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 eel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18초

장어 통발어선의 자동화 조업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I) -통발연결장치.분리장치- (Development of Automatic Operating :System for the Sea Eel Pots Fisheries(I) - Coupling Device for Sea Eel Pot and Separating System -)

  • 정용길;김용해;유금범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6권2호
    • /
    • pp.126-131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장어 통발어선 자동화 조업장치 개발의 첫 단계로서 통발을 모릿줄에 기계적으로 연결, 분리할 수 있는 장치인 집게식 통발연결장치 및 통발자동분리장치를 개발하여 해상성능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집게식 통발연결장치가 무른 꼬임 트와인 고다리 및 된 꼬임 트와인 고다리에 각각 연결되었을 때, 그 사이의 최대 인장하중은 각각 1379 N및 1,603 N 이었다. 2. 집게식 통발연결장치에 대한 해상성능시험 결과 성능이 양호함을 확인하였으며, 통발 회수율은 100% 이었다. 3. 통발자동분리장치에 대한 해상성능시험 결과 성능이 양호함을 확인하였으며, 통발 분리율은 100% 이었다.

  • PDF

생선회로서 붕장어 (Conger myriaster) 및 갯장어 (Muraenesox cinereus)의 식품성분 비교 (Comparison of Food Component between Conger eel (Conger myriaster) and Sea eel (Muraenesox cinereus) as a Sliced Raw Fish Meat)

  • 김진수;오광수;이정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678-684
    • /
    • 2001
  • 우리나라에서 생선회로 즐겨 식용하고 있으나, 형태, 색조 및 맛이 유사하여 소비자들로부터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붕장어와 갯장어의 횟감으로서 식품성분 특성 (일반성분, 영양특성 및 조직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생선회로서 붕장어는 갯장어에 비하여 수율 및 회분의 경우 약간 높았고, 기타 일반성분은 차이가 없었다. 주요 구성지방산은 붕장어회의 경우 16:0 ($19.9\%$), 18:1n-9($36.1\%$) 및 22:6n-3 ($8.3\%$) 등이었고, 갯장어회의 경우 16:0 ($24.0\%$), 16: 1n-7 ($12.1\%$) 및 18:1n-9 ($21.9\%$) 등이었으며, n-3계 지방산 조성은 모두 낮았다. 붕장어회 및 갯장어회의 총 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19,147.2mg/100g 및 18,527.1 mg/100g으로 차이가 없었고, 이들을 구성하는 주요 아미노산은 장어류의 종류에 관계없이 aspartic acid ($11.7\%$$11.8\%$), glutamic acid ($17.1\%$$17.0\%$ )와 같은 산성 아미노산과 곡류 제한아미노산인 lysine ($11.6\%$$11.9\%$) 등으로 나타났다. 이들을 토대로 계산한 단백질의 화학가는 붕장어회가 갯장어회에 비하여 약$6\%$ 높았다. 무기질 함량은 붕장어회가 갯장어회에 비하여 칼슘 및 인 함량의 경우 높았으나 기타 성분의 경우 차이가 없었다. 맛성분, 색조, 콜라겐 함량 및 관능검사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붕장어회가 갯장어회에 비하여 맛 및 조직감의 경우 열악하였고, 색조의 경우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생선회로 식용하는 경우 붕장어 회가 갯장어회에 비하여 영양 특성은 우수하였으나, 맛 및 조직감은 열악하였으며, 색조는 차이가 없었다.

  • PDF

플라스틱 붕장어 통발의 Ghost Fishing에 관한 연구 - Ghost Fishing의 실태조사 - (A Study on the Ghost Fishing of the Plastic Sea-eel Pot - Investigation of Actual Condition on the Ghost Fishing -)

  • 정순범;김민석;이주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8권1호
    • /
    • pp.36-42
    • /
    • 2002
  • 이 연구는 1996년 8월부터 2002년 1월까지 우리나라에서 붕장어를 어획하는 대표적인 어구인 플라스틱 붕장어 통발이 바다 속에 어느 정도 유실되거나 버려져 있는지를 조사하고, 이들 통발에 의한 Ghost fishing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유실되거나 버려진 통발의 수는 조사가 이루어진 해구에서 평균 34개/$\textrm{km}^2$ 나타났으며, 106해구에서 94개/$\textrm{km}^2$로 가장 많았고, 113해구에서 5개/$\textrm{km}^2$ 가장 적었다 수심에 따른 분포에서는 61~70m의 수심대에서 89개/$\textrm{km}^2$으로 가장 많았고, 130m 이상의 수심에서는 수집되지 않았다. 이들 통발에 의한 Ghost fishing의 평균 어획률은 8.1%였고, 224해구에서 어획률이 25%로서 가장 높았고, 92, 110, 243 및 253해구에서는 어획이 없었다. Ghost fishing을 하고 있는 통발의 수는 99해구에서 14.2개/$\textrm{km}^2$ 추정되어 가장 많았다. 수심에 따른 어획률은 71~80m에서 20%로 가장 높았고, Ghost fishing을 하고 있는 통발의 수는 81~90m에서 12.7개/$\textrm{km}^2$로 가장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Ghost fishing에 의해 어획된 붕장어의 체장 분포는 25.5cm~66.0cm였다.

