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 of cucumber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39초

전복(全鰒) 및 해삼(海蓼)의 건조방법(乾燥方法)에 따른 성분(咸分)의 비교(比較) (Some Chemical Composition of Abalone and Sea Cucumber as affected by Drying Methods)

  • 강훈이;강태중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2호
    • /
    • pp.126-131
    • /
    • 1981
  • 전복(全鰒)과 해삼(海蔘)을 재래식(在來式) 방법(方法)인 자건품(煮乾品)과 진공(眞空) 동결(凍結) 건조품(乾燥品)과의 일반(一般) 성분(成分) amine류(類), 육조직(肉組織) 등(等)을 비교(比較)하여 실험검토(實驗檢討) 하였다. 2종(種)의 시료(試料) 중(中) 일반(一般) 성분(成分)은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해삼(海蔘) 중(中)에 회분(灰分)은 자건조(煮乾燥)의 경우 28.24%, 동결(凍結)은 33.99%이었다. 회분의 조성은 Na>K>Mg>Ca 순(順)이었다. 전복(全鰒) 및 해삼(海蔘)의 생체(生體) 및 동결(凍結) 건조품중(乾燥品中) TMAO 함량에는 큰 차이(差異)가 없었고 자건품(煮乾品)은 각각(各各) 생체(生體)에 비(比)하여 43% 및 54% 감소하였다. 이들 건조제품의 TMA는 에 하여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이중 자건품(煮乾品)의 경우는 동결(凍結) 건조품(乾燥品)에 비(比)하여 증가폭(增加幅)이 컸다. 또한 건조제품의 DMA는 생체(生體)에 비(比)하여 그함량이대단히 높았으며 자건(煮乾)전복의 경우 14배(倍), 자건해삼(煮乾海蔘)의 경우 18.5(倍), 동결건조품(凍結乾燥品)은 4.7 및 6.3배(倍)이었다. 전복과 해삼의 생체(生體) 조직이 건조후에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하였다.

  • PDF

지속가능한 해삼 양식장 조성을 위한 생태적합 서식처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Ecologically Suitable Habitat Model for the Sustainable Sea Cucumber Aquafarm)

  • 오윤화;강민선;위진희;이인태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1호
    • /
    • pp.64-79
    • /
    • 2015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생태환경에 맞는 해삼(Holothuroidea, de Blainville, 1834)의 생태적합서식 모형을 개발하고자 해삼의 주요 서식지인 백령도, 진도, 울진 해역의 수치조류도, 해황 및 저서환경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수온은 $12{\sim}18^{\circ}C$정도로 모두 냉수대 지역이며 표층과 저층 사이의 해수 순환이 활발하였다. 백령도와 진도의 수치조류도 분석 결과, 해수 흐름이 $100{\sim}120cm\;s^{-1}$ 정도로 강한 유속장이 형성되는 특징을 보였다. 또한 세 지역 모두 저서에는 은신처 역할을 하는 암반과 전석 등이 고루 분포하며 다양한 해조류 군락 및 저서생물이 해삼과 함께 서식하였다. 이와 같이 해삼 서식처의 공통적인 특징을 바탕으로 사니질 저질, 다양한 해조류 군락, 저서동물 그리고 암반과 전석 등이 고루 분포하는 형태의 해삼생태적합서식처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의 치삼 서식지는 조간대 지역으로 암초 및 해조류가 분포하며, 퇴적물의 구성은 펄질로 나타내었으며 성삼 서식지는 사질과 니질이 만나는 곳에서 가장 많은 해삼 분포와 수심이 깊어질수록 큰 개체를 나타내었다. 또한, 조간대보다 큰 전석과 해조류가 다수 분포하는 형태로 나타내었다.

New Report on Two Species of Hippolytid Shrimps (Crustacea: Decapoda: Caridea) Collected at Sea Cucumber Farm, East Sea, Korea

  • Lee, Chu;Nam, Myung-Mo;Ko, Hyun Sook;Lee, Kyu Hyu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0권2호
    • /
    • pp.144-150
    • /
    • 2014
  • Two species of hippolytid shrimps, Eualus kuratai Miyake and Hayashi, 1967 and Heptacarpus igarashii Hayashi and Chiba, 1989, were collected at a sea cucumber farm from the East Sea. These species are described and illustra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Eualus kuratai is closely related to E. middendorffi; however, it lacks a dorsomedian spine on the fourth and fifth abdominal somites. Heptacarpus igarashii can be easily distinguished from other Korean Heptacarpus species due to its short rostrum that lacks ventral teeth on margin. This report extends the previously known ranges from Japan and Korea. In Korea, both genera, Eualus and Heptacarpus, have seven species according to the present report, respectively; moreover, hippolytid shrimps now consist of 31 species of nine genera.

