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tific terminology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31초

핵사고시 매스컴의 보도경향과 본질적 면에서 본 국민이해의 관점 (특히 한국신문 보도에 관련된 정량적인 분석의 사례를 중심으로) (On the Report Tendency of Mass Communication in Nuclear Accident and the Standpoint of Public Acceptance from a Intrinsic Point of View. (A Case Study of Quantitative Analysis in Connection with the Newspaper Report Especially in Korea.))

  • 이수용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217-253
    • /
    • 1996
  • 체르노빌 핵사고직후 대형 핵사고에 대한 반응은 이 사고가 정치, 경제 및 사회적 요인에 밀접하게 관련된 대중정보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의 극명한 사례가 되었다. 오늘날 다양한 정보화 시대에 살면서도 '핵'에 관한 한 정보원의 수용은 항상 제한 받는 경향에 있다. 그러므로 본 조사에서는 보도원으로부터 수용된 미확인보도 내지는 과장된 핵사고 상황보도 등의 문제로 파급될 수 있는 심리적인 동요와 혼란을 극소화할 수 있는 방법과 대책을 모색하여 개연성(probability)이 상존하는 크고 작은 핵사고의 경우에 대비코자 하는 한 사례로 삼고자 하였다. 또한, 핵사고시 제시된 방사선 제반분야에 대한 총망라된 보도영역에서 과학기사 보도 작성지침으로서의 관련 학술용어의 가능한 사용한도를 표로써 설정하였고, 아울러 본질적인 면에서 본 국민이해와 방사선 재해방지 홍보대책과 더불어 몇 가지 방법론을 거론하였다.

  • PDF

기술용어 간 관계추출의 성능평가를 위한 반자동 테스트 컬렉션 구축 프레임워크 개발 (Development of a Framework for Semi-automatic Building Test Collection Specialized in Evaluating Relation Extraction between Technical Terminologies)

  • 정창후;최성필;이민호;최윤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481-489
    • /
    • 2010
  • 관계 추출 시스템의 중요성이 날로 부각되면서 이러한 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한 테스트 컬렉션의 구축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반자동화된 처리 과정을 거쳐서 규모 있는 관계 추출용 테스트 컬렉션을 구축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그리고 개발된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실제적으로 과학기술 문헌에 존재하는 기술용어 간 연관관계 추출 시스템의 성능 평가를 위한 테스트 컬렉션을 구축하고(관계유무 파악 및 관계분류 식별을 검사할 수 있는 1,707건의 문장 규모) 결과를 분석한다. 제안된 방법론은 정형화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서분석 작업을 처리과정별로 자동화함으로써 구축에 들어가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시스템의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구축자의 성향에 따른 편차를 줄이고 일관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문헌 집합(과학기술 전 분야에 걸친 30,858,830건의 학술 데이터베이스) 및 용어 사전(16개 분야 253,603건 규모의 전문용어) 선정 시 특정 분야에 편중되지 않도록 노력함으로써 균형 잡히고 객관화된 테스트 컬렉션을 생성할 수 있다.

항암 및 항세균 생약의 통계학적 연구 (Potential Anticancer Medicinal Plants -A Statistical Evaluation of Their Frequencies of Appearance in Oriental Medicine Formularies-)