유실된 플라스틱 붕장어 통발에 어획된 붕장어의 위내용물 분석 (Analysis of Stomach Contents of Sea-eel Conger myriaster Caught from lost Plastic pot)

  • 정순범;이주희;김형석;오윤택;조삼광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8권2호
    • /
    • pp.149-155
    • /
    • 2002
  • Ghost fishing으로 추정되는 유실된 플라스틱 붕장어 통발에 어획된 붕장어의 섭이 상태와 개체의 성장에 대해 조사하기 위하여, 통발 조업선에 어획된 붕장어와 트롤 그물에 어획된 붕장어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어획된 붕장어의 평균 전장은 연안 통발 조업선과 시험 조업에서 어획된 것이 33.6cm, 트롤 그물에 어획된 것이 48.9cm 그리고 수거된 유실 통발에 어획된 것이 45.6cm이었다. 이러한 체장의 분포는 붕장어가 성장하면서 연안에서 외양으로 나간다는 사실과 일치한다. 위내용물 조사에서 먹이를 섭이하지 못해 위내용물이 전혀 없었던 붕장어의 비율은 통발 조업선 5.0%, 트롤 4.2% 그리고 유실 통발 87.6%로 유실 통발에서 17~20배 높게 나타났다. 먹이로써 어류를 섭이한 붕장어의 비율은 통발 조업선이 98.7%, 트롤이 78.8% 그리고 유실 통발이 63.3%로 나타났으며, 그 외의 먹이 생물은 갑각류와 두족류 등이었다. 순체중과 전장을 이용하여 계산한 비만도는 트롤 어획물이 1.514이고, 유실 통발 어획물이 1.292로서 약 15%의 차이가 있었으며, 이들 자료에 대한 공 분산분석에서 실시한 t검정 결과 5% 유의수준에서 위치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붕장어의 크기에 따른 지방질성분 및 아미노산 조성의 비교 (Comparison of Lipid Components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Sea Eel by Size)

  • 오광수;문수경;이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92-196
    • /
    • 1989
  • 우리나라에서 생선회로 가장 많이 먹고 있는 붕장어를 대형, 소형의 크기별로 구입하여 지질 성분 및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 비교하였다. 대형 붕장어는 소형어에 비하여 수분 및 조단백질 함량이 다소 많은 반면 조지방 함량은 4.2%로서 소형 붕장어의 9.8%에 비하여 적었다. 대형 및 소형 붕장어의 증성지방질 함량은 각각 총지방질의 89.7%, 93.3%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인지방질은 8.9%, 5.2% 함유되어 있었다. 총지방질의 지방산 조성은 대형 및 소형 붕장어 모두 18:1을 주체로 한 모노엔산이 47.1%, 50.3%로 함량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22:6이 주가 된 폴리엔산이 33.4% 및 25.2%, 16:0을 주체로 한 포화산은 19.5% 및 24.5% 함유되어 있었다. 중성 및 당지빙질은 18:1을 주성분으로 한 모노엔산의 조성비가 높은 반면 인지방질은 폴리엔산의 조성비가 높았다. 대체로 대형 붕장어는 소형어에 비해 20:5, 22:5, 22:6과 같은 고도불포와 지방산의 함량이 않았고 소형 붕장어는 16:0, 16:1, 18:1등의 포화산 및 모노엔산이 많았다. 총 아미노산량은 대형 붕장어가 17022.7mg/100g, 소형어가 15409.4mg/100g 이었고. aspartic acid, glutamic acid, isoleucine, leucine, lysine, arginine 등이 주요 구성아미노산 이었다. 소형 붕장어에는 대형어에 비해 aspartic acid, glutamic acid가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대형 붕장어는 cystine, methionine, tyrosine, phenylalanine의 함량이 많았다.

  • PDF

양식 잉어 및 뱀장어에 경구투 fluoroquinolone계 항생제의 체내 잔류량의 변화 (Distribution of Fluoroquinolones in the Carp (Cyprinus carpio) and Eel (Anguilla japonica) following their Oral Administration)

  • 조미라;박큰바위;이희정;김지회;이태식;정승희;이두석;윤호동;김풍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623-628
    • /
    • 2010
  • The distribution of fluoroquinolones was investigated in the carp (Cyprinus carpio) and eel (Anguilla japonica) after an oral dose of 20 mg/kg body weight/day for 35 day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5 and 10 hours and 1, 2, 3, 5, 7, 9, 13, 20, 30, and 35 days after treatment. The fluoroquinolone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an ultraviolet detector. The recovery rates of fluoroquinolones in the fish samples ranged from 91.4-96.6, 91.2-96.5, and 90.4-98.6% for concentrations of 0.1, 0.5, and $1.0\;{\mu}g/g$, respectively. In the blood of carp, ciprofloxacin, enrofloxacin, norfloxacin, and sarafloxacin reached maximums level of 11.03, 9.37, 9.10, and $9.81\;{\mu}g/g$ 10 hours, 1 day, 10 hours, and 10 hours after treatment, respectively. In the eel blood, these reached maximum levels of 12.65, 11.18, 11.91, and $8.74\;{\mu}g/g$ all at 10 hours. Carp sample concentrations of ciprofloxacin, enrofloxacin, norfloxacin, and sarafloxacin were not measurable 20, 30, 20, and 20 days after treatment, respectively, in all experiments (