홍해삼 추출물의 멜라닌 형성 억제를 통한 미백효과 및 피부 재생효과에 관한 연구 (Whitening Effect and Skin Regeneration Effect of Red Sea Cucumber Extract)

  • 전미지;김은지;;김가연;이승제;정인철;김상용;김영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81-687
    • /
    • 2018
  • 홍해삼 또는 Apostichopus japonicas는 동남아시아에서 발견되는 stichopodiae의 한 종이다. 본 연구에서는 홍해삼의 화장품 소재로서 사용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해 홍해삼 추출물의 미백, 항주름에 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tyrosinase 활성 분석 결과, 홍해삼 추출물 $200{\mu}g/ml$에서 tyrosinase 활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홍해삼은 tyrosinase, TRP-1, TRP-2, MITF 및 matrix metalloproteinase (MMPs)의 mRNA 발현을 억제하였다. 이어서 HaCaT과 human Fibroblast를 이용한 3차원 세포배양을 통해 홍해삼의 피부 턴오버 주기 개선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홍해삼이 높은 미백효과 및 주름개선효과를 가지는 화장품 소재로서 충분한 가치를 지닐 것으로 판단된다.

해양심층수 처리가 육묘 시 도장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ep Sea Water Treatment on the Inhibition of Over-Growth of Plug Seedlings)

  • 강원희;홍성유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5-95
    • /
    • 2006
  • 해양심층수 처리가 과채류 육묘 시 도장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다. 심층수의 처리 농도에 따른 플러그 묘의 생육을 조사해 본 결과 초장, 생체중, 건물중이처리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비례적으로 감소하였다. 토마토 초장의 경우 심층수 처리구에서는 약 8%, 25%, 32%결과를 보였고, 고추는 각 약 9%, 26%, 27% 감소하였고, 오이 초장의 경우에는 심층수 처리구에서는 약 21%, 50%, 58% 감소하였다. 생체중의 경우 처리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지상부의 생체중보다 지하부의 생체중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토마토 심층수 처리구의 지상부의 생체중 감소률은 각 12%, 23%, 33%이고, 지하부는 각 2%, 30%, 52% 감소하였다 고추의 경우 지상부의 생체중은 1.1%, 5.7%, 15.4% 감소하였고, 지하부의 생체중은 22.1%, 25%, 47.1% 감소하였다. 오이는 지상부 생체중은 8.1%, 36%, 51% 감소하였고, 지하부 생체중은 6.2%, 11%, 65%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엽면적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건물중의 경우 생체중과 마찬가지로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심층수 30% 처리구에서는 지하부의 생장이 약 50% 정도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묘 소질 평가지수의 하나인 조직의 충실도(compactness)는 토마토의 경우 20%심층수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고, 오이의 경우에서도 20% 심층수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고추 유묘에서도 20%의 해양심층수를 공급할 때 가장 충실도가 높았다.

  • PDF

Gene Expression Profiles of Long-Chain Acyl-Coenzyme A Dehydrogenase, Nuclear Distribution C-Containing Protein 3, and Receptor Tyrosine Kinase Tie-1 in Swimming Larva of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cus

  • Sehwan Kim;Seungheon Lee;Gil Jung Kim;Young Chang Soh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7권2호
    • /
    • pp.91-99
    • /
    • 2023
  • The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cus, is one of the most valuable aquatic species. The color of body wall and appearance are important for the value of sea cucumbers. To examine expression pattern of long-chain acyl-coenzyme A dehydrogenase (LCAD), nuclear distribution C-containing protein 3 (NUDCD3), and receptor tyrosine kinase Tie-1 (TIE1), previously reported as differently expressed genes during the pigmentation of sea cucumber, we analyzed the temporal profiles of LCAD, NUDCD3, and TIE1 mRNAs in LED-exposed and light-shielded A. japonicus. Real-time quantitative PCR revealed that the LCAD, NUDCD3, and TIE1 mRNAs from the juveniles at 40-60 days post-fertilization (dpf) exhibited increasing patterns as compared to those of an early developmental larva (6-dpf). At 60-dpf juveniles, the LCAD and TIE1 mRNA levels of LED-exposed individuals were higher than those of light-shielded ones, whereas at 40-dpf and 50-dpf juveniles, the NUDCD3 mRNA expression was higher in the light-shielded condition (p<0.05). In the pigmented juveniles (90-dpf), the LCAD and TIE1 mRNA levels tended to show higher levels in red individuals than those in green ones, but there was a conversely higher level of NUDCD3 mRNA in green larva. In situ examination of LCAD and NUDCD3 mRNAs in light-shielded 6-dpf larva revealed that both genes are mainly expressed in the internal organs compared to the body surface. Together, these results may provide insights into the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of LCAD, NUDCD3, and TIE1 during pigmentation process of the sea cucumber.