  • 차승만
    • 생약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5
    • /
    • 1977
  • In an attempt to deduce which plants might have been used for their anticancer activities in traditional oriental herb medicine, 127 prescriptions were selected from 'Dong-Eui-Bo-Gam', the Classic Handbook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written by $H_{UH}$ Jun and published in 1613. These are the prescriptions indicated for the systemic treatment of various tumors and some conditions resembling tumors, e.g. inflammatory masses and indurations, and they include 150 natural products of plant origin.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each medicinal plant in these selected prescriptions was compared with the frequency of its appearance in all prescriptions listed in 'Bang-Yak-Hap-Pyon', another popular Oriental Medicine Formulary in Korea, written by $H_{WANG}\;Pil-Su$ in 1885. From the latter book, $H_{ONG}$ has recently enumerated frequencies of 235 medicinal plants included in a total of 467 prescriptions. Chi-square tests revealed that 11 plant remedies appear with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in the prescriptions for "tumors", and 10 for "inflammations". The plants with potential antitumor activities, in decreasing order of statistical significance, are Scirpus maritimus, Curcuma zedoaria, Prunus persica, Rheum coreanum, Foeniculum vulgare, Rhus vernifera, Daphne pseudogenkwa, Galarhaeus sieboldiana, Croton tiglium, Raphanus sativus and Galarhaeus pekinensis. The drugs for potential antibacterial or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re Olibanum(Frankincense), Forsythia coreana, Lonicera japonica, Gleditchia officinalis, $M_{YRRH}$, Trichosanhes kirilowii, Astragalus membranaceus, Rheum coreanum, Platycodon grandiflorum and Fritillaria verticillata. Despite the uncertainties involved in the terminology of various diseases used in pre-modern medicine, and the reservations about the efficacy of remedies used for those diseases, it would be worthwhile to investigate these few selected plants for anticancer, antibacterial, anti-inflammatory or antifungal effects, employing modern scientific methodology.

  • PDF

아트퍼니처에서 하이 테크놀로지 활용의 특징 및 전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d Development of Art Furniture Applied with High Technology)

  • 최병훈;정재나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75-184
    • /
    • 2016
  • Art Furniture is a terminology of creative and developed activity related Art in the field of furniture design. In a broad sense, the extent of Art furniture reaches from humanities to technology because Art includes them. Due to Postmodernism, designers who were involving Art furniture started to fuse various studies including high technology to achieve their own goals. To illustrate with the characteristic of high technology, I compare between low technology and high technology. Even though high technology are used both commercial furniture and Art furniture, the latter has been utilized high technology in a more creative and experimental way to develop experimental furniture design. In contrast, in order to earn economic profit, there is no unnecessary risk for commercial furniture. Considering information revolution which is deeply related with high technology, Art furniture designers could get information easily about other fields and make multiple connections of different kinds of people and markets. As a result, a combination between Art furniture and high technology has distinctive features. At first, high technology was applied to craft among Dutch furniture designers. After that, designers began to lay out the method of high technology and pushed the boundary of Art furniture thanks to experts and scientists. In addition, there was a designer who have conducted a series of research as a scientist adopting scientific methodology. In doing so, Joris Laarman could obtain a revolutionized work which could contribute society. In conclusion, combining Art furniture and high technology leads the definition of design from deciding physical shapes to directing and organizing processes.

지시적 분석 기반 역량 강화 시스템 (Research Capability Enhancement System Based on Prescriptive Analytics)

  • 김장원;정한민;정도헌;송사광;황명권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46-51
    • /
    • 2015
  •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와 급변하는 기술적 발전은 과거와 현재를 넘어 미래를 예견하고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 패러다임을 요구한다. 지시적 분석은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전략을 수립함으로써 분석 결과의 제시에 그치는 게 아니라 사용자에게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 행동과 그 결과를 요구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기술적 분석, 예측적 분석과 근본적인 차이점을 보여준다. 그렇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인 구현 방안이 널리 연구되고 있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InSciTe Advisory 사례를 통해 고려할 사항과 어떤 개발 요소들이 필요한 지를 살펴봄으로써 해당 연구 분야의 기반을 제시하고자 한다. InSciTe Advisory 시스템은 5W1H 방법론을 중심으로 연구자가 롤 모델 그룹에 도달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음을 보이며, 평가 모델을 통해 Elsevier SciVal과 비교하여 126.5%라는 비교 우위적 평가 결과를 얻었다.

