island group associated with East Africa) were investigated in January - March of 1989 during the $15^{th}$ biological voyage of the research vessel cademic Alexander Nesmeyanov. A seagrass species, Thalassodendron ciliatum, and macroalgae (Sargassum spp. and Halimeda spp.) were tested for host substrates and biomass of their dominant epiphytes were assessed. Also,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shading and nutrient filtering by epiphytes, two series of photosynthetic rates were compared for Th. ciliatum host leaves having 10% and no epiphytes. Total of 84 species of algae and main taxons of benthic animals were identified from three different host plants. An average biomass of the epiphytes on Th. cihiatum was $184.6g\;kg^{-1}$ and dominant species were green alga Halimeda opuntia, red algae Dictyurus occidentalis and Gelidiella myrioclada. These dominant species and their biomass were remarkably varied with depth increment. On Sargassum spp., an average biomass of the epiphytes was $0.18g\;kg^{-1}$ and the maximum biomass was never exceeded $0.16g\;kg^{-1}$. In the case of Halimeda spp. an average biomass of the epiphytes was $8.0g\;kg^{-1}$, and dominant species were Peyssonnelia dubyi, sponges and decapods. Photosynthetic rates of Th. ciliatum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leaves having 10% epiphytes (1.72 times lower, t=6.718, p<0.001).

  • PDF

마이크로네시아 축 환초내 잘피밭의 어류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Fish from Sea Grass Bed in Chuuk Lagoon, Micronesia)

  • 최영웅;윤건탁;이대원;김태훈;김윤칠;박흥식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5권4호
    • /
    • pp.441-452
    • /
    • 2013
  • The fish species composition of seagrass bed in Chuuk Lagoon, Micronesia, was investigated every month from August 2009 to July 2011, using a seine net for fish caught. A total of 32 fish species belonging to 18 families under 6 orders were identified during the study period. Of these fish, Atherinomrus lacunosus, and Strongylura incise were the major dominant species representing 85.0% in total number of individuals.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high from August to December 2009, 2010. The biomass was highest in September 2010 and the diversity index was higher in September 2009, April, August 2010 and July 2011. The 14 dominant species could be divided into 2 groups of 3 individuals based on appearance patterns; (1) resident species and temporal species (9 species, e.g. Atherinomrus lacunosus), juvenile and adults living in seagrass beds and juveniles living only in seagrass beds; (2) temporal species (2 species, e.g. Hemiramphus lutkei), juveniles living only in seagrass beds; (3) temporal species (3 individuals, e.g. Caranx sexfasiatus). For some species, the appearance patterns were affected by water temperature. However, the relationships between sea currents, salinity, tide, and structure of fish assemblage remain unclear. Further studies that regularly monitor sea grass habitats are necessary to clearly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sea grass habitat use patterns in fish assemblages.

한국산 수거머리말(Zostera caulescens Miki.)의 형태 및 생태적 특성에 대한 연구 (Ecolog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Zostera caulescens Miki (Zosteraceae) in Korea)

  • 이상룡;서영배;김상태;최청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345-357
    • /
    • 2002
  • 한국에 자생하는 거머리말속(Zostera, Zosteraceae)에 포함되는 수거머리말(Z. caulescen Miki)의 형태 및 생태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생육환경, 외부형태학적 형질, 잎과 종자의 미세 구조를 비교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해역에서는 남해연안의 거제 가배리와 진도 죽림리에서만 수거머리말의 실체가 확인되었으며, 생육지의 환경은 파랑의 영향이 적은 내만의 수심 $3.0{\sim}6.5m$의 사니질 또는 니사질의 퇴적환경에서 출현하였다. 생식지의 길이, 잎 너비, 엽맥 수, 잎 표피 세포의 크기와 수, 종피의 늑골 수, 생식지 상에 수관 형성 여부, 잎 가장자리와 중앙의 두께 및 색조의 차이, 종자 표면의 anthocyanin색소 집적에 따른 자주색의 반점,잎 표피세포의 기본모양에서 수거미리 말은 뚜렷하게 구별되었다. 남해안 가배와 죽림의 집단에서 생육지에 따른 외부 형태학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계의 생육밀도와 생물량은 가배리$(367.3m^{-2},\;725.7g\;dry\;wt\p;m^{-2})$에서 죽림리$(112.5m^{-2},\;392.0\;g\;dry\;wt\;m^{-2})$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상부의 생물량은 지하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생육밀도와 생물량은 생식지의 개체수와 개체 당 생물량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동해안 중북부 대진 해역의 해조상 및 군집구조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in Daejin on the Mid-East Coast of Korea)

  • 김영대;공용근;전창영;송홍인;박미선;이채성;유현일;김영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32-539
    • /
    • 2010
  • Seaweed biomass was estimated in the rocky subtidal zone of Daejin on the mid-east coast of Korea using a destructive sampling method from February to November 2007. Monthly sampling was conducted at depths of 5, 10 and 15 m using 50 $\times$ 50 cm quadrats. A total of 73 species, including 5 chlorophytes, 25 phaeophytes, 43 rhodophytes and one seagrass were identified. Average seaweed biomass was 2,852.3 g wet wt. $m^{-2}$ and biomass values varied monthly from 1,189.8 g to 7,523.7 g. The species dominant in biomass were Laminaria japonica (481.7 g), Sargassum confusum (470.85 g), Undaria pinnatifida (422.57 g), Costaria costata (282.16 g), Odonthalia corymbifera (174.46 g), S. sagamianum (163.22 g) and S. horneri (122.18 g).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algae was characterized by S. confusum and U. pinnatifida at 5 m, L. japonica and U. pinnatifida at 10 m, and O. corymbifera and L. japonica at 15 m depth. The C/P, R/P and (R+C)/P values were 0.20, 1.72 and 1.92, respectively.