한국 서해안 해삼, Stichopus japonicus의 생식주기에 관한 조직학적 연구 (Histological Study on the Reproductive Cycle of Stichopus japonicus in the West Coast of Korea)

  • 박광재;박영제;김수경;최상덕;김용구;최낙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6-30
    • /
    • 2007
  • 2004년 10월부터 2005년 9월까지 서해안 안면도 해역에서 채집한 해삼(Stichopus japonicus)의 생식소 발달과 생식주기에 관하여 조직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해삼은 자웅이체이며, 생식소는 암 수 모두 다수의 배우자형성소낭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생식소지수(GSI)는 암 수 모두 각각 6월(7.91, 7.21)에 가장 높았으며, 10월(0.42, 0.53)에 가장 낮았다. 서해안 해삼의주 산란기는 $6{\sim}8$월이며, 생식주기는 분열증식기($1{\sim}3$월), 성장기($3{\sim}4$월), 성숙기($4{\sim}7$월), 산란기($6{\sim}8$월) 및 퇴화 및 휴지기($8{\sim}1$월)로 구분할 수 있었다.

해산 극피동물 중의 당단백질의 특성과 이용 I. 해삼 당단백질 및 황산콘드로이친의 화학조성과 특성 (Chemical Compositions of Glycoprotein and Chondroitin Sulfates from Sea Cucumber(Stichopus japonicus))

  • 류홍수;문정혜;서재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2-80
    • /
    • 1997
  •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한 역사가 오래인데도 불구하고 구성성분의 조성에 대하여 충분한 연구가 되어 있지 않은 해삼에서 당단백질과 황산콘드로이친을 추출정량하여 이들의 화학적 조성과 구조적 특성을 GC. MS및 IR로 검토하였다. 동결건조 해삼분말의 화학적인 조성은 sulfate esters함량이 0.90~l.21%, 다당류 함량이 23.08~26.97%였고 이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단당류는 fucose의 함량이 30%이상을 차지하는 것을 비롯하여 glucose, N-acetylglucosamine, mannuronic acid, ribose의 5종이 거의 88%이상을 차지하고 있었고 그외 mannose, galactose, N-acetylgalactosaminne, D-glucuronic acid도 소량 검출되었다. 추출당단백질의 sulfate esters의 함량은 0.96~l.13%, 다당류의 함량은 58.7%~62.7%로 나타나고 주요 구성당은 fucose가 30%내외로 가장 많았으며 mannose, glucose와 ribose가 86%이상을 차지하며 galactose, N-acetylgalactosamine, D-glucuronic acid, N-acetylglucosamine도 소량 함유하고 있었다. 동결건조 해삼분말에서 추출한 황산콘드이친의 황산기의 함량은 3.52~3.72%이었다. 이들의 구성성분은 fucose, N-acetylgalactosamine 및 D-glucuronic acid 이며 IR spectrum에서 1240$cm^{-1}$ /의 S=0신축진동과 850$cm^{-1}$ /나 820$cm^{-1}$ /의 C-O-S 신축진동이 나타나 fucose의 $C_4$의 결합위치를 나타내고 있었다.

  • PDF

어린 해삼(Apostichopus japonicus)용 사료 개발을 위한 실험사료의 사육효능 평가 (Evaluation of Experimental Practical Diets for Juvenile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cus)

  • 김경덕;배기민;김강웅;이봉주;허상우;장지원;한현섭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66-371
    • /
    • 2017
  • Six experimental diets for juvenile sea cucumbers Apostichopus japonicu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with current commercial diets. Sea cucumbers (50 per tank; initial mean weight $2.3{\pm}0.1g$) in three replicates of seven groups were fed one of six experimental diets (ED1, 20% wild-harvested Sargassum thunbergii powder; ED2, 20% commercial S. thunbergii powder; ED3, 20% Undaria pinnatifida and Ascophyllum nodosum powders; ED4, 40% U. pinnatifida and A. nodosum powders; ED5, 10% brewer's yeast; and ED6, 10% sea shell powder) or a commercial diet (CD) for 28 weeks. The survival rate in all groups was 85-94%,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The mean body weight of the sea cucumbe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6 weeks after the feeding trial. The final mean weight of the sea cucumbers was highest in ED1, ED3, and ED4, followed by ED6, ED5, ED2, and CD, in decreasing or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U. pinnatifida and A. nodosum powders could provide a substitute for the S. thunbergii powder commonly used in commercial sea cucumber diets. Thus, the EP4 diet formulation, which contains no S. thunbergii, could be used as a practical feed for juvenile sea cucumbers.

A Newly Recorded Sea Cucumber of the Genus Psolus (Holothuroidea: Dendrochirotida: Psolidae) from the East Sea of Korea

  • Lee, Taekjun;Shin, Soo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3권3호
    • /
    • pp.195-199
    • /
    • 2017
  • A sea cucumber was collected from Gonghyeonjin in the East Sea of Korea at a depth of 50 m on 22 June 2011 and was identified as Psolus phantapus (Strussenfelt, 1765). This species belongs to the family Psolidae of the order Dendrochirotida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sequence analysis. Psolus phantapus, which widely distributes in the Arctic and North Atlantic Oceans, is newly recorded in the Korean fauna. Two Psolus species including the previously reported P. squamatus are recorded in the East Sea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