TV 속에 나타난 식생활관련 정보의 모니터 사례 분석 (The monitoring Case Analysis of Nutrition-related Programs Presented on Television Broadcast Media)

  • 류혜숙;김현숙;양일선;김기태;배미용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9권2호
    • /
    • pp.138-14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information about food and nutrition topics presented throughout the television broadcast media, thereby suggest the optimal communication method to give right information to the general public. To perform this study, total sixteen monitoring people were recruited and trained through monitoring practice before and during the study . Five domestic TV channels were selected to be monitored, for six months. For the best efficiency, all the monitoring people were divided into 8 teams based on the regional consideration. The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was completed using SAS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reporting cases of information about foods and nutrition were 237 , among which about 30% was classified as appropriate and 70% as inappropriate based on the trained monitors' evaluation. Second, the analysis of contents about incorrect informations showed that the insufficient descriptions of terminology and contents were the highest. And insufficient scientific evidences, incorrect contents excessively entertainment-oriented, no provision of alternatives , improper selection of expert advisors were follow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systematical monitoring should be continued to reduce the frequency of incorrect communication thereby give the right information in food and nutrition area to the general public. And there should be a closely cooperated system to provide the professional information to broadcasting production team by establishing the strategic program. In order to do that, most importantly the advisory team should be organized to professionally connect mass media to corresponding specialists. In addition, more educational programs about food and nutrition should be developed to provide right information to the general public.

  • PDF

『상한론(傷寒論)』 영역본과 『동의보감(東醫寶鑑)』 영역본 잡병편 '한(寒)'문의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English Translations of Shanghanlun (Treatise on Cold Damage) and the Cold Pathogen Chapter of Donguibogam)

  • 김도훈;김동율;정지훈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3-41
    • /
    • 2017
  • This study utilized Corpus-based Analysis process to compare the Cold Pathogen chapter in the 'English version of "Donguibogam"' to the 'English version of the "Shanghanlun"' translated by 罗希文 (Luo xi wen). Results of the linguistic analysis indicate that TTR, a ratio of number of types to number of tokens in the English version of "Shanghanlun" was 5.92% while TTR in the Cold pathogen chapter of English version of "Donguibogam" was 6.01%. It was also noted that the types of words frequently appearing in the two publications were the scientific name of medicinal herbs; the method of producing the herbal prescription (including terminology representing weights and measures); and Chinese descriptions of concepts considered important in both Korean and Chinese medicinal practices. Finally, it was possible to find points of comparison in naming of symptoms, diagnosis, prescriptions, and respective names of six meridians. Though the language difference is minimal, the vocabulary found in the Cold Pathogen chapter of "Donguibogam" was more diverse than Luo's translation of "Sanghanlun". In general, literal translation in keeping with the sense of original text was better performed in Luo's translation of the "Sanghanlun" whereas the English version of the Cold Pathogen chapter in the "Donguibogam" was more of a "free" translation.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초등 과학 교과서 텍스트에 대한 체계기능언어학적 분석 (The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Analysis of Text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y Curriculum Revision)

  • 맹승호;김혜리;김찬종;이정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42-252
    • /
    • 2007
  • 이 연구는 교수요목기부터 7차 교육과정까지의 모든 과학(자연)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되는 '기압'과 '바람'을 다루는 텍스트를 체계기능언어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관념적 메타기능 측면에서 과학적 정보를 많이 담고 있는 텍스트는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정보의 형태는 '원리'보다는 '정의'와 '사실'이었다. 상호적 메타기능 측면에서 학생과 텍스트 사이의 거리는 점점 줄어들었으며, 학생들의 사회적 지위는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점차적으로 고려되었다. 구성적 메타기능 측면에서 전문적 용어와 기호의 비율은 감소 추세에 있었으나, 과학 교과서에서 텍스트양 또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에는 문장에 주어가 제시되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주어가 생략되었다. 또한 주어와 문장 첫 구의 일치율은 7차의 교과서 텍스트에서 그 일치도가 현저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천문학 용어에 대한 학생의 오개념 유형 탐색 (Exploring Middle School Students' Types of Misconceptions on Astronomy Terminologies)