잘피의 후방산란 특성 (Backscattering from Seagrass beds)

  • 라형술;윤관섭;이재혁;나정열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3권 1호
    • /
    • pp.191-19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해양의 기초 생산자인 잘피 (Zostera marina)의 후방산란 특성을 일주기 동안 관측 하였다. 해상 실험은 2004년 2월 $25\~29$일 기간 중 남해 동대만에서 실시 하였다. 그랩(Grab)을 이용하여 해초지의 입도를 분석 하였으며 주파수별 산란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서 17, 30, 50, 80, 100, 그리고 120kHz 음원을 해초지에 수직 지향하여 주, 야간 잘피의 후방 산란을 측정하였다. 실험 환경 분석을 위해 파고와 조석 및 잘피의 생체량(biomass)측정을 실시 하였다. 광합성 시 해초지에서 발생되는 산소 공기는 해수에 의해 용존 되거나 산소 가스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들 공기 방울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기 방울 층은 음 세기의 감쇠를 야기 시킨다. 실험 결과 주, 야간 동안 음의 산란 강도 변화를 확인 하였다.

  • PDF

The Importance of Intertidal Benthic Autotrophs to the Kwangyang Bay (Korea) Food Webs: ${\delta}^{13}$C analysis

  • Kim, Jong-Bin;Kim, Jeong-Bae;Lee, Pil-Yong;Hong, Jae-Sang;Kang, Chang-K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6권4호
    • /
    • pp.109-123
    • /
    • 2001
  • The importance of phytoplankton, benthic vegetation, vascular marsh plants (primarly Phragmites communis and Salix gracilstyla) and riverine particulates inputs to the coastal bay food web was studied in Kwangyang Bay, Korea using stable carbon isotope ratios. Vascular marsh plants (${\delta}^{13}$C=-27.4${\pm}$0.8%o) and riverine particulates (-26.0${\pm}$0.8%o) were isotopically distinct from phytoplankton (-20.7${\pm}$0.8%o), microphytobenthos (-14.2${\pm}$0.6%o) and seagrass (8.8%o). The ${\delta}^{13}$C values of consumers in the study site ranged from -20.2 to -11.3olo suggesting the assimilation of carbon derived from both phytoplankton and benthic vegetation (including algae and seagrass), The relative importance of both pelagic and benthic origins of food sources was likely to vary depending on feeding habit of the consumers. The isotopic difference between pelagic and benthic consumers indicated that plankton-derived carbon was used mostly by pelagic consumers, but the carbon derived from intertidal benthic vegetation was incorporated into food webs through benthic consumers. The ${\delta}^{13}$C values of consumers in the present study differed noticeably from published values of the phytoplankton-based ecosystem, particularly in the $^{13}$C enrichment of benthic grazers, deposit-feeders and demersal feeders of fishes. This tendency of the $^{13}$C enrichment was also found in suspension-feeding bivalves. Taking the biomasses of benthic vegetation into consideration, benthic microalgae was likely to account for the consumer $^{13}$C enrichment. Role of terrestrially derived riverine carbon was limited to the riverine system and was not evident within the bay systems. Phragmites, despite their important biomass, appeared to be of little importance as consumer diet.

  • PDF

화진포 기수호에 해산식물 거머리말 (Zostera marina L., Zosteraceae) (Seagrass (Zostera marina L., Zosteraceae) Bed in the Brackish Lake Hwajinpo, Korea)

  • 이상용;권천중;허승;최정일
    • 생태와환경
    • /
    • 제33권4호통권92호
    • /
    • pp.336-341
    • /
    • 2000
  • 자연 기수호인 화진포호에서 자생하는 거머리말(Zostera marina)의 분포와 생육환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8년 6월과 2000년 7월에 식물체와 퇴적물을 채집하여 수질과 함께 분석하였다. 거머리말 초지의 분포는 해수와 담수의 수체의 소통이 원활한 지역으로 수심 $0.8{\sim}l.5\;m$에 서식하였으며, 초지의 면적은 약 $3,200\;m^2$로 해안과 연결되는 호수 입구 쪽을 따라 길게 분포하였다. 서식지의 염분은 $8.0{\sim}23.0%_o$, 수온은 $22.0{\sim}23.7{\circ}C$, pH는 $8.34{\sim}8.62$으로 나타났으며, 영양염의 농도는 인접한 해양의 거머리말 생육지 보다 낮았다($TN:\; 24.34\;{\mu}M$, NH_4-N:\;2.57\;{\mu}M$, $NO_3-N:\;0.56\;{\mu}M$, $NO_2-N:\;0.27\;{\mu}M,$, $TP:\;2.08\;{\mu}M$, $PO_4-P\;:\;0.34\;{\mu}M$). 조사지역의 부유형물질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SPM)의 농도는 62.8 mg/l이였으며, 입자성유기물질 (particulate organic matter, POM)은 평균 21.3mg/l로서 평균 33.9%의 부유 유기물 함량을 나타내었다. 서식지의 퇴적환경은 4 cm까지는 호기성이었으며, $3.13{\varphi}$의 세립한 사질로 구성되었다. 식물체의 외부 형태는 협엽성 거머리말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었으며,식물체의 길이는 $70.0{\sim}126.5\;cm$, 잎 너비는 $5{\sim}7\;mm$의 범위로 나타났다. 단위 면적당 서식밀도는 $264{\sim}296$개체이었으며, 개체당 건중량은 $1.26{\pm}0.75g$로 나타났다 화진포호의 거머리말 초지의 생물량은 $332.6{\sim}373.0g/m^2$의 범위이었다. 한반도에서 거머리말의 생육환경은 기수호인 화진포호까지 분포되었으며, 형태학적인 특징이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