육상어류양식장 고형오물을 공급한 해삼(Apostichopus japonicus)의 성장과 에너지 수지 (Effect of Fish Farm Fecal Solid Diets on the Growth and Energy Budget of Juvenile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cus)

  • ;정우철;최종국;;김경덕;최병대;강석중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68-175
    • /
    • 2016
  • We conducted a 90-day feeding experiment to evaluate the growth and energy budget of the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cus. Sea cucumbers with a mean initial wet body weight of 3.03±0.06 g were fed one of the following three diets: an eel fecal solid diet, rainbow trout fecal solid diet, or a commercial diet at a water temperature of 17±1℃ and salinity of 32±1 psu.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diets affected the final body weight, specific growth rate (SGR), food ingestion, feces production ratio, and hence the growth and energy budget of the sea cucumbers. Sea cucumbers fed the eel and rainbow trout fecal solid diets showed poorer energy absorption, assimilation, and growth than those fed the commercial diet. The sea cucumbers fed the commercial diet had a significantly higher SGR and proportion of energy used for growth than those fed the other two diets. Sea cucumbers fed the rainbow trout fecal solid diet showed a comparatively higher ingestion rate and feces production ratio than those fed the commercial diet. The eel and rainbow trout fecal solid diets, therefore, were not suitable for sea cucumbers in intensive cultivation. Our findings will facilitate further development of more appropriate diets for culture of sea cucumber.

해삼사료원료로서 육상순환여과양식장 고형오물의 이화학적 특징과 해삼(Apostichopus japonicus)의 소화흡수율 (Fecal Solid Feed from the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of the Renewable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cus)

  • 정우철;;최종국;;최병대;강석중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30-336
    • /
    • 2016
  • Pollution caused by fecal solids released from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s (RAS) is a growing global concern requiring immediate attention.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ecal solid feed from RASs used for eel and rainbow trout farming. The concentrations of proteins, lipids, crude ash, and moisture in eel fecal solids were 10.9%, 1.2%, 85.8%, and 72.2%, respectively, while those in rainbow trout fecal solid feed were 20.5%, 3.2%, 70.9%, and 87.0%, respectively. The control group was fed a mixture of sea cucumber and dried sea mud. The protein digestibilities of eel and rainbow trout fecal solids were 25.43% and 23.96%, respectively, while the respective lipid digestibilities were 35.62% and 36.80%, respectively.

유실된 플라스틱 붕장어 통발에 어획된 해양 생물의 종류와 지속적인 Ghost Fishing의 가능성 (Composition of Marine Organisms Caught from Lost Plastic Pot and Possibility of Sustainable Ghost Fishing)

  • 정순범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0권1호
    • /
    • pp.60-64
    • /
    • 2004
  • 우리나라 남해안에서 플라스틱 붕장어 통발을 사용하는 통발어선이 연간 유실하는 통발의 개수는 통상 조업시 시용하는 통발의 2~4배인 것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통발의 유실은 보통 조업중에 발생되므로 어구의 유실과 함께 어획물의 손실도 발생하게 된다. 어획불과 미끼가 들어있는 유실된 통발 은 붕장어뿐만 아니라 다른 해양 생물을 유인하여 어획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유실된 붕장어 통발에는 어류, 갑각류, 두족류 등이 들어있었고, 이들 가운데는 붕장어의 먹이가 되는 베도라치, 청보리멸, 양태, 붉은메기와 새우류 등이 어획되어 있었다. 따라서 조업시 어획된 붕장어 이외에도 붕장어가 이들 통발 속에 들어있는 어획물을 섭이하기 위해 통발에 들어가므로서 추가적인 Ghost fishing의 가능성은 크다고 할 수 있다.

부산-제주도사이 해역에서 해양폐기물 분포 (Distribution of Marine Litters in the Sea Area between Busan and Jeju Island)

  • 김민석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2권3호
    • /
    • pp.354-361
    • /
    • 2010
  • Author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debris by a bottom trawler in the eight sea stations over the sea between Busan and Jeju island. 2,118 debris in number and 2,401.5kg in weight were collected. Most of collected debris were fishing gears which seemed to be lost or discarded during operations, and also most of the fishing gears was an eel pot. The densities of debris per hectare in number and weight were 1.21pieces and 2.639kg respectively. Station A was the highest densities compared to other stations, showing 2.7pisces and 4.9kg per hectare in number and weight. The closer to Busan it is, the higher density of debris can be coll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