  • 최영진;신동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3호
    • /
    • pp.289-299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지구 과학 교과서에 제시되는 천문 영역의 과학 용어 113개에 대한 중학교 3학년 학생 5인의 용어에 대한 체감 난이도, 이해 확신도와 정의를 검사지를 통해 살펴보고, 추가 면담을 통해 천문 용어에 대한 학생들의 오개념 유형과 그 대표적인 용어 - 오개념의 예시를 분석했다. 학생들이 제시한 용어의 정의는 크게 정답과 낮은 수준의 이해, 오답으로 분류되었으며, 낮은 수준의 이해는 상위 수준의 정의 서술, 개념의 미분화로 하위 분류되었고, 오답은 과학적 오인에 의한 방해, 사전 지식 미비 등으로 하위 분류되었다. 용어로 인한 오개념과 선행 오개념이 구분될 수 있다는 점에서, 용어로 인한 오개념은 용어 변경이라는 방법을 통해 오개념 형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 처방이 될 수 있다. 또한, 은유적 용어로 인한 장점과 단점을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으며, 자신의 이해 수준을 잘 파악하고 있다는 점은 학습자 스스로가 자신의 오개념을 인지하는 것이 오개념 수정의 첫 번째 단계임을 고려할 때 좋은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 교육에서의 용어는 중요한 논의 대상으로, 시대에 따라 적합한 용어의 선정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과학 용어가 바뀌기도 한다. 이 연구 결과가 용어의 수정에 대한 논의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탄강 세계지질공원 연천 지역의 자기-안내식 해설 매체를 통한 스스로 이해 가능 정도: 이독성과 교육과정 관련성을 중심으로 (Degree of Self-Understanding Through "Self-Guided Interpretation" in Yeoncheon, Hantan River UNESCO Geopark: Focusing on Readability and Curriculum Relevance)

  • 김민지;김찬종;유은정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655-674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한탄강 세계지질공원 연천 지역의 "자기-안내식 해설" 매체가 방문객이 이해하기 쉽고 배경지식수준에 맞춰 작성되어 있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2년 9월과 11월 2차례에 걸쳐 한탄강 세계지질공원을 현장 조사하고, 지질명소의 형성 시대와 지질 특성이 다양한 연천 지역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천 지역에 존재하는 총 36개의 자기-안내식 해설 매체를 대상으로 지질명소별 해설 매체의 현황, 이독성 수준, 그래픽의 특성, 과학과 교육과정 반영 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천 지역 해설 매체 종류는 안내판이 가장 많고, 지질명소를 안내한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해설 매체 텍스트의 분량은 12학년 과학 교과서보다 많고, 평균 어휘 등급은 11-12학년군 과학 교과서 수준과 유사하고, 복문의 비율이 높아 이독성이 다소 낮았다. 해설 매체에 포함된 그래픽의 종류는 사진이 가장 많고, 대부분 예시적 기능이며, 다중 구조 그래픽이 사용되어, 지질 형성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해설 매체에서 사용하는 과학 용어 중 86.3%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체지구" 영역에 포함된 용어를 사용하였으며, 교육과정에 포함된 과학 용어는 4학년 수준의 용어가 가장 많았다. 선택 교육과정인 11학년 수준의 용어가 두 번째로 많고, 전체 과학 용어 중 13.7%는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용어였다. 또한, 지질명소에 따라 해설 매체에 사용된 과학 용어 수준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안내판보다 홈페이지에 사용된 용어 수준이 일반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연천 지역의 지질명소별 해설 매체에 따라 방문객 스스로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주는 요인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일반 관람객의 지질자원 교육을 활성화하고 지질학 분야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는 자기-안내식 해설 매체의 개선 